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1. 패러데이의 유도 법칙
1.1. 실험 목적
자기장 안에서 회전하는 코일을 통하여 전자기유도 현상을 확인하고, 이때 발생하는 전위차를 측정하여 패러데이의 유도 법칙을 정량적으로 이해하는 것이 실험의 목적이다.
이를 통해 자기장의 변화에 의해 전류가 유도되는 과정을 직접 관찰하고, 유도기전력과 자기선속의 관계를 파악하여 패러데이의 전자기 유도 법칙을 입증할 수 있다.
또한 자석의 움직임에 따른 자기선속의 변화가 유도기전력 생성의 근본 원인임을 확인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전기-기계 에너지 변환 과정을 이해할 수 있다.
1.2. 실험 이론
1.2.1. 자기력선
자기력선(magnetic field lines)은 자기장의 방향을 시각적으로 표현한 가상의 선이다. 자기력선은 자기력의 방향이 아니라 자기장의 방향을 나타낸다. 자기력선 위의 점에서 자기장의 방향은 자기력선의 접선 방향이며, 자기력선이 밀집할수록 자기장의 세기가 커진다.
막대자석의 자기력선은 N극에서 나와 S극으로 들어가며, 자석의 외부뿐만 아니라 자석의 내부도 통과한다. 자기장 베터B가 작용하는 공간에서, 면적 성분 d베터A를 통과하는 자기선속 d PHI_B는 다음과 같이 정의된다. d PHI_B = 베터B · d베터A...(1)
따라서 어떤 곡면 S를 통과하는 자기선속 PHI_B , d PHI_B = ∫_S^{} 베터B · d베터A...(2)로 정의할 수 있다. 자기선속 단위는 웨버(weber)이며, 1Wb=1T· m^{2}이다.
1.2.2. 패러데이의 전자기 유도 법칙
패러데이의 전자기 유도 법칙은 자기장의 변화에 의해 전류가 유도된다는 원리를 설명한다. 전류가 자기장을 발생시키고 자기장이 다시 전류에 힘을 가한다는 사실이 발견된 후, 패러데이는 자기장에 의해서도 전류가 발생할 수 있다는 의문을 가지게 되었다. 이후 실험을 통해 전류가 생성되는 것을 발견하였고, 이를 정리하여 전자기 유도 법칙을 발표하였다.
패러데이의 전자기 유도 법칙에 따르면, 정지상태의 코일에서 자석의 위치를 변화시킬 때 발생하는 자기장의 변화에 의해 전류가 유도된다. 자석이 코일 근처에 정지해 있을 때는 코일에 전류가 흐르지 않지만, 자석이 코일 방향이나 반대 방향으로 움직이는 동안에는 코일에 전류가 흐르게 된다. 이렇게 유도되는 전류를 유도 전류(induced current)라고 하며, 유도 전류를 발생시키는데 필요한 기전력을 유도 기전력(induced emf)이라고 한다.
구체적으로, 코일에 유도되는 기전력은 코일을 통과하는 자기선속의 변화율에 비례한다. 이를 수식으로 나타내면 다음과 같다:
ε = -N(ΔΦ/Δt)
여기서 ε은 유도 기전력, N은 코일의 감은 수, ΔΦ는 자기선속의 변화량, Δt는 시간 변화량이다. 자기선속 Φ는 자기장 B와 코일의 면적 A의 곱으로 정의되므로, 자기장의 변화에 따라 자기선속이 변화하게 된다.
따라서 코일이 자석 사이를 통과할 때 자기장이 변화하게 되고, 이에 따라 자기선속이 변화하여 유도 기전력이 발생하게 되는 것이다. 이때 유도 기전력의 방향은 렌츠의 법칙에 따라 자기선속의 변화를 방해하는 방향으로 생성된다.
이러한 전자기 유도 현상은 발전기, 변압기, 전동기 등 다양한 전기 기기의 동작 원리에 활용되고 있으며, 전자기 유도 법칙은 전자기학 분야에서 매우 중요한 기본 원리로 인정받고 있다.
1.2.3. 에너지
진자의 질량의 중점이 초기 높이 h_i에서 정지상태로 출발한다면, 이것의 위치 에너지는 U=mgh_i 와 같다.
진자가 자석을 통과함에 따라, 일부 에너지는 기계적 마찰열로 사라지고 일부 에너지는 전기 에너지로 변환된 후 저항에 열에너지로 변하게 된다. 이리하여 진자의 질량의 중심과 같은 높이로 상승하지 않고 좀 더 낮은 위치 h_f가 되게 된다.
진자에 의한 전체 에너지 손실은 위치에너지의 변화 값과 같으며, 이는 Total Energy Lost= ΔU=mg(h_f -h_i)로 나타낼 수 있다.
저항에서 흩어진 열에너지는 E= ∫Pdt=Area`under`P``vs.`t`graph 로 표현된다. 여기서 P는 전력이며 t는 시간이다. 전력은 P=I^2(R+r)=( V/r )^2(R+r)의 식에 의해서 주어진다. V는 저항의 전압, I는 코일에 흐르는 전류, R은 코일의 저항이다.
즉, 진자의 운동 과정에서 기계적 에너지의 일부가 열에너지로 손실되고, 나머지는 전기 에너지로 변환되어 저항에서 열에너지로 소모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1.2.4. 자기장의 세기
자기장의 세기는 자기장이 코일 안에서 균일하다고 가정하면 다음과 같이 계산할 수 있다.
자기선속 Φ_B는 자기장 벡터 B와 면적 벡터 dA의 내적으로 정의되며, Φ_B = ∫B⋅dA로 나타낼 수 있다. 식 (3)의 양변에 시간적분을 취하면 ∫ε dt = -NΦ_B가 되고, 이때 Φ_B = ∫B⋅dA이므로 S = -N∫B⋅dA가 된다.
그리고 자기장이 코일 안에서 균일하다고 가정하면 ∫B⋅dA = |B|πr^2이 성립하므로, S = -N|B|πr^2가 된다.
따라서 자석의 자기장 B는 위 식에 따라 |B| = -S/(Nπr^2)로 구할 수 있다. 이 식을 통해 실험에서 측정된 유도기전력 S와 코일의 회전 속도, 지름 등의 정보를 이용하여 자기장의 세기 |B|를 간접적으로 계산할 수 있다.
즉, 자기장의 세기 |B|는 유도기전력 S, 코일의 감은 수 N, 코일의 면적 πr^2을 이용하여 |B| = -S/(Nπr^2)의 관계식으로부터 구할 수 있다는 것이다.
1.3. 실험 기구 및 장치
실험 기구 및 장치는 다음과 같다.
코일막대와 탭(Inducti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