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전기영동 및 플라스미드 추출, 식물 유전자 분석"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Agarose Gel 만들기 및 DNA 전기영동
1.1. Agarose Gel 만들기
1.2. DNA 전기영동
1.3. DNA Loading Dye의 역할
1.4. DNA 전기영동 결과 분석 및 비교
1.5. 전기영동 시 발생할 수 있는 문제점 및 원인
2. Plasmid DNA 추출
2.1. Plasmid의 특성 및 종류
2.2. Alkaline Lysis 방법을 이용한 Plasmid DNA 추출
3. Plant Genomic DNA 추출
3.1. Genomic DNA 추출의 필요성 및 원리
3.2. Cornell Extraction Buffer를 이용한 Genomic DNA 추출
3.3. Spectrophotometer를 이용한 DNA 순도 확인
4.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Agarose Gel 만들기 및 DNA 전기영동
1.1. Agarose Gel 만들기
1% Agarose gel을 만드는 과정은 다음과 같다. 우선 1× TAE 용액 100㎖에 Agar를 1g을 섞어서 1%로 만든다. 그 다음 전자레인지를 사용하여 완전히 녹일 수 있도록 열을 가한다. 또한 magnetic bar와 stirrer를 이용하여 녹일 수도 있지만 전자레인지를 사용하는 것이 가장 편리한 방법이다.
그 후 EtBr을 Agarose gel 용액에 1X만큼 넣어준다. EtBr은 DNA를 염색하는 역할을 하는 물질이다. 보통 EtBr은 별도로 시료, 겔, 염색 과정에서 사용되지만, Agarose gel에 직접 넣어주는 것이 가장 효과적인 방법이다.
이렇게 만들어진 용액을 약간 식힌 후 틀에 부어준다. 그리고 comb을 끼워준다. 완전히 굳으면 틀에서 떼어내고 1× TAE 용액에 담가 보관한다.
이와 같이 Agarose gel을 만드는 과정을 거치면 원하는 농도의 겔을 제작할 수 있다. Agarose 농도에 따라 DNA 분자의 크기 범위가 다르므로, 실험의 목적에 맞는 농도를 선택하는 것이 중요하다.
1.2. DNA 전기영동
DNA 전기영동은 전기장 내에서 하전된 DNA 분자의 이동을 통해 DNA의 크기와 구조를 분석하는 기법이다.
DNA 분자는 음전하를 띠고 있기 때문에 음극에서 양극으로 이동하게 된다. 전기영동 시 DNA의 이동 속도는 DNA 분자의 크기와 구조에 따라 달라진다. 일반적으로 DNA 분자의 크기가 클수록 느리게 이동하며, 동일한 크기의 DNA라도 선형, 환형, 삼중나선 등의 구조에 따라 이동 속도가 다르다. 이를 이용하여 DNA 크기와 형태를 확인할 수 있다.
전기영동은 아가로오스 겔에서 수행되는데, 아가로오스는 해조류에서 추출한 다당류로 이루어져 있다. 아가로오스 겔은 완충액에 녹여 틀에 부어 굳혀 사용한다. 겔의 농도가 높을수록 DNA의 이동이 느려지므로, 분리하고자 하는 DNA 크기에 따라 적절한 아가로오스 농도를 선택해야 한다.
전기영동 과정에서는 DNA 시료에 Loading dye를 함께 넣어 준다. Loading dye는 DNA 시료를 밀도 있게 만들어 겔의 well로 잘 들어가도록 하고, 전기영동 과정에서 DNA의 이동을 가시화할 수 있게 해준다. 일반적으로 브로모페놀 블루 등의 염료가 Loading dye로 사용된다.
전기영동 결과는 자외선 조사 시 EtBr에 의해 형광 발현되는 DNA 밴드 패턴을 통해 분석된다. 크기가 큰 DNA 분자는 느리게 이동하여 상단에, 크기가 작은 DNA 분자는 빠르게 이동하여 하단에 위치하게 된다. 이를 통해 DNA 시료의 크기 분포와 상대적인 양을 확인할 수 있다.
