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레포트 나의 가족의 이야기"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가족과 인간관계
1.1. 가족의 가계도 그리기
1.1.1. 나의 가족 구성원 및 상호작용 관계
1.1.2. 보다 화목한 가정을 위한 대안
1.2. 가족 치료와 상담
1.2.1. 가족치료의 배경과 목적
1.2.2. 가족치료 과정과 관점
1.3. 인간관계 개선을 위한 제안
2. 노화와 노년기
2.1. 노화의 정의 및 특성
2.2. 나의 노년기 하루 상상하기
2.3. 성공적인 노화를 위한 준비
3.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가족과 인간관계
1.1. 가족의 가계도 그리기
1.1.1. 나의 가족 구성원 및 상호작용 관계
우리 가족의 가족구도 및 가족구성원 간 상호작용 관계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나와 남편의 관계이다. 우리 부부는 결혼한 지 37년이 되었으며, 아주 친밀한 관계도 아니지만 소원하거나 갈등을 겪는 관계도 아닌 보통 관계라 할 수 있다. 남편이 건설회사에 다니며 출장 및 지방 근무를 많이 하였기 때문에 많이 소통을 못한 것 치고는 괜찮은 관계라 생각한다.
둘째, 남편과 나와 자식들과의 상호관계를 살펴보면 큰 아들은 성격이 딸처럼 성격이 부드러워 남편이나 나와 모두 친밀한 관계를 잘 이어가고 있다. 결혼 후에 부모 마음을 이해해서 그런지 주말마다 찾아와 식사를 자주하는 편이다. 둘째 아들은 나와는 전화 통화를 자주 하지만, 남편과는 전화 통화도 자주하지 않고 집에 와도 대화가 별로 없는 것을 보아 소원한 관계라고 할 수 있다. 셋째 막내딸은 워낙 눈에 넣어도 안 아플 정도로 사랑을 많이 준 자식이라 남편과 나와 모두 친밀하게 지내고 있다.
마지막으로 친정 부모님과의 관계를 살펴보면, 두 분 사이는 동갑으로 친밀할 것 같지만 의외로 보통 관계라 할 수 있고, 나와 아버지는 성격이 잘 맞지 않아 갈등관계이며, 이런 영향을 받아 남편과 친정아버지 관계도 좀 소원한 관계라 할 수 있다.
1.1.2. 보다 화목한 가정을 위한 대안
보다 화목한 가정을 이루기 위한 대안으로는 첫째, 상호 존중과 배려하는 마음을 가지고 상대방의 말을 잘 경청하는 자세가 필요하다. 나와 아버지가 갈등을 겪게 된 원인도 아버지가 나의 말을 잘 듣지 않고 자신의 이야기만 계속해서 하셨던 영향이 크며, 이러한 영향으로 나는 아이들의 말을 잘 경청하려고 노력해왔다.
둘째, 지금보다 더 많은 소통을 하여야 한다. 소통은 만나서 식사나 이야기하는 자리도 좋지만, 전화 통화나 카톡 등 SNS를 활용하는 것도 좋다고 생각한다.
셋째, 가족 구성원 간에 상호 솔직한 마음을 표현하여야 한다. 섭섭한 마음이 들었다면 바로 이야기하고 풀어야한다. 두고두고 쌓아두고 이자까지 붙여서 키우는 것은 나중에 더 큰 문제의 원인이 될 수 있기 때문이다.
이처럼 가족 간 서로 존중하며 경청하고, 자주 소통하며, ...
참고 자료
인간관계론 교안
Michael P. Nichols 지음, 김영애 옮김, 출판사 시그마프레스
제석봉, 가족치료, 정민사, 2014.09.15.
김일식 김계령. "노화 패러다임 변화의 필요성." 선도문화 26.- (2016) 성공적 노화에서 인간완성으로.
홍금희. "중년기의 노화 불안과 성공적 노화 요소 및 노후 준비." 국내 석사학위논문 부산대학교 대학원, 2014. 부산
이옥기. "노인의 자기 역할 수행과 삶의 만족도가 성공적 노화에 미치는 영향." 국내 박사학위논문 대구한의대학교, 2017. 경상북도
노화의 정의 및 분류·권인순. 인제 대학원대학교 내과. 2007.
https://synapse.koreamed.org/upload/synapsedata/pdfdata/0119jkma/jkma-50-208.pdf
서울아산병원 홈페이지. 질환백과. 의료정보
https://ent.amc.seoul.kr/asan/healthinfo/disease/diseaseDetail.do?contentId=313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