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복지관 저소득 방임아동 아동학대 예방 프로그램 기획"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저소득층 방임아동을 위한 아동학대 예방 프로그램
1.1. 저소득층 방임아동 현황
1.2. 프로그램 목적 및 필요성
1.3. 프로그램명: 같이의 가치
1.4. 성과목표
1.5. 세부 사업내용
1.6. 기대효과
2.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저소득층 방임아동을 위한 아동학대 예방 프로그램
1.1. 저소득층 방임아동 현황
최근 우리나라에 아동학대 사건들이 심각하게 발생하고 있다. 하지만 이런 아동학대 사건이 발생하고 있는 현실에서 우리사회는 아동학대의 문제를 심각한 사회문제로 인식하지 않고 방치하고 있다. 앞으로 국가나 사회가 적극적인 개입을 하지 않고 그대로 방치하게 된다면 더 많은 아동학대를 발생시킬 것이다. 아동의 경우 아동시기에 가지고 있는 특수성이 있는데 이 특수성에 따른 특별한 보호와 배려를 받을 권리를 보장해야하는 상황이다. 또한 아동학대에는 다양한 유형들이 있는데 그중 방임과 유기가 가장 많이 발생하는 아동학대사례다. 우선 방임은 아동의 보호자가 아동에게 고의적 및 반복적으로 아동양육이나 보호자의 의무를 다하지 않고 보호를 소홀히 함에 있어서 아동의 건강과 복지를 해하거나 정상적인 발달을 저해할 수 있는 모든 행위를 의미하고 있다. 현재 이러한 방임아동 학대 신고 건수는 매년 꾸준히 증가하고 있다.
코로나 19로 공공이 분담하던 역할이 제 기능을 하지 못하게 되면서 가정의 역할이 더욱 중요해졌다. 비대면 일상화에 따라 학대당하는 아이가 있어도 주변에서 파악하기 힘든 사각지대가 생겼다. 코로나 19로 인해 그늘이 더 짙어지는 저소득층 아동이 증가하고 있다. 보건복지부가 2021년 8월에 발표한 '2020년 아동학대 주요통계'에 따르면 코로나 19가 본격적으로 확산되었던 해인 2020년에 집계된 전체 신고접수 건수는 총 42,251건으로 전년 대비 약 2.1% 증가했다. 응급 아동학대 의심사례는 1,858건(4.4%), 아동학대 의심사례는 37,071(87.7%)로 총 아동학대 의심사례는 총 38,929건으로 전체 신고접수의 92.1%로 나타났다. 피해 아동 연령의 경우, 중학생에 해당하는 만 13~15세가 7,077건(22.9%)으로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
참고 자료
아동학대 예방, 올바른 부모교육부터 필요하다, 신혜원 서경대학교 아동학과 교수. 대한민국 정책 브리핑
양지윤, 「취약계층 아동을 위한 통합적 접근」, 『한국심리학회 학술대회 자료집』, 한국심리학회, 135쪽.
보건복지부, 「2020년 아동학대 주요통계」, 보건복지부 아동학대대응과, 2021년.
강주헌, 홍재영 외, “코로나 2년 ’학폭‘ 줄어 좋아했더니...“부모가 때렸다””, <머니투데이>, 2022년 3월 11일, https://news.mt.co.kr/mtview.php?no=2022022809400991813 (3월 13일).
박금식, 「취약계층 아동 통합서비스 지원사업 활성화 방안 연구」,부산여성가족개발원, 2014년.
박재현, “코로나 이후 취약계층 아동 10명 중 4명 ‘나 홀로 집에’”.<연합뉴스>, 2020년 11월 2일,https://www.yna.co.kr/view/AKR20201102131300004 (3월 13일)
양지윤, 「취약계층 아동을 위한 통합적 접근」, 『한국심리학회 학술대회 자료집』, 한국심리학회, 135쪽.
보건복지부, 「2020년 아동학대 주요통계」, 보건복지부 아동학대대응과, 2021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