전기영동 과정에서는 다양한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겔 제조 과정의 문제로 불균일한 겔이 만들어지거나, 시료를 과도하게 넣어 밴드가 번지는 현상이 나타날 수 있다. 또한 전압을 너무 높게 설정하면 열 발생으로 인해 DNA가 변성될 수 있다. 이러한 문제를 방지하기 위해서는 실험 과정을 정확히 따르고, 최적의 조건을 설정하는 것이 중요하다.
1.3. DNA Loading Dye의 역할
DNA Loading Dye는 DNA 전기영동 실험에서 DNA 시료를 쉽게 아가로스 겔의 웰(well)에 넣기 위해 사용되는 물질이다. DNA Loading Dye는 주로 브로모페놀 블루(Bromophenol Blue)와 크실렌 시아놀(Xylene Cyanol)과 같은 염료를 포함하고 있다. 이 염료들은 DNA 분자에 비해 작은 크기를 가지고 있어 DNA보다 빨리 이동하므로, DNA 분자의 위치를 간접적으로 확인할 수 있게 해준다.
또한 DNA Loading Dye에는 글리세롤(Glycerol)이 포함되어 있는데, 이는 DNA 시료를 무겁게 만들어 겔의 웰 안으로 잘 들어가게 해준다. 겔 내에서 DNA 시료가 퍼져나가는 것을 방지하고, 전기영동이 진행되는 동안 시료가 웰 바닥에 남아있도록 한다.
DNA Loading Dye에 포함된 색소들은 전기영동이 진행됨...
참고 자료
네이버 지식백과, 연속희석(법) serial dilution (생명과학대사전, 초판 2008, 개정판 2014.강영희) (2021.05.10.) https://terms.naver.com/entry.naver?docId=2693098&cid=60261&categoryId=60261
Anupama Sapkota, Microbe Notes, Basic Microbiology » Serial dilution- definition, formula, calculator, procedure, uses, (May 27, 2020)
『전기영동 최신 프로토콜』, 편집부(강호일 역), 월드사이언스, 2006, p.14-25
네이버 지식백과, 두산백과, 브로민화 에티듐 (2021.05.10.) https://terms.naver.com/entry.nhn?docId=4357380&cid=40942&categoryId=32308
네이버 지식백과, 두산백과, 겔전기영동 (2021.05.10.) https://terms.naver.com/entry.nhn?docId=1261192&cid=40942&categoryId=32251
네이버 지식백과, 미생물학백과, 겔 전기영동 (2021.05.10.)
https://terms.naver.com/entry.nhn?docId=5144700&cid=61232&categoryId=61232
네이버 지식백과, 분자 세포생물학백과, 젤 전기영동 (2021.05.10.) https://terms.naver.com/entry.nhn?docId=5751214&cid=61233&categoryId=61233
이복주 (한국기술교육대학교 컴퓨터공학과 ) ; 문혁 ( 한국기술교육대학교 컴퓨터공학과 ) ; 박종훈 ( (주)넷코덱 ) ; 최영규 ( 한국기술교육대학교 컴퓨터공학과), “PCR Gel 전기영동 이미지 분석을 위한 레인검출 및 추적 알고리즘”, 한국정보처리학회 2017년도 춘계학술발표대회 2017 Apr. 27 , 2017년, pp.577 - 580
이병무, 『유전자 클로닝과 DNA 분석』, 월드사이언스(2017), 34-38p.
이정주, 『유전학원론』, 월드사이언스(2013), 367-374p.
이종호, 『의생명과학 실험서 상권』, 라이프사이언스(2021), 26-28, 163-169, 190-202p.
강해묵, 『생명 생물의 과학 9판 하권』, 라이프사이언스(2016), 721-723p.
김기태, 『실험생물학』, 녹문당(2009), 179-186p.
김순영, 『식물생리학 실험』, 월드사이언스(2012), 115-116p.
이병무, 『유전자 클로닝과 DNA 분석』, 월드사이언스(2017), 25-28p.
한국유전학회, 『유전학실험서』, 라이프사이언스(2004), 129-132p.
“분광검사법”, 분자·세포생물학백과, 한국분자·세포생물학회
“원심분리기”, 생명과학대사전, 아카데미서적(2014)
“DNA 추출”, 미생물학백과, 한국미생물학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