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학교사회복지 코로나 학생 취약점 및 대응 방안 분석"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코로나19 시기 취약계층 학생의 문제와 학교 사회복지의 대응
1.1. 코로나19 상황으로 인한 취약계층 아동의 문제
1.2. 학교 사회복지의 대응 방안
2. 애착의 개념과 유형 및 자신의 애착 분석
2.1. 애착의 개념과 유형
2.2. 자신의 애착유형과 주양육자와의 관계
3. 현대 사회복지 관련법의 발달사와 문제점 및 개선 방안
3.1. 현대 사회복지 관련법의 발달사
3.2. 현재 주요 쟁점이 되는 사회복지법
3.3. 현재 시행 중인 사회복지 관련법의 문제점과 개선방안
4.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코로나19 시기 취약계층 학생의 문제와 학교 사회복지의 대응
1.1. 코로나19 상황으로 인한 취약계층 아동의 문제
코로나19 상황으로 인한 취약계층 아동의 문제는 매우 심각하다고 볼 수 있다. 코로나19로 인한 경기 침체는 실직과 구조조정, 감봉 등의 어려운 상황을 초래하였고, 이를 극복하기 위해 코로나 이전과 같이 자녀를 돌보는데 시간과 정성을 투자하지 못하는 상황이 발생했기 때문이다.
이에 따라 취약계층 가정의 아동들은 학대, 방임, 결식, 인터넷 중독, 학력 미달, 사회적 고립 등 다양한 문제에 노출되었다. 먼저, 사회적 거리두기로 인한 또래와의 관계 축소, 홀로 보내는 시간 증가 등으로 인해 아동의 심리·정서적 결손이 발생했다. 이는 컴퓨터와 스마트폰의 중독적 사용으로 이어져 불안, 우울, 스트레스를 초래하였다.
또한 온라인 및 등교수업에 대한 적응도가 낮고 친구, 교사와의 관계성도 부족한 것으로 나타났다. 경제적으로 취약한 아동의 경우 학습, 수면, 운동 등의 여건이 매우 열악했으며, 미디어 사용 시간은 상대적으로 높고 낮 동안 성인 보호자가 없는 경우가 많았다. 이로 인해 이들 아동의 정신건강과 스트레스가 증가하고 온라인 게임 중독과 같은 문제행동이 발생하였다.
결국 코로나19는 취약계층 아동에게 교육적 격차, 심리·정서적 문제, 돌봄 공백 등 다양한 어려움을 안겨주었다. 이는 아동의 건강한 성장과 발달을 저해하는 심각한 상황이라고 볼 수 있다.
1.2. 학교 사회복지의 대응 방안
코로나19의 장기화로 인한 등교 제한 조치로 인해 취약계층 학생들은 학업 결손, 정서적 문제 등 다양한 어려움에 처해있다. 이러한 상황에서 학교 사회복지의 대응 방안은 다음과 같다.
학교 사회복지사는 현장의 변화에 신속하게 대응하여 지역의 다양한 자원을 제공하고, 비대면 상황에서도 전화나 SNS, 가정 방문 등을 통해 유기적으로 대응하였다. 가정 방문을 통해 취약계층 학생들에게 필요한 물품을 지원하고, 학생과 가정의 상황을 관찰하여 전자기기 사용 습관, 생활 습관 관련 문제, 경제적 어려움, 방임과 학대, 학습 문제, 폭력 등의 위기 사례를 발굴하는 등의 적극적인 노력을 기울였다. 이를 통해 학교 사회복지사는 사례 관리의 역할을 수행하며, 코로나19 등의 사회적 위기 상황에서 취약계층 학생을 지원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였다.
또한 학교 사회복지사는 지역사회 내 기관들과의 네트워크를 형성하여 당사자 학생과 지역사회...
참고 자료
강현주, 학교 사회복지에서의 사례관리 실천방안연구, 학교 사회복지, 14, 1-31, 2008
최아라, 코로나19 아동 돌봄 쟁점과 과제, 인문 사회 21, 2020
김선숙 등, 포스트 코로나 시대, 아동 권리 보장을 위해 사회는 무엇을 할 것인가? 아동과 권리, 2020
이태인 외, 코로나19 상황에서 학교사회복지사의 직무 현황, 학교 사회복지, 2020
윤혜미, 코로나19와 아동학대, 아동 권리 이슈 Brief, 2020
김유리, 배현순, 코로나19 이후의 학생 심리지원을 위한 마음 챙김 교육: 해외사례를 중심으로, 서울특별시 교육청 교육 연구 정보원, 2020
이근영 외, 코로나19 전후 학생들의 심리와 정서변화 연구, 경기도 교육연구원, 2021
김유리, 코로나19 전후 학생들의 심리와 정서변화 : 서울 학생들을 중심으로, 서울교육 이슈 페이퍼, 2021
성인 애착 유형과 자기개념, 효능감, 대처 양식, 사회적지지 수준과 대인불안의 관계, 신노라, 안창일, 2004년, 한국임상심리학회
https://www.kci.go.kr/kciportal/ci/sereArticleSearch/ciSereArtiView.kci?sereArticleSearchBean.artiId=ART000940274
청소년의 대인관계문제 원형모형: 주 양육자와의 애착 및 기본심리욕구 만족과의 관계, 조영주, 서현지, 2018년, 한국상담심리학회
https://www.kci.go.kr/kciportal/ci/sereArticleSearch/ciSereArtiView.kci?sereArticleSearchBean.artiId=ART002349775
윤찬영(2013). 『사회복지법제론』. 나남출판사
염형국(2021).『탈시설의 법적 근거 및 관련 쟁점 분석』, 참여연대
정민지(2020). 『장애인 복지정책의 현황과 개선 방안』. 사회복지정책
조성민, 2021.『[장애인탈시설지원법] 법 발의, 의의와 전망』, 인디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