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경우의 수 실생활"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내분비계 비만 동반 질환과 영양관리
1.1. 내분비계 비만 동반 질환
1.2. 2형당뇨병
1.2.1. 원인과 위험요인
1.2.2. 예방과 치료를 위한 영양관리
1.3. 실생활에서의 질환 관리와 예방
1.3.1. 질환 진단 시 생활방식과 식사 관리
1.3.2. 질환 예방을 위한 생활방식과 식사 관리
2. 수분활성도와 미생물 생육
2.1. 수분활성도와 미생물 생육의 관계
2.2. 수분활성도를 낮추어 식품의 저장성을 높인 예
2.3. 세대시간과 세균 개체수 계산
2.4. 미생물의 생육곡선과 생육단계별 특성
2.5. 최확수법을 이용한 대장균수 산출
3.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내분비계 비만 동반 질환과 영양관리
1.1. 내분비계 비만 동반 질환
내분비계 비만 동반 질환은 에너지 불균형이나 호르몬 조절, 유전적 요인 및 환경적 요인, 대사속도 등으로 인해 발생한다. 이에 해당하는 질환에는 2형당뇨병, 지방간, 심혈관계 질환, 암, 관절염 등이 있다.
특히 2형당뇨병은 유전적 요인과 환경적 요인의 영향을 받는데, 유전적으로 당뇨병에 걸리기 쉬운 체질을 물려받고 비만, 스트레스, 고령 등 당뇨병이 발병하기 쉬운 환경에 노출되면 쉽게 발병할 수 있다. 최근에는 과도한 식이섭취와 운동부족으로 인한 비만이 2형당뇨병의 주요 원인으로 대두되고 있다.
지방간은 과도한 음주나 비만, 인슐린 저항성 등으로 인해 간에 지방이 축적되는 질환이다. 심혈관계 질환은 내장지방 축적과 염증 반응으로 인한 동맥경화증 발병이 주요 원인이다. 암은 비만으로 인한 만성 염증과 호르몬 불균형이 암 발생의 위험을 높이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관절염은 과체중으로 인해 관절에 가해지는 부담이 증가하면서 발병할 수 있다.
이처럼 내분비계 비만 동반 질환은 다양한 기전으로 발생하며, 적절한 진단과 함께 생활습관 개선 및 영양관리가 필요하다.
1.2. 2형당뇨병
1.2.1. 원인과 위험요인
2형당뇨병은 일반적으로 유전적 요인과 환경적 요인의 영향을 받는다. 유전적으로 당뇨병에 걸리기 쉬운 체질을 물려받은 사람이 당뇨병이 발병하기 쉬운 환경에 노출되면 다른 이들에 비해 쉽게 당뇨병이 발생할 수 있다. 당뇨병을 유발하는 주요 환경적 요인으로는 비만, 스트레스, 고령, 약물 등이 있다. 특히 근래에 급격히 증가하고 있는 2형당뇨병의 경우 과도한 음식물 섭취와 적은 운동량으로 인한 비만이 주요 원인으로 지목되고 있다. 비만은 체질량 지수 25 이상으로 정의되며, 남자의 경우 허리둘레가 90cm 이상, 여성의 경우 허리둘레가 85cm 이상인 경우 비만에 해당한다. 비만은 간 조직에서의 인슐린 저항성을 초래하여 2형당뇨병이 발생하게 된다. 마른 비만 중 복부비만의 경우에도 2형당뇨병에 노출될 가능성이 높다고 한다.
1.2.2. 예방과 치료를 위한 영양관리
2형당뇨병의 예방과 치료를 위한 영양관리는 매우 중요하다. 우선 비만은 2형당뇨병의 주요 위험요인이므로, 체중감량이 필수적이다. 체중감량을 위해서는 저지방, 저열량 식단과 함께 규칙적인 유산소 운동이 권장된다. 특히 식단에서는 탄수화물 섭취를 줄이고 단백질과 식이섬유가 풍부한 식품을...
참고 자료
인슐린 비의존성 당뇨병/질환백과/서울아산병원
https://www.amc.seoul.kr/asan/healthinfo/disease/diseaseDetail.do?contentId=30860
우리나라 당뇨병 현황과 특징:비비만형 당뇨병 중심으로/이유정외/주간 건강과 질병 제10권 제30호, pp.780-787
www.cdc.go.kr
임상영양학. 곽호경, 김정희, 손정민, 한성림 지음. 출판사 : 출판문화원. 발행일 : 2017년 07월 25일
주식회사 세니젠 블로그 https://blog.naver.com/sanigen/223232759861
한국분석시험연구원 네이버 포스트
https://post.naver.com/viewer/postView.naver?volumeNo=33683983&memberNo=39141473&vType=VERTICAL
김승민, 김선아, 『식품 미생물학』 한국방송통신대학교 출판문화원
변진원, 송주은, 『조리원리』 파워북
고정삼 『식품가공학』 유한문화사
식품의약품안전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