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1. 서론
1.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위염(Gastritis)은 위점막에 발생한 염증성 질환으로 급성과 만성으로 분류된다. 응급실에 방문하는 대상자들이 가장 많이 호소하는 증상이 복통이다. 복통의 가장 흔한 원인은 위 또는 십이지장 같은 상부위장관의 염증이다. 건강검진 차 내시경을 시행하면 대부분이 위염을 가지고 있을 만큼 흔한 질병이다. 많은 사람들이 위염으로 인한 복통으로 응급실을 방문하기 때문에 위염이라는 질환을 선택하게 되었다.
통계자료에 따르면 위염 및 십이지장염 환자 수는 해가 지남에 따라 점점 감소하는 추세를 보인다. 환자 수가 감소하고 있지만, 2020년 다빈도 질병 통계에 따르면 질병별 환자 수 상위 8번째를 차지할 만큼 많은 환자 수가 있다. 감염에 취약하고 회복이 더딘 50~60대, 음주와 흡연을 하는 경우 많이 나타나는 질환이기 때문에 각별한 주의가 필요하다.
따라서 이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은 위염 환자의 건강관리를 위해 위염의 원인, 증상, 진단, 치료 및 간호 등에 대해 문헌고찰을 하고 이를 토대로 간호과정을 적용하여 효과적인 간호중재 방안을 제시하고자 하는 것이다.
2. 문헌고찰
2.1. 위의 구조와 기능
위는 복강의 좌상부에 위치하며 약 25cm로 용적은 1,500mL이며 약 4L의 음식과 수분을 보유할 수 있을 만큼 확장 가능한 팽창성 기관이다. 위는 분문부, 위저부, 몸체, 유문부로 나뉜다. 위는 음식을 저장하고, 기계적으로 잘게 부수며, 단백질 소화를 시작하고 음식을 위액과 섞어 미즙이라 불리는 진한 액체로 만든다. 위 분비샘과 연결된 내막의 구멍은 하루에 4~5L의 위액을 생산한다."위의 점막층은 위산으로부터 위벽을 보호하는 기능을 한다. 위점막 방어벽이 손상을 입으면 염산과 펩신이 위조직과 만나게 되어 염증이나 표재성 미란이 발생한다. 작은 혈관들이 손상되어 부종과 출혈이 생기고 궤양을 형성하게 된다. 급성 위염의 경우 국소적이고, 위 점막이 빠르게 재생된다."
2.2. 위궤양의 정의
소화성궤양 중 십이지장궤양이 위궤양보다 흔하다. 만성위궤양은 위장의 유문부 근처 소만부에서 흔히 발생한다. 소화성궤양은 2년 내에 대상자의 1/3이 재발한다. 홍차, 커피, 콜라, 술, 궤양을 유발하는 항염증성 약물등을 피하고, 금연하면 재발 가능성은 감소한다."
2.3. 위궤양의 원인
위궤양의 원인은 주로 헬리코박터 파일로리균 감염, 진통제 복용, 흡연, 스트레스 등을 들 수 있다. 이 중 가장 흔한 원인은 헬리코박터균 감염이다. 헬리코박터 파일로리는 인류에게 가장 흔한 병원균 중 하나로 위에서 서식하며 만성위염과 소화성궤양을 유발한다. 위궤양 환자의 거의 100%에서 헬리코박터 파일로리가 발견된다고 알려져 있다.
비스테로이드성 소염제 사용도 위궤양의 주요 원인이 된다. 프로스타글란딘은 점막의 방어기제 유지에 필수적인데, 비스테로이드성 소염제는 이 프로스타글란딘의 합성을 억제하여 점막 손상을 유발한다. 대부분의 비스테로이드성 소염제 복용자는 합병증을 경험하지 않지만, 아스피린의 경우 소량만 사용해도 합병증이 생길 수 있다. 특히 60세 이상 고령에서 위궤양 발생의 위험이 급속히 증가한다. 비스테로이드성 소염제 복용자의 25%에서 위궤양이 발생하고, 장기간 복용자의 2~4%에서 심각한 합병증이 발생한다.
그 밖에도 유전적 소인, 혈액형(O형에서 호발), 흡연, 알코올, 식이, 스트레스 등이 위궤양의 원인으로 지목된다. 흡연과 과도한 음주는 위궤양의 재발을 유발하는 요인으로 알려져 있다. 또한 식이 습관, 특히 맵고 자극적인 음식은 위점막 방어력을 약화시켜 위궤양을 악화시킬 수 있다. 심한 스트레스도 위궤양 발생의 주요 원인으로 여겨진다.
종합하면, 위궤양의 주요 원인으로 헬리코박터 파일로리균 감염, 비스테로이드성 소염제 복용, 흡연, 음주, 자극적인 식단, 스트레스 등을 들 수 있다. 이러한 요인들이 위점막의 방어력을 약화시켜 결과적으로 위궤양이 발생하게 된다.""
2.4. 병태생리
위궤양은 점막의 방어벽 손상에 의해 발생하며, 위의 유문부에서 2.5cm 이내의 소만곡에서 주로 발생한다. 유문부가 제대로 기능하지 못함에 따라 정상적으로 위를 방어하는 점액 생성이 감소하게 된다. 그 결과 담즙산이 섞인 십이지장의 내용물이 역류하여 점막 방어벽을 파괴하게 된다. 이는 위점막 혈액순환 감소를 초래하고, 십이지장 염산과 펩신에 의해 더욱 손상을 받게 된다.
위궤양 환자의 10~20%는 십이지장 궤양을 동반하며, 위궤양의 재발률은 십이지장궤양의 재발률보다 낮다. 이는 위궤양의 경우 점막 방어기전이 더 잘 유지되기 때문이다.""
2.5. 임상증상
위궤양의 임상증상은 다음과 같다.
위궤양의 전형적인 증상은 대개 상복부 중앙선에서 왼쪽으로 약간 치우친 부위에 생기는 통증이다. 이러한 통증 외에도 속쓰림, 역류, 구토 증상을 호소하고, 식욕부진, 체중감소, 소화불량 등이 나타날 수 있다. 이러한 증상은 보통 30분에서 3시간가량 지속되고, 식사 후 수 시간 이내에 시작될 가능성도 있다.
노인에서 위궤양은 불편감을 호소하고, 흉부 통증, 연하 장애, 체중감소, 빈혈 등의 비전형적인 증상이 나타난다. 노인에서 위궤양 합병증으로 위장관 출혈과 천공이 발생하면서 증상이 나타나기도 한다.
소화성궤양 환자의 약 10~20%에서 출혈이 발생하며, 이는 노인에서 가장 빈번하게 발생하는 합병증이다. 위장관 출혈의 일반적인 증상은 커피찌꺼기 같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