소개글
"의료사회복지 실천모델 활용 사례 분석"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서론
2. 의료사회복지 실천모델
2.1. 심리사회모델의 개념
2.2. 심리사회모델의 이론적 배경
2.2.1. 정신분석모델
2.2.2. 대상관계이론
2.3. 심리사회모델의 주요 원칙 및 기법
2.3.1. 수용과 자기결정
2.3.2. 기법: 지지하기, 직접적 영향 주기, 상황 성찰 등
3. 심리사회모델을 활용한 클라이언트 사정 및 개입 사례
4. 결론
5.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서론
의료사회복지는 사회복지사업이 의료활동기관에 존재해야 하는 기본 전제로서 개념을 내포하고 있다. 의료영역에서 말하는 질병의 원인이 개인의 심리와 사회적 기능에 있으며 이를 치료하고 예방하기 위해서는 질병에 대해 심리 사회적으로 접근할 필요가 있다는 것이다. 따라서 의료사회복지사는 의료전문직과의 협업을 통해 환자들이 경험하는 심리·사회적 문제를 해결하고 사회적 기능을 회복할 수 있는 도움을 제공하는 전문가이다. 의료사회복지사가 환자의 질병을 치료하기 위해서는 질병에 대해 다양한 생리학·심리학·사회학적 모델에 기반하여 클라이언트와 주변 원조환경과 밀접한 관계를 형성하는데, 대표적인 모델로는 인지행동모델, 레질리언스 모델, 생태체계 모델, 심리사회 모델, 임파워먼트 모델이 있다.
2. 의료사회복지 실천모델
2.1. 심리사회모델의 개념
심리사회모델은 인간의 문제가 개인의 심리문제와 사회적 문제가 동시에 발생하는 '상황 속의 인간'을 강조한다"이다. 심리사회모델은 클라이언트의 문제 해결을 위해 개인의 심리상태, 클라이언트를 둘러싼 환경, 그리고 개인과 개인을 둘러싼 환경간의 상호작용에 초점을 맞춘다. 클라이언트가 스스로 개인의 정서와 행동 상태를 파악하고 이해하며, 문제 해결을 위한 주변 환경과 본인의 상호 작용 능력을 고취시키도록 원조하는 것이 중요하다"는 것이다.
2.2. 심리사회모델의 이론적 배경
2.2.1. 정신분석모델
정신분석모델은 인간의 행동이 영유아 시기의 경험에 의해 좌우된다는 결정론적 관점에 기반하고 있다. 즉, 인간의 행동과 성격은 아동기 경험에 따라 형성된다는 것이다. 또한 정신분석모델은 감정, 행동, 생각과 같은 의식 영역이 아닌 성적·공격적 충동과 같은 무의식 영역에서 일어난다고 본다. 따라서 정신분석모델에서는 무의식 속 억압된 욕구...
참고 자료
사회복지실천의 이해, 엄명용·김성천·오혜경·윤혜미 공저, 학지사, 2011
사회복지실천기술론, 서혜석·이혜숙·이윤형·한경리 공저, 양서원, 2013
성인지적 가족복지론, 김영화·이진숙·이옥희 공저, 양서원, 2006
손병덕 외(2017), 《인간행동과 사회환경》, 학지사.
양옥경 외(2018), 《사회복지실천론》, 나남출판.
장수미 외(2021), 《의료사회복지론》, 학지사.
홍지영(2014), 《의료사회복지사의 가치, 지식, 기술과 임파워먼트의 관계》, 국내박사학위논문 가톨릭대학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