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2025 인도네시아 경제

  • 1
  • 2
  • 3
  • 4
  • 5
  • 6
>
다운로드

상세정보

소개글

"2025 인도네시아 경제"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ASEAN 경제 현황과 인도네시아의 경제발전 계획
1.1. ASEAN의 개요
1.2. ASEAN 경제 현황
1.3. 인도네시아 경제 개관
1.4. 인도네시아 경제발전 계획: MP3EI

2. 인도네시아 조코위 정부의 국가개발정책
2.1. 조코위 정부의 경제정책 기조
2.2. 경제적 특징
2.3. 대외정책적 특징
2.4. 수도 이전 정책

3.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ASEAN 경제 현황과 인도네시아의 경제발전 계획
1.1. ASEAN의 개요

ASEAN은 동남아시아국가연합의 약칭으로, 1967년 8월 8일 방콕에서 창설된 지역협력기구이다. ASEAN의 창립국은 인도네시아, 말레이시아, 태국, 필리핀, 싱가포르 등 5개국이다. 이후 브루나이(1984년), 베트남(1995년), 미얀마, 라오스(1997년), 캄보디아(1999년)가 가입하면서 현재 10개국으로 구성되어 있다. ASEAN의 창설 목적은 경제성장, 사회진보 및 문화발전의 촉진, 평화와 안정의 촉진, 상호원조와 협력의 증진, 교육과 행정 분야의 협력, 농공업 및 무역의 진흥, 동남아연구의 촉진, 국제기구와의 협력 등이다. ASEAN은 방콕선언에서 동남아의 안전을 지키고 외국군사기지의 일시적 성격을 명시하였으며, ASEAN의 목적과 원칙에 동의하는 모든 동남아 국가들에게 문호를 개방하고 있다. 따라서 ASEAN은 정치, 안보, 경제, 사회문화 등 다양한 분야에서 지역협력을 추진하는 동남아시아의 대표적인 지역기구라고 할 수 있다.


1.2. ASEAN 경제 현황

ASEAN은 세계에서 가장 많은 인구수를 가진 중국 및 인도와 비교하여 1/2 정도에 달하는 약 6억 5천만의 인구를 보유하고 있다. ASEAN 10개국 중에서 인도네시아가 가장 많은 2억 6~7천만명으로 세계 4위의 인구수를 자랑하고 있으며, 다음으로 필리핀과 베트남이 각각 1억 6백만명과 9천 6천만명으로 뒤를 따르고 있다. 이어서 태국과 미얀마가 각각 6천 9백만명과 5천 4백만명의 인구를 보유하고 있다. 인구 측면에서 ASEAN은 인도 인구의 반 정도를 차지하지만 GDP는 인도 대비 10% 높다.

ASEAN 전체 GDP는 약 USD 2조 9864억으로 전 세계 총 GDP의 3.45%를 차지하고 있다. ASEAN은 중국이나 인도와 달리 동질적이지 않고 소득 수준과 발전 단계별로 차이가 매우 크다. 소비 시장 측면에서 ASEAN전역으로 다양한 상품군의 전개가 가능하고 노동력 측면에서도 숙련된 인력 활용이 가능한 지역이 있는가 하면 낮은 인건비로 제조 생산에 유리한 지역까지 ASEAN 지역은 소비와 생산 측면에서 모두 다양하게 활용이 가능하다. 또한, ASEAN은 세계에서 가장 연령이 젊은 지역 중의 하나이다. 20~30년 이후에도 생산과 소비면에서도 여전히 잠재력이 높은 지역이 될 것이다. 그리고 전체 94%가 교육을 받은 인구로서 인도보다 높은 교육수준을 보이고 있다.

종합하면 ASEAN은 세계에서 가장 젊고 활기찬 지역이며, 향후 20~30년 동안에도 생산과 소비 측면에서 높은 잠재력을 보유하고 있다고 할 수 있다.


1.3. 인도네시아 경제 개관

인도네시아의 경제는 크게 광물자원, 농업자원, 관광자원의 영향을 많이 받는다. 특히 광물자원의 수출 관련 제조업 육성, 외국인투자 유치 등 광산업 부문의 발달이 장기간 경제성장의 원동력으로 작용하고 있다. 인도네시아는 아시아 금융위기 이후 20년(2000~2019년)간 연평균 5.3%의 견조한 경제성장을 시현하고 있으며, 코로나 19 펜데믹으로 민간소비와 투자가 동반 감소하면서 2020년 -2.1%의 역성장을 기록했다. 그러나, 2021년 2분기부터 원자재 수출가격...


