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1. 비비고 BIBIGO 브랜드 개요
1.1. 브랜드 소개
비비고 BIBIGO 브랜드는 국내 최대 식품회사인 CJ에서 국내 내수시장의 한계를 극복하고 지속적인 성장을 위하여 2000년대 중반부터 글로벌화를 추진하기 시작한 한식전문 브랜드이다.
비비고라는 브랜드명은 한국어 "비비다"와 포장해 간다는 의미의 "To-go"의 합성어로, CJ에서 오랫동안 쌓아온 한식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글로벌 한식 대표 브랜드를 만들고자 하여 만들게 된 것이다. 비비고는 해외시장에서 궁중음식, 전통한식을 지향하며, 고급 한식 브랜드로 자리매김하기 위해 다양한 노력을 펼쳐왔다.
1.2. 글로벌 한식 브랜드로의 성장
CJ에서 오랫동안 쌓아온 한식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글로벌 한식 대표 브랜드를 만들고자 하여 만들어진 비비고(BIBIGO)는 해외시장에서 궁중음식, 전통한식을 지향하며, 고급 한식 브랜드로 자리매김하기 위해 다양한 노력을 펼쳐왔다. 비비고는 식재료의 질 향상 및 제품 포장의 고급화를 통해 차별화를 진행한 것이 아니라 시장마다 소비자가 가지고 있는 확연한 선호체계를 고려하여 해외 소비자들의 식습관을 고려해 제품을 차별화하고, 현지 소비자들의 생활 습관과 소득 수준, 지불 의향 등을 반영하여 섬세하게 차별화를 진행하고 있다. 이를 통해 비비고는 집중화된 차별화를 바탕으로 글로벌 식품 시장에서 다양한 성과를 거두고 있다.
2. 비비고의 해외시장 진출 전략
2.1. 차별화의 성공
비비고는 여러 종류의 문화권에 동시에 진출했기 때문에, 전세계 어느 매장에 가더라도 똑같은 맛의 비빔밥을 먹을 수 있게 표준화시켰지만, 다른 메뉴들은 현지 음식문화와 결합해 새로운 형태로 개발했다는 점에서 차별화의 성공을 거두었다"고 할 수 있다. 맛의 차별화, 즉 현지화는 해외 외식시장에서 성공을 거두기 위한 필수요소이다. 음식은 문화요, 생활이기 때문에 입맛이나 식생활이 하루아침에 달라질 리 만무하다. 전통적인 한식은 별미로 어쩌다 한 번 먹어보는 것이지, 일상적으로 먹는 음식이 될 순 없다. 오리지널을 잃지 않으면서 변형의 폭을 넓히는 것이 한식 세계화 전략의 핵심이다. 비비고는 현지 음식문화와 결합해 새로운 형태로 개발하는 등 차별화에 성공했다고 볼 수 있다.
2.2. 표준화의 성공
비비고는 상품의 표준화를 통해 성공적인 해외 진출을 이루었다. 브랜드의 정체성을 유지하기 위해서는 각 지역 매장의 통일성이 중요한데, 각 매장마다 특성이 다르면 확고한 브랜드 이미지를 가질 수 없기 때문이다. 이전 한식 브랜드들이 해외에서 실패한 주요 원인 중 하나도 표준화에 실패했기 때문이었다.
한식을 표준화하기 위해서는 많은 어려움이 따르는데, 한식은 '손맛'과 '밑간'이 중요한 특성을 가지고 있기 때문이다. 이에 CJ는 과감하게 비비고의 비빔밥에서 '간'을 모두 빼버렸다. 간이 강하면 조리 시 원재료에서 수분이 흘러나와 체계적인 조리 시스템을 구축하기 어렵기 때문이다.
비비고는 센트럴 키친에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