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1. 미투운동의 배경과 실태
1.1. 성폭력의 만연과 사회적 무관심
우리사회에서 성폭력은 만연하게 존재하고 있지만, 그동안 사회적 관심과 대책은 미미했던 것이 사실이다. 전 세계적으로 여성의 3분의 1이 젠더폭력을 경험하고 있다는 세계보건기구(WHO) 보고서는 이를 단적으로 보여준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강간 및 강간미수 피해자 중 경찰에 신고한 비율은 고작 6.6%에 불과하다. 3일에 1명꼴로 애인, 배우자, 동거친족, 기타 가족 등에 의해 여성이 살해되고 있으며, 성인 여성 5명 중 1명, 남성 100명 중 1명이 성폭력을 경험했다. 또한 가정폭력 중 아내폭력이 65%를 차지하고 여성 근로자 10명 중 4명이 직장 내 성희롱을 겪은 것으로 나타났다. 더욱이 성매매 종사자는 약 27만 명으로 전체 여성 인구의 약 1%에 달한다. 이처럼 성폭력과 성차별은 사회 전반에 걸쳐 만연해 있지만, 그동안 이에 대한 사회적 관심과 대응은 미흡했던 것이 사실이다.
1.2. 미투운동의 등장과 확산
미투운동의 등장과 확산은 미국에서 시작되어 전 세계로 퍼져나가며 한국 사회에도 큰 영향을 미쳤다".
미투운동은 2017년 10월, 할리우드 영화제작자 하비 와인스타인의 성추문이 폭로되면서 시작되었다. 배우 알리사 밀라노가 트위터에 "사람들에게 성폭력의 규모를 알리기 위해 해시태그 '#MeToo'에 동참하라"고 호소하면서, 전 세계 여성들이 자신의 경험을 공유하기 시작했다. 불과 24시간 만에 약 50만 건의 트윗이 쏟아져 나왔고, 이는 곧 세계적인 운동으로 번졌다.
한국의 경우 2018년 초, 검사 서지현이 자신의 성추행 경험을 폭로하면서 미투운동이 촉발되었다. 이어 문화예술계와 정치권, 법조계, 대학, 종교계 등 사회 각 분야로 미투운동이 확산되었다. 특히 한국사회의 성차별적 문화와 권력형 성범죄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면서 미투운동이 더욱 거세졌다.
미투운동이 널리 확산될 수 있었던 배경에는 여성의 사회·경제적 지위 향상, SNS 등 온라인 공간에서의 고발창구 다양화, 그리고 촛불집회를 통한 사회 고발 인식 변화 등이 있었다. 더 이상 침묵할 수 없었던 피해자들이 자신의 경험을 공유하면서, 그동안 사회적으로 무관심했던 성폭력 문제가 부각되었다.
이처럼 미투운동은 성차별적 문화와 권력형 성범죄에 대한 문제를 제기하며 우리 사회에 큰 영향을 미쳤다. 과거에는 침묵하던 피해자들이 자신의 목소리를 높이면서, 성폭력 문제에 대한 사회적 관심과 인식이 크게 제고되었다.
1.3. 직장 내 성희롱 실태
직장 내 성희롱 실태는 심각한 수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