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응급실 저널리뷰"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환자 프라이버시 보호행동에 대한 인식과 실천
1.1. 연구의 필요성
1.2. 연구 목적
1.3. 연구 설계
1.4. 연구 대상 및 방법
1.5. 연구도구
1.6. 자료수집 및 분석
2. 응급실 내원 자살 시도자의 특성
2.1. 연구의 필요성
2.2. 연구 방법
2.2.1. 대상
2.2.2. 자료수집
2.2.3. 통계 분석
2.3. 연구 결과
2.3.1. 인구학적 특성
2.3.2. 정신 사회적 및 임상적 특성
2.3.3. 자살 시도 관련 특성
2.4. 반복적 자살 시도의 위험요인
3.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환자 프라이버시 보호행동에 대한 인식과 실천
1.1. 연구의 필요성
응급실 내원 환자와 간호사를 대상으로 환자 프라이버시 보호행동에 대한 인식과 간호사의 실천 정도를 조사하는 것은 필요하다. 환자 프라이버시 보호는 응급실 간호 활동에서 매우 중요한 부분이지만, 이에 대한 환자와 간호사의 인식 차이와 간호사의 실천 정도에 대한 연구가 부족한 실정이기 때문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응급실 내원 환자와 간호사를 대상으로 환자 프라이버시 보호행동에 대한 인식정도와 간호사의 실천정도를 조사하여, 응급실 간호사의 환자 프라이버시 보호행동에 대해 환자와 간호사가 인식하는 정도와 간호사가 실제로 실천하는 정도 간의 차이를 분석하고자 한다. 이를 통해 응급실 간호활동에서의 환자 프라이버시 보호 대책 마련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1.2. 연구 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응급실 내원 환자와 간호사를 대상으로 응급실 간호사의 환자 프라이버시 보호행동에 대한 인식과 실천정도를 조사하여 응급실 간호활동에서의 환자 프라이버시 보호 대책 마련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기 위함이다.""
1.3. 연구 설계
연구 설계는 응급실 환자와 간호사를 대상으로 환자 프라이버시 보호행동에 대한 인식정도와 간호사의 실천정도를 알아보기 위한 서술적 비교연구이다. 연구대상자는 2011년 3월 1일부터 2011년 3월 31일까지 P시 권역응급의료센터와 Y시 P대학 지역 응급의료센터에 내원하여 입원 또는 퇴원결정 후 대기상태인 환자 중에서 설문에 동의한 환자 105명과 응급실 간호사 64명 중 연구목적에 동의한 간호사 61명이었다.
1.4. 연구 대상 및 방법
연구 대상 및 방법은 다음과 같다.
연구대상자는 2011년 3월 1일부터 2011년 3월 31일까지 P시 권역응급의료센터와 Y시 P대학 지역 응급의료센터에 내원하여 입원 또는 퇴원결정 후 대기상태인 환자 중에서 설문에 동의한 환자 105명과 응급실 간호사 64명 중 연구목적에 동의한 간호사 61명이었다.
연구방법은 응급실 환자와 간호사를 대상으로 환자 프라이버시 보호행동에 대한 인식정도와 간호사의 실천정도를 알아보기 위한 서술적 비교연구였다. 자료수집은 ...
참고 자료
응급실 간호사의 환자 프라이버시 보호행동 인식과 실천에 대한 환자와 간호사의 비교연구 / 글로벌 건강과 간호 4권2호 / 정민영, 전성숙, 하수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