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1. 낙상이란?
1.1. 정의
낙상의 정의는 "외적인 충격 없이 어느 순간 균형이나 안정성을 잃으면서 신체의 일부분이 바닥에 닿는 것, 즉 단순히 넘어지는 것"을 말한다. 이는 WHO(세계보건기구)의 정의에 따르면, 본인의 의사와 상관없이 발바닥 이외의 신체 일부가 바닥면에 접지한 경우를 의미한다. 또한 낙상은 주요한 내인성 사고나 위험한 사고의 결과가 아닌, 안정 상태에서 바닥이나 낮은 곳으로 비의도적으로 발생되는 사고로 서 있거나 앉아있거나, 누워 있는 상태에서 갑자기 떨어지는 것을 뜻한다.
1.2. 원인
1.2.1. 내적 위험요인
내적 위험요인이란 개인의 신체적, 정신적 질병이나 장애로 인해 낙상의 위험성이 높아지는 요인을 말한다.
먼저 신체적 질병으로는 뇌졸중, 고혈압, 저혈압, 치매, 파킨슨병, 골다공증, 신장장애, 근골격계 질환, 발작장애 등이 있다. 이러한 질병들은 균형감각 저하, 근력 및 반사 능력 감소, 의식 저하 등을 유발하여 낙상 위험성을 높인다.
또한 시력 및 청력의 장애도 내적 위험요인에 해당한다. 시각과 청각의 감소로 인해 주변 환경을 정확히 인지하지 못하게 되면 낙상 사고가 쉽게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주기적인 시력과 청력 검사를 통해 장애 여부를 확인하고 교정하는 것이 중요하다.
마지막으로 반사반응 속도가 느린 경우에도 낙상의 위험이 높아진다. 갑작스러운 자세 변화나 외부 자극에 신속히 반응하지 못하면 균형을 잃고 넘어질 가능성이 크기 때문이다.
이처럼 노인이나 장애인에게서 자주 발견되는 내적 요인들은 낙상 사고를 일으키는 주요 원인이 된다. 따라서 개인의 건강 상태를 정기적으로 점검하고 관리하는 것이 낙상 예방에 필수적이다.
1.2.2. 외적 위험요인
외적 위험요인은 외부 환경적 요인으로 인해 발생할 수 있는 낙상의 위험을 의미한다. 이러한 외적 위험요인으로는 약물 복용, 보행보조기의 미사용 또는 부적절한 사용, 미끄럽거나 지면이 고르지 못한 장소에서의 보행 등이 있다.
먼저, 약물 복용은 주요한 외적 위험요인이다. 특정 약물, 예를 들어 어지러움이나 두통을 유발할 수 있는 안정제, 근육이완제, 고혈압 약물 등을 복용하는 경우 낙상이 더 잘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복용 중인 약물에 대한 확인이 필요하다.
또한 보행보조기의 미사용 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