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1. 서론
우리나라의 인구에 대한 사회 상황을 간단한 단어로 정리하면 '고령화'라는 말이 적절하다. 노인인구가 늘어나면서 노인인구에 대한 복지정책이 여러 가지 주목을 받고 있다. 본고에서는 이에 초점을 맞춰서 노인복지정책이 무엇인지 살펴보고 왜 필요한지 정리하고자 한다. 또한 실제 우리나라의 노인복지는 어떻게 이루어지고 있는지 현황을 살펴본 후 문제점을 분석하고자 한다. 이어서 이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어떠한 대책을 세워야할지 필자의 생각을 고찰하고자 한다.
2. 노인복지정책의 개념 및 필요성
2.1. 노인복지정책의 개념
노인복지정책의 개념은 사회적 약자인 노인들에게 필요한 도움을 정책적으로 펼치고, 노인들의 삶의 질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지원하는 것이다. 단순히 노인들이 처한 부정적인 여건을 개선하는 데에만 초점을 맞추는 것이 아니라, 노인들이 정신적, 사회적, 신체적 측면에서 편안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마련한 대책이라고 할 수 있다. 즉, 노인복지정책은 노인들의 건강, 경제, 사회참여, 심리적 안녕 등 다양한 측면에서의 지원을 통해 노인들의 삶의 질 향상을 도모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2.2. 노인복지정책의 필요성
2.2.1. 노인의 건강 악화
노인의 건강이 악화되는 이유는 다음과 같다. 첫째, 나이가 들면서 근육 및 골격이 약화되고 여러 가지 신체 조직들의 기능이 저하되어 병에 걸릴 확률이 높아진다. 둘째, 지각 기능과 정신 기능이 저하되어 불안, 심리적 어려움 등을 겪게 된다. 셋째, 치매나 기억력 저하 등 여러 가지 정신적 변화를 겪게 된다. 이러한 건강 악화는 나이를 먹으면서 자연스럽게 일어나는 현상이지만, 평균수명 증가로 인해 이에 적응하기 위한 도움이 더욱 절실해지고 있다."
2.2.2. 경제적 어려움
많은 노인들이 경제적인 어려움을 겪고 있는 것이 사실이다. 나이가 먹게 되면 퇴직을 하게 되므로 소득이 아예 없어지거나 줄어들게 된다. 이는 경제적인 부담감이 생기는 주요한 원인이 된다. 그리하여 자녀 및 가족 등에게 경제적인 의존을 해야 하는 상황이 나타나게 되는 것이다. 경제적인 어려움은 다른 문제와 결합되어 그 자체로 얻게 되는 스트레스뿐만 아니라 아픈데도 치료를 받지 못하거나, 삶의 질을 상승시키기 위해서 필요한 것을 누리지 못하는 등 다른 어려움으로 이어지게 된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서라도 노인복지정책은 필요하다.
2.2.3. 역할 상실 및 고독감
많은 노인들이 역할상실 및 고독감 등으로 괴로워하는 경우가 많다. 사회적으로 노인단독세대가 많아지는데다가 은퇴를 하게 되고 여러 사회 변화에 적응하지 못하는 경우가 늘어나면서 이는 더욱 가속화되고 있다. 그리하여 많은 노인들이 심리적인 갈등 및 사회적인 갈등을 겪게 된다. 이는 삶의 질을 저하시키며 부정적인 자아상을 갖게 만든다. 따라서 이를 해소하기 위해서는 여러 가지 도움이 필요하다는 것이다.
3. 우리나라 노인복지의 현황 및 문제점
3.1. 노인복지 서비스 체계
우리나라의 노인복지 서비스 체계는 크게 재가복지와 시설복지로 나뉘어 있다.
재가복지는 노인여가복지와 노인재가복지로 구분된다. 노인여가복지는 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