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급성장염"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감염성 장염
1.1. 정의
1.2. 원인
1.2.1. 세균성 장염
1.2.2. 바이러스성 장염
1.3. 증상
1.4. 병태생리
1.5. 진단검사
1.6. 치료
1.6.1. 수분 및 전해질 보충
1.6.2. 약물 치료
1.6.3. 예방접종
1.7. 합병증
1.8. 간호 중재
1.9. 평가
1.10. 예방 및 교육
2.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감염성 장염
1.1. 정의
급성 장염은 바이러스, 박테리아, 기생충 등으로 인해 위와 장에 염증이 생기는 질환을 의미한다. 장염은 크게 감염성 위장염과 비감염성 위장염으로 나뉘며, 감염성 위장염은 다시 세균성 장염과 바이러스성 장염으로 구분된다. 아동들이 주로 걸리는 장염은 로타바이러스에 의한 바이러스성 장염이다"
1.2. 원인
1.2.1. 세균성 장염
세균성 장염은 주로 살모넬라균, 이질균, 대장균 등의 세균에 의해 발생하는 장염이다. 이들 세균들은 오염된 음식이나 물을 섭취하거나 직접적인 접촉을 통해 전파되어 장점막에 유착되면서 염증반응과 상피세포 손상을 유발한다.
살모넬라균은 장티푸스를 일으키는 주요 원인균으로, 오염된 음식이나 물, 동물과의 접촉을 통해 감염된다. 잠복기는 1-3일로 짧으며, 설사, 복통, 오심, 구토 등의 증상이 나타난다. 보통 2-5일 정도 지속되며, 고열, 피로감, 체중 감소 등의 전신 증상이 동반될 수 있다.
이질균은 세균성 이질의 주요 원인균으로, 오염된 음식이나 물을 섭취하거나 사람 간 접촉을 통해 전파된다. 잠복기는 1-2일로 짧으며, 설사, 혈변, 심한 복통 등의 증상이 나타난다. 증상은 보통 1주일 이내에 호전되지만 신경학적 증상이나 용혈성 요독 증후군과 같은 합병증이 발생할 수 있다.
대장균은 주로 음식이나 물의 오염을 통해 감염되며, 출혈성 장염을 일으킨다. 잠복기는 1-3일이며, 심한 설사와 복통, 때로는 혈변이 동반된다. 탈수, 용혈성 요독 증후군 등의 합병증이 발생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세균성 장염은 다양한 경로로 전파되며, 오염된 음식이나 물 섭취가 가장 큰 감염 원인이다. 세균에 따라 증상과 경과, 합병증이 다양하게 나타나므로, 신속한 진단과 적절한 치료가 필요하다.
1.2.2. 바이러스성 장염
바이러스성 장염은 노로바이러스(norovirus)와 로타바이러스(rotavirus)에 의해 주로 발생한다. 노로바이러스는 매우 높은 전염력을 가지고 있어 급식에 의한 집단 식중독 사례를 일으킨 것으로 알려져 있다. 로타바이러스는 아동에게서 가장 흔한 원인균으로, 5세 미만 아동 사이에 설사로 인한 사망의 29%를 차지한다. 2006년부터 미국에서는 영아에게 로타바이러스 예방접종이 권고되고 있으며, 이로 인해 위장관염으로 인한 사망률과 입원율이 크게 감소되는 효과를 보였다.
바이러스성 장염의 경우 겨울철에 유행하는 것이 특징이다. 노로바이러스와 로타바이러스는 저온에서 잘 번식하고 2차 감염이 흔하기 때문에 겨울철에 주로 발생한다. 로타바이러스 장염은 과거에 자주 유행했으나 백신 접종으로 인해 최근 발병 빈도가 많이 줄었다.
바이러스성 장염의 주요 증상으로는 구토, 설사, 발열, 복통 등이 있다. 증상 발생 1-3일 내에 설사와 구토가 나타나며, 일주일 이내에 대부분 자연 치유된다. 하지만 유아나 고령자, 면역이 약한 사람의 경우 탈수나 고열 증상이 심할 수 있다.
바이러스성 장염은 대변을 통해 전파되며, 오염된 음식이나 물, 감염자와의 접촉을 통해 감염된다. 따라서 철저한 개인위생과 함께 오염된 음식이나 물의 섭취를 피하는 것이 예방의 핵심이다. 로타바이러스 감염의 경우 생후...
참고 자료
조경숙 외 10명 성인간호학(상), 현문사(P.396)
김미예 외 16명 아동의 건강문제와 간호, 군자출판사(p.50~61)
제2판 양선희 외 공저(2017), 기본간호학2, 현문사(P.4,11,15,16)
박은영 외 6 간호진단, 중재 및 결과 가이드(2015), 현문사(P.26~30)
김해뉴스 /심재훈 기자 (게재 2017.01.25 10:57)(호수 307)(17면)
서울대학교병원 의학정보 http://www.snuh.org/
이미지 https://images.google.com/
약물이미지 킴스온라인 http://www.kimsonline.co.kr/
KMLE의학검진엔진 http://www.kmle.co.kr/
아동간호학 상권, 박호란 외, 현문사, 2020
아동간호학 하권, 박호란 외, 현문사, 2020
기본간호학, 장성옥 외, 현문사, 2021
국민건강영양조사, https://knhanes.kdca.go.kr/knhanes/sub08/sub08_04.do
약학정보원, https://www.health.kr/main.asp
박호란 외, 『근거기반실무 중심의 아동간호학 상』, 현문사, 2020, p.441(대변검사물)
아주대학교병원 [웹사이트]
http://hosp.ajoumc.or.kr/HealthInfo/DiseaseView.aspx?ai=884&cp=2&sid=
서울아산병원 [웹사이트]
http://www.amc.seoul.kr/asan/healthinfo/disease/diseaseDetail.do?contentId=31725
삼성서울병원 [웹사이트]
http://www.samsunghospital.com/home/hbv/disease/info/view.do?CONT_ID=3035&CONT_SRC_ID=09a4727a8000f1cd&CONT_SRC=CMS&CONT_CLS_CD=001020001
서울대학교병원 의학정보
https://terms.naver.com/entry.nhn?docId=927034&cid=51007&categoryId=51007
안승희, 임현철, 김황민, 어 영&석원석. (2008). 급성위장관염 소아에서 원인체의 분석과 임상증상의 중증도에 대한 연구. 소아감염, 제 15권 (제 2 호). p13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