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1. MZ세대의 등장과 '조용한 퇴사'
1.1. MZ세대의 정의와 특성
MZ세대는 1980년대 초~2000년대 초 출생한 밀레니얼 세대와 1990년대 중반~2000년대 초반 출생한 Z세대를 통칭하는 용어이다. 이들은 시대변화에 빠르게 적응하며 향후 정치, 사회, 경제에 큰 영향력을 발휘할 것으로 기대되는 존재들이다.
MZ세대의 특성은 다음과 같다. 첫째, 조직보다는 개인의 행복을 중요시한다. 둘째, 직장이나 직업은 단순한 수단이자 과정으로 여긴다. 셋째, 일과 삶의 균형인 워라밸(Work-Life Balance)을 추구한다. 넷째, 돈보다 자아실현과 같은 가치를 더 중요하게 여긴다.
이는 기성세대와는 많은 차이점을 보이는데, 과거에는 경제적 어려움 속에서 생존을 위해 회사에 충성하는 것이 중요했던 반면, MZ세대는 회사보다는 자신의 행복을 우선으로 여기며 일과 삶의 균형을 추구한다. 또한 평생 직장이라는 개념을 믿지 않고, 회사에 대한 충성심도 낮은 편이다. 이러한 MZ세대의 직장관과 가치관의 변화는 기존 조직문화와 충돌을 일으키며 MZ세대의 높은 퇴사율로 이어지고 있다.
1.2. 기존 직장관과 MZ세대의 차이
기존 직장관과 MZ세대의 직장관은 상당한 차이가 있다. 기성세대는 평생직장의 개념을 가지고 있었으며, 조직에 충성을 다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생각했다. 하지만 MZ세대는 직장을 평생 다니는 것이 아닌 자신의 행복과 성장을 위한 수단으로 여기는 경향이 있다. 그들은 개인의 가치와 행복이 조직보다 중요하다고 생각하며, 워라밸을 매우 중요하게 여긴다. 또한 돈보다는 자신의 전문성 개발과 자아실현에 더 큰 가치를 부여한다.
이러한 MZ세대의 직장관은 기성세대의 직장관과 크게 다르다. 기성세대가 조직에 충성하며 경력을 쌓는 것이 중요했다면, MZ세대는 자신의 성장과 행복을 위해 기업을 선택하고 필요에 따라 이직을 고려한다. 따라서 MZ세대 직원들을 효과적으로 관리하기 위해서는 기존의 경직된 조직문화를 혁신하고, 개인의 가치와 성장을 존중하는 새로운 방식으로의 변화가 필요하다.
1.3. MZ세대의 퇴사 현상
MZ세대의 퇴사 현상은 최근 주목받는 주제이다. 현재 공공과 민간 부문 모두에서 이들의 잦은 이직과 퇴사가 문제로 대두되고 있다. MZ세대는 1980년대 초반에서 2000년대 초반 사이에 출생한 밀레니얼 세대와 Z세대를 통칭하는 말로, 이들은 기존 세대와는 다른 가치관과 직장관을 가지고 있다.
MZ세대의 퇴사 현상의 주요 원인으로는 우선 낮은 연봉과 연봉 인상률이 지적된다. 공무원의 경우 최저임금 수준에도 미치지 못하는 월급과 더딘 호봉 상승으로 인해 퇴직을 고민하게 된다. 또한 높은 업무 강도에 비해 상대적으로 낮은 보상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