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명량 이순신의 변혁적 리더십 분석"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서론
1.1. 영화 선정 이유
1.2. 영화의 줄거리
2. 리더십 분석
2.1. 영화 속 리더의 구체적 리더십 사례
2.2. 리더십 이론 - 사례 적용
2.2.1. 독재적-민주적-자유방임적 리더십
2.2.2. 직무중심적-구성원 중심적 리더십
2.2.3. 배려-구조주도 리더십
2.2.4. 관리 그리드(관리격자) 이론
2.3. 영화 속 리더의 리더십 유형
2.3.1. 변혁적 리더십의 개념 토대
2.3.2. 비판점
2.3.3. 이순신과 변혁적 리더십
2.4. 개선점과 개선안
2.4.1. 무모함이라는 단어가 도전으로 승화될 수 있을까?
2.4.2. 신뢰를 회복하기 위해 무슨 노력을 했는가?
2.4.3. 개선안
3. 결론
4.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서론
1.1. 영화 선정 이유
나는 이번 개별 과제의 주제 영화로 '명량'을 선택했다. '명량'은 우리에게 가장 친숙하고 잘 알려진 위인이라고 할 수 있는 이순신 장군의 정유재란 당시 명량해전을 그 배경으로 하여 참혹한 전장의 모습과 이순신 장군의 리더십, 그리고 조선 수군과 의병, 승병의 용맹함과 애국심이 잘 드러나는 영화라고 할 수 있다.
처음에 이 영화를 주제로 선택하는 것에 있어서 약간 망설이기도 했다. 역사적 사실을 바탕으로 하는 영화이고 일반 사람들에게 매우 잘 알려진 내용과 인물이기 때문에 과제 주제로 선정하기에는 다소 독창성이 없고 누구나 아는 내용이기 때문에 부적절하다고 생각하기는 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2020년의 현대를 살아가는 우리에게 덜 중요한 역사나 더 중요한 역사는 없다고 생각함과 동시에 바쁜 일상이라는 핑계로 우리가 잊고 살아가는 것들에 대해 다시금 생각해 볼 필요가 있다고 생각했다. 또한, 이순신 장군이 한국인들에게 매우 잘 알려진 위인이라고 하더라도, 단순히 그의 업적과 역사적 사실을 기리는 것 이외에 당시 그의 리더십적인 측면을 현대적으로 재해석하는 것도 우리가 그의 정신을 기리는 좋은 방법이라고 생각하기도 했다.
1.2. 영화의 줄거리
영화 의 줄거리는 다음과 같다.
영화 은 1592년 발발한 임진왜란 전체의 이야기를 보여주지는 않는다. 대부분의 영화 줄거리가 1597년 재발발한 정유재란 당시 이순신 장군이 지휘한 명량해전의 배경과 그 내용을 중심으로 한다. 영화의 시작도 임진왜란의 시작이 아닌, 수년간 이어진 전쟁으로 피폐해진 조선과 조선의 백성들의 모습으로 시작된다. 이순신은 왜군의 모략과 정치적 당리 싸움으로 희생되어 파면되었으나 다시 삼도수군통제사로 임명되어 왜군과의 결전을 준비하게 된다. 그러나 이순신이 다시 삼도수군통제사로 돌아왔을 때 남은 것이라고는 배 12척과 잦은 패배로 두려움에 휩싸인 패잔병들 밖에 없었다. 이순신은 이렇듯 제대로 갖춰진 것이 하나 없는 최악의 상황에서 왜군과의 결전을 준비해야 했고 사실상 조선 전체의 운명이 걸려 있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닌 전투를 준비해야만 했다. 현실은 이순신이 생각했던 것 그 이상으로 더욱 참혹했다. 기본적인 전력의 크기는 물론이고 군사들의 사기 또한 왜군은 하늘을 찌를 듯 했고 반면에 조선군과 백성은 죽음에 대한 공포로 휩싸여 전의를 아예 상실해 있었다. 이순신은 깊은 생각에 빠지게 되었고 표면적인 전력의 차이는 물론이고 군사들의 사기 또한 현저하게 차이나는 상황에서 승리를 기대하는 사람들은 아무도 없었다. 설상가상으로 사실상의 마지막 희망이었던 거북선마저 불타버리면서 상황은 더욱 더 악화일로로 가게 되었다. 이렇듯 절체절명의 순간에 잔혹하기로 소문난 왜군의 명장이었던 구루시마가 선봉에 나선다는 소식을 접하게 된 조선군은 더욱 더 사기가 꺾이게 되었고 이전에 이순신에게 당했던 여러 일본의 장수들도 복수심에 불타 전쟁을 준비하고 있었다. 330척에 달하는 어마어마한 대군이 속속 집결했고 이에 비해 12척에 불과한 조선의 배는 한없이 초라해보였다. 조선의 관료, 백성, 군사 모두 패배를 예견했고 희망을 찾지 못해 좌절감에 빠져있었지만, 이순신은 '필사즉생, 필생즉사', '죽고자 하면 살 것이고, 살고자 하면 죽을 것이다'라는 신념으로 조선 마지막 희망의 불씨를 꺼트리지 않고자 마지막 일전을 준비했다. 사실상 표면적으로는 전쟁 시작도 전에 승패가 정해져 있었다고 볼 정도로 도무지 성립할 수 없는 전투였다. 그러나 이 전쟁은 약 8시간 만에 승패가 정해졌고 왜군의 희생은 헤아리기 힘들 정도로 참혹한 패배를 당했으나 조선은 단 한 척도 잃지 않고 승리를 거둔, 역사적으로도 전대미문의 승리를 거뒀다.
2. 리더십 분석
2.1. 영화 속 리더의 구체적 리더십 사례
영화 속 리더인 이순신의 리더십 사례는 다음과 같다. 이순신은 당시 임진왜란 전쟁이 계속되면서 피폐해진 조선과 백성들의 모습 속에서도 왜군의 모략과 정치적 당리 싸움으로 인해 희생되어 파면되었지만, 다시 삼도수군통제사로 임명되어 왜군과의 결전을 준비하게 된다. 이순신이 삼도수군통제사로 돌아왔을 ...
참고 자료
임영희 외, 『개정 7판 간호관리학』, 수문사, 2020
김인영 외, 『간호 리더십과 팔로워십』, 정문각, 2016
염영희, 『간호 관리학』 수문사
김인경 외 공저, 『간호 리더십과 팔로워십』, 정문각
영화 명량
네이버 영화 명량 https://movie.naver.com/movie/bi/mi/basic.nhn?code=93756
대학공개강의 KOCW http://www.kocw.net/home/m/search/majorCourses.d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