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산업현장 공정안전관리 효과"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공정안전관리
1.1. PSM 12대 실천과제별 세부추진사항 및 주요핵심사항
1.1.1. 공정안전자료
1.1.2. 안전운전절차
1.1.3. 설비유지관리
1.2. 공정 위험성 평가
1.2.1. 개념, 절차, 기법
1.3. 안전작업 허가
1.4. 사고조사
1.5. 건설업의 위험성평가
1.5.1. 개념, 절차, 기법
2.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공정안전관리
1.1. PSM 12대 실천과제별 세부추진사항 및 주요핵심사항
1.1.1. 공정안전자료
공정안전자료는 우리 공장에서 사용하고 있는 모든 설비와 공정에서 취급하고 있는 화학물질에 대한 정보가 담겨 있다. 안전과 관련된 공정의 시작은 얼마나 자료가 잘 작성되어 있는지에 따라 달라질 수 있기 때문에 공정안전자료가 매우 중요하다.
공정안전자료에는 MSDS가 포함되어 있다. MSDS는 화학물질 제조업자가 취급자의 유해위험에 대한 알 권리를 보장하기 위해 작성한 자료이다. MSDS는 완제품뿐만 아니라 중간제품에 대해서도 작성되어야 한다. 또한 공장에서 취급하는 유해물질과 위험물질의 종류와 수량에 대해서도 표시해야 한다.
유해위험설비의 목록과 사양에 대해서도 공정안전자료에 명시되어야 한다. 유해위험설비의 장치와 설비 사양은 물론이고 사용된 밸브의 사양, 안전밸브의 사양도 포함된다. 공정도면 역시 공정안전자료에 포함되어야 한다. 공정개요와 공정흐름도, 공정배관 등의 목록을 서술해야 한다.
공장의 건축설비에 대한 정보도 공정안전자료에 포함되어야 한다. 철조구조물의 내화구조사양이나 가연성가스의 누설을 탐지하는 설비배치, 안전보호설비의 설치현황 등을 명시해야 한다. 방폭지역의 구분도와 접지계획 및 배치도도 서술해야 하며, 위험설비에 대한 안전설계를 제작하고 이에 대한 설치관련 지침서가 필요하다.
공정안전자료는 공장에서 사용하고 있는 모든 설비와 취급 화학물질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고 있기 때문에, 안전과 직결되는 매우 중요한 자료이다. 공정안전자료를 근로자들이 모두 볼 수 있도록 전산화하여 관리하고 보완내용에 대해서 근로자와 공유해야 한다. 또한 공정안전자료에 대한 확인과 검증 절차를 거쳐야 한다.
1.1.2. 안전운전절차
안전운전절차는 공정 운전사에게 발생할 수 있는 문제를 대비하여 운전자가 안전하게 공정을 운전할 수 있도록 최초의 시운전에서부터 안전설비 계통의 운전방법과 절차까지 운전절차를 정리해놓은 문서라 할 수 있다. 안전운전절차서는 현재의 운전과 절차서의 일치여부를 매년 검토한 후 승인을 받아 작성되며, 이를 부서장의 검토와 승인을 거쳐 안전보건관리 책임자로부터 최종 승인을 받게 된다. 부서원들에게 안전교육을 실시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안전운전절차에는 안전운전을 위한 필수 기술 사항들이 명시되어야 한다. 구체적으로는 운전범위를 벗어났을 때의 조치 방법, 취급물질의 물성과 유해성, 유해위험물질 누출 방지법, 개인보호구 착용방법, 유출물 조치방법, 안전설비계통의 기능 등이 포함되어야 한다.
안전운전절차는 설비를 새롭게 만들거나 보수한 후 실시하는 최초 시운전, 설비의 가동조건이 정상적인 상태에서의 정상운전, 결함 발생 시 신속한 조치가 필요한 비상시 운전, 설비 가동조건을 충족한 상태에서 정상적인 절차로 운전을 정지하는 정상정지, 결함으로 인해 긴급정지가 필요한 비상정지, 설...
참고 자료
김영석, 중·소규모 사업장의 공정안전관리를 위한 웹 기반 프로그램 개발 및 유용성 분석, 서울과학기술대학교 일반대학원, 2023
공정안전관리 12대 실천과제 추진지침 및 실행매뉴얼 자료, 한국산업안전공단
공정안전보고서(PSM) 작성과 이행평가 실무, 김영도, 주현숙 외 1명, 예문사, 2019.09
건설업 위험성평가, 한국건설안전기술(주)
http://www.kcst.co.kr/gb/bbs/board.php?bo_table=share_02&wr_id=83
위험성평가 실시, KRAS 위험성평가 시스템
https://kras.kosha.or.kr/information/danger1_pag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