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1. 영유아 안전사고와 대책
1.1. 영유아 연령별 발달특징과 안전문제
1.1.1. 영아기(0~2세) 발달특징과 안전문제
영아기는 계속적으로 발달과 성장이 이루어지는 시기로 정신적, 신체적으로 성숙해 나아가는 과도기에 해당한다. 영아는 대부분을 잠을 자며 얼굴 표정이 드러나기 시작하고, 손에 닿는 것을 쥘 수 있으며 물건을 보려고 애쓰고 노리나는 방향으로 얼굴을 돌리는 특징을 보인다.
이러한 발달적 특징으로 인해 보호 울타리가 없는 침대나 탁자 위에 혼자 있을 경우 추락할 수 있으며, 영아가 날카로운 물건을 쥐거나 잠을 재울 때 바로 뉘우지 않아 질식사고의 위험성도 있다. 또한 혼자서 뒤집고 물건을 입에 잘 넣는 특징으로 인해 뜨거운 기구, 물, 음식 등에 가까이 있어 화상을 입거나 작은 물체를 삼키거나 유독, 약품물질을 입에 넣는 안전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현관이나 계단에 울타리를 설치하지 않아 추락사고도 일어날 수 있다. 따라서 영아의 발달적 특성을 고려하여 안전한 환경을 구성하고, 안전사고 예방을 위한 지속적인 관찰과 교육이 필요하다고 할 수 있다.
1.1.2. 유아기(3~5세) 발달특징과 안전문제
유아기(3~5세)는 신체적, 인지적, 정서적으로 급격한 발달이 일어나는 시기이다. 이 시기 유아들은 활동량이 많고 호기심이 왕성하여 다양한 탐색 활동을 하게 된다. 하지만 유아의 발달 특성상 신체 조절능력과 판단력이 아직 충분히 발달하지 않아 안전사고의 위험이 높다.
유아기 발달특징을 살펴보면, 유아들은 달리고 높은 곳에 기어오르며 계속해서 움직인다. 탐색과 모방행동을 많이 하고 제재받는 것을 잘 참지 못한다. 또한 혼자 하려고 하지만 판단력이 정확하지 못하며, 불에 대한 흥미를 가지고 있다. 이러한 발달적 특성으로 인해 유아가 겪을 수 있는 안전문제로는 불의 위험성을 알지 못해 발생하는 화상, 칼이나 가위 등을 잘 사용하지 못해 발생하는 안전사고, 도로에 혼자 뛰어나가 발생하는 교통안전사고 등을 들 수 있다.
특히 3-5세 유아는 호기심이 강해 여러 가지 상황에 대한 안전교육이 필요하다. 유아들은 영아보다는 신체 조절이 가능하지만 여전히 충동적이고 자기조절이 미숙하여 위험한 장면을 그대로 모방하는 경우가 많다. 따라서 유아에게 자주 발생하는 안전사고 유형, 예를 들어 높은 곳에서 떨어져 다치거나 뜨거운 물건에 화상을 입는 등의 사례를 교육하고, DVD나 시청각자료, 교재 및 교구, 역할극 등을 통해 안전교육을 실시해야 한다.
또한 유아의 발달 특성상 발생할 수 있는 안전문제에 대해 보육교사가 세심한 관찰과 주의 깊은 감독을 해야 한다. 유아들이 미끄러운 바닥, 화장실 타일 바닥, 물이 묻으면 미끄러워지는 플라스틱 등의 환경적 위험요인에 주의를 기울이고, 가위나 접착제 등의 위험한 놀이도구는 교사의 직접적인 지도하에 사용하도록 해야 한다. 또한 유아들이 서랍이나 높은 선반에 올라가는 등의 위험한 행동을 하지 않도록 감독하고 제재해야 한다.
종합해보면, 유아기는 신체적, 인지적 발달이 빠르게 이루어지는 시기로 다양한 안전사고의 위험에 노출되어 있다. 보육교사는 유아의 발달 특성을 충분히 이해하고 위험 요인을 사전에 제거하며, 적절한 안전교육을 실시하여 유아의 안전을 보장해야 한다.
1.2. 어린이집에서의 안전사고 유형과 원인
1.2.1. 급식시 안전사고
보육실내에서 간식과 점심식사시 안전사고 발생 가능성이 있다. 조리된 음식에 온도가 높아 데이는 사고나 간식과 식사 시 국이나 죽 등을 쏟아 영아가 데이는 사고가 발생할 가능성이 있다. 교사는 배식 시 영아가 접근할 수 없도록 지도 감독하며 제공되는 국과 반찬, 죽 등 조리 음식의 온도를 확인하도록 해야 한다. 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