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1. 사례 개요
1.1. 대상자 정보
장○○(54세, F) 씨는 당뇨, 고혈압을 가진 상태이며 neurogenic bladder(신경인성 방광) 진단을 받고 한 달에 1회 Foley catheter 관리 및 교환을 위해 동산의료원 가정간호를 받는 중이다. 약 23년 전 교통사고로 인해 paraplegia 상태로 상체만 사용 가능한 상태로 wheel chair ambulation만 가능한 상황이며 혼자서는 거동이 거의 불가능하다. 오랜 시간 하체를 사용하지 않아 하지는 매우 약화되어 있고 운동부족으로 상체는 비만인 상태이며 상체비만으로 인해 복압이 높아져 foley catheter 유지에도 어려움을 겪고 있다. 거동이 불편하여 체위 변경에 어려움이 있어 욕창 발생 위험이 매우 높고 욕창발생으로 인해 여러 차례 수술을 받았다. 또한 당뇨, 고혈압으로 인해 지속적으로 당뇨, 고혈압 약을 복용 중이며 혼자 용변을 보러 가지 못해 기저귀를 착용하고 있다.
1.2. 주요 건강문제 및 간호요구
장○○씨의 주요 건강문제 및 간호요구는 다음과 같다.
장○○씨는 1993년 교통사고로 인한 spinal cord injury로 인해 paraplegia 상태로 하지 마비가 되어 wheelchair ambulation만 가능한 상황이다. 이로 인해 거동이 어려워 외출을 거의 하지 못하고 주로 침상에서 생활하고 있다. 또한 오랜 시간 하지를 사용하지 않아 하지가 매우 약화되었고 상체가 비만한 상태이다. 이는 배뇨 기능에도 영향을 미쳐 neurogenic bladder 진단을 받은 상태이며, 한 달에 1회 Foley catheter 관리 및 교환이 필요하다.
장○○씨는 당뇨와 고혈압을 함께 가지고 있어 지속적으로 약물 치료를 받고 있다. 또한 과거 암 수술 등의 병력이 있어 건강상태가 좋지 않은 편이다. 특히 장기간의 침상생활로 인해 욕창이 반복적으로 발생하여 이로 인한 수술을 6차례나 받았다. 현재도 욕창 발생 위험이 매우 높으며 욕창 진행이 빨라 지속적인 관리가 필요한 상황이다.
장○○씨는 독거 상태로 거동이 불편하여 혼자서는 일상생활을 수행하기 어려운 실정이다. 하루에 4시간씩 간병인이 방문하지만 제대로 역할을 수행하지 못하고 있으며, 가족들과의 관계도 거의 단절된 상태이다. 이로 인해 경제적, 정서적 어려움을 겪고 있다.
따라서 장○○씨에게 필요한 간호요구는 다음과 같다. 첫째, 배뇨 기능 관리를 위한 주기적인 도뇨관 관리와 감염 예방이 필요하다. 둘째, 거동 장애로 인한 일상생활 수행 능력 저하와 지역사회 자원 이용의 어려움을 해결하기 위한 방안 마련이 필요하다. 셋째, 만성질환 관리와 욕창 예방을 위한 건강관리 지원이 필요하다. 넷째, 가족관계 단절로 인한 경제적, 정서적 지지체계 마련이 필요하다.
2. 가정간호 사정
2.1. 자료수집
자료수집은 대상자의 전반적인 상황을 파악하기 위해 실시되었다"" 장◯◯씨의 성별과 나이는 각각 여성, 54세이다"" 장◯◯씨는 1993년 교통사고로 인한 척수손상으로 하반신 마비 진단을 받았으며, 이후 지속적인 욕창 발생으로 인해 여러 차례 수술을 받았다"" 장◯◯씨는 당뇨와 고혈압 등의 만성질환을 앓고 있으며, 신경인성 방광 진단을 받아 한 달에 한 번 유치도뇨관 관리 및 교환을 받고 있다"" 장◯◯씨는 기초생활수급자로 장애인 활동지원사업을 통해 하루 4시간씩 간병인의 도움을 받고 있으나, 간병인이 제대로 역할을 하지 못해 대상자의 간호가 충분하지 않은 실정이다"" 장◯◯씨는 23년 전 교통사고 이후 남편과의 불화로 2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