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국제간호 의료시스템"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국가별 의료시스템 및 의료문화 비교
1.1. 영국의 의료시스템과 의료문화, 국제간호
1.2. 미국의 의료시스템과 의료문화, 국제간호
1.3. 독일의 의료시스템과 의료문화, 국제간호
1.4. 일본의 의료시스템과 의료문화, 국제간호
2. 한국의 의료 시스템
2.1. 의료체계
2.2. 의료보험제도
2.3. 의료 시스템의 특징
3. 한국 의료 시스템의 개선 방향
4. 우리나라 의료의 세계화를 위한 전략
5.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국가별 의료시스템 및 의료문화 비교
1.1. 영국의 의료시스템과 의료문화, 국제간호
영국의 의료시스템은 국가의료제도(NHS)를 통해 운영되고 있다. NHS는 1948년에 시작되었으며, 정부가 운영하는 병원을 지정하고 의사를 찾아가 의료서비스를 제공받는 제도이다. 환자들은 약 처방을 포함한 무료 의료와 치과 서비스를 받을 수 있으며, 국민 세금으로 운영된다. 또한 장애인에 대해서는 모든 서비스가 무료로 제공된다는 특징이 있다.
그러나 지속적인 의료 개발로 인해 복잡하고 비용이 많이 드는 서비스가 증가하면서 의료비 부담이 커졌고, 이에 따라 NHS의 재원이 부족해지는 현상이 발생하였다. 이로 인해 응급진단과 치료를 제외하고는 치료가 지연되는 경우가 많아졌다. 이러한 불편함을 이유로 많은 사람들이 개인 병원을 찾아 민영 건강보험에 가입하고 있는 추세이다.
한편, 영국은 국제간호에 있어 선구적인 나라 중 하나로 꼽힌다. 1899년 설립된 국제간호 협의회가 영국인 펜위크 여사의 발의에 따라 구성되었으며, 1900년 창립총회가 런던에서 개최된 후 펜위크 여사가 회장으로 선출되었다. 이 단체는 국제적으로 간호사와 간호사를 대표하는 공식 기구로 활동하며, 간호사의 질 향상, 전문직 종사자의 지위 향상, 간호의 수준 향상을 위해 회원국의 간호협회를 지원하는 등의 일을 수행하고 있다.
1.2. 미국의 의료시스템과 의료문화, 국제간호
미국의 의료시스템은 고비용과 저효율의 특성을 보인다. 미국의 의료체계는 약 70%가 완전히 시장에 의지하고 있으며, 20%는 정부가 부담하는 노인과 빈곤층 대상의 의료보험제도인 메디케어와 메디케이드로 이루어져 있다. 나머지 10%는 의료보험이 없는 사람들로 구성되어 있다.
미국의 의료보험제도는 크게 사보험과 직장보험으로 나뉘어 운영되고 있다. 사보험은 개인이 보험회사에 직접 연락하여 가입하는 제도이며, 직장보험은 고용주가 보험회사에 가입하고 직장인이 회사가 제공하는 보험에서 선택하여 가입하는 제도이다. 보험료는 고용주와 본인이 일정 비율로 분담한다.
메디케이드는 연방정부와 주정부의 공동 프로그램으로 운영되는 공적부조제도이다. 대상자 선정 기준, 급여 내용, 지불 방식 등이 주별로 상이하다. 메디케어는 일정 기간 이상 사회보장세를 납부한 65세 이상 노인, 65세 미만 일부 장애인, 만성신부전 및 근위척성 축삭경화증 환자를 대상으로 하는 사회보험 방식의 의료보장제도이다. 연방정부와 주정부의 지원이 혼합된 형태로 운영된다.
한편 2010년 오바마케어(Affordable Care Act)가 도입되어 메디케이드나 메디케어에 해당되지 않는 서민층을 위한 의료보험제도가 마련되었다. 정부가 운영하는 웹사이트 '마켓플레이스'에서 제공되는 사보험에 가입할 수 있으며, 보험료가 개인이 사보험에 직접 가입하는 것보다 저렴한 것이 특징이다.
미국 의료시스템의...
참고 자료
보건사회연구원, 일본의 사회보장 제도, 1992
허준평, 의료법체계의 비교법학적 연구, 연세대 보건대학원, 1998
국제간호 3쇄/포널스출판사/김신정,김희숙,류화라 외 공저
국민건강보험공단
http://www.nhis.or.kr/menu/retriveMenuSet.xx?menuId=B1100
https://blog.naver.com/aeston/221508471229
NHS- What We do?, https://www.england.nhs.uk/about/about-nhs-england/
제22차 ICN총회-ICN 은 어떤 기구, 간호사신문, http://nursenews.co.kr/main/ArticleDetailview.asp?sSection=61&idx=5346
건강보험공단 - 영국, 미국의 건강보험,
건강사회를 위한 약사회, http://www.pharmacist.or.kr/node/1664
주요국의 의료서비스산업 정책 연구, 한국보건산업진흥원, 정책-보건의료-2012-1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