참고 자료

2013년 인도네시아 경제발전경험 공유사업(KSP): KDI한국개발연구원, 66-77, 2013년
Asian Development Bank, ”Asian Development Outlook(ADO)”, 2023년 12월
Goldman Sachs, “The Path to 2075 – Slower Global Growth, But Convergence Remains Intact”, 2022년 12월
PWC 삼일회계법인, “Doing Business in ASEAN”, 2019년 11월.
The World Bank, “Semi-annual Indonesia Economic Prospects” 2023년 12월.
고영경, “2023년 세계경제 전망은 어둡지만 동남아 경제는 밝은 이유.” 조선일보(2023).
고창현, “왜 지금 인도네시아인가.” 2023 나라경제 8월호(2023): 62-63.
네이버프리미엄콘텐츠. “인도네시아 경제가 한국경제를 추월한다고?: 경제성장에 관한 진실” 마지막 접속날짜 2024.1.3.  Hyperlink "https://contents.premium.naver.com/snahm/knowledge/contents/221215162234438ge" https://contents.premium.naver.com/snahm/knowledge/contents/221215162234438ge
신짜오 베트남, “인도네시아는 세계적인 경제대국이 될 것인가?” BIZ Special Report, Xinchao BIZ(2023).
이지혁, 국가신용도 평가리포트: 한국수출입은행 해외경제연구소, 2-19, 2023년 4월
조대현, 인도네시아, 10대 경제국 부상 위한 마스터플랜 수립: 포스코경영연구원, 62-64, 2011년 9월
최경희, 인도네시아 경제발전계획, MP3EI: 한국동남아연구소, 1-5, 2012년 3월
박재봉, 『인도네시아의 세계해양대국 건설과 natuna제도 영토분쟁』, 동남아연구소 26권 2호, 『한국외국어대학교 동남아연구소』, 2016년, 99p - 126p
서지원, 전제성, 『인도네시아 2016: 조코위의 기반 다지기와 정체성의 정치의 도전』, 동남아시아연구 27권 2호, 『한국동남아학회』, 2017년, 216p - 243p
박경서, 『인도네시아: 조코위, 2016년 개혁의 기로에 서다 - 조코위 지지율 62%p서 46%로 하락 지지부진한 정치개혁, 성장률 하락으로 실망감 화산폭발, 가뭄 등 자연재해도 잇따라』, CHINDIA Plus 112권, 『포스코경영연구소』, 2016년, 52p - 52p
조대현, 『조코위 정부, 최우선 국정과제로 추진하고 있지만 민자 유치 확대정책 등 내부 개혁 통한 실행이 관건』, CHINDIA Plus 132권, 『포스코경영연구원』, 2018년, 58p - 59p
조대현, 『조코위 대통령 재선 친시장 개혁 탄력 예상 정부 개혁과 수도 이전이 2기 정부의 초기 이슈』, CHINDIA Plus 135권, 『포스코경영연구원』, 2019년, 14p - 15p
최인아, 신민이, 『조코위 2기 정부의 경제, 대외 정책 방향과 신남방정책에 대한 시사점』, 대외경제정책 19권 11호, 『KIEP대외경제정책연구원』, 2019년, 33p - 60p
최경희, 『인도네시아 조코 위도도 대통령 2기 정부 정책 전망』, 아시아연구소 13권 5호, 『서울대학교 아시아연구소』, 2019년, 124p - 160p
박재봉, 『인도네시아의 세계해양대국 건설과 natuna제도 영토분쟁』, 동남아연구소 26권 2호, 『한국외국어대학교 동남아연구소』, 2016년, 99p - 126p
서지원, 전제성, 『인도네시아 2016: 조코위의 기반 다지기와 정체성의 정치의 도전』, 동남아시아연구 27권 2호, 『한국동남아학회』, 2017년, 216p - 243p
박경서, 『인도네시아: 조코위, 2016년 개혁의 기로에 서다 - 조코위 지지율 62%p서 46%로 하락 지지부진한 정치개혁, 성장률 하락으로 실망감 화산폭발, 가뭄 등 자연재해도 잇따라』, CHINDIA Plus 112권, 『포스코경영연구소』, 2016년, 52p - 52p
조대현, 『조코위 정부, 최우선 국정과제로 추진하고 있지만 민자 유치 확대정책 등 내부 개혁 통한 실행이 관건』, CHINDIA Plus 132권, 『포스코경영연구원』, 2018년, 58p - 59p
조대현, 『조코위 대통령 재선 친시장 개혁 탄력 예상 정부 개혁과 수도 이전이 2기 정부의 초기 이슈』, CHINDIA Plus 135권, 『포스코경영연구원』, 2019년, 14p - 15p
최인아, 신민이, 『조코위 2기 정부의 경제, 대외 정책 방향과 신남방정책에 대한 시사점』, 대외경제정책 19권 11호, 『KIEP대외경제정책연구원』, 2019년, 33p - 60p
최경희, 『인도네시아 조코 위도도 대통령 2기 정부 정책 전망』, 아시아연구소 13권 5호, 『서울대학교 아시아연구소』, 2019년, 124p - 160p

주의사항

저작권 EasyAI로 생성된 자료입니다.
EasyAI 자료는 참고 자료로 활용하시고, 추가 검증을 권장 드립니다. 결과물 사용에 대한 책임은 사용자에게 있습니다.
AI자료의 경우 별도의 저작권이 없으므로 구매하신 회원님에게도 저작권이 없습니다.
다른 해피캠퍼스 판매 자료와 마찬가지로 개인적 용도로만 이용해 주셔야 하며, 수정 후 재판매 하시는 등의 상업적인 용도로는 활용 불가합니다.
환불정책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