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정치적 종족성과 민족주의"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세계의 주요 갈등·분쟁 지역
1.1. 동북아시아
1.1.1. 중국(위구르, 티베트)
1.1.2. 해결방안
1.2. 유럽
1.2.1. 이탈리아(파다니아공화국)
1.2.2. 해결방안
1.3. 아프리카
1.3.1. 에티오피아와 에리트레아
1.3.2. 해결방안
1.4. 아메리카
1.4.1. 페루와 에콰도르
1.4.2. 해결방안
2. 미얀마의 로힝야족 차별정책에 관한 연구
2.1. 서론
2.1.1. 연구 배경 및 목적
2.1.2. 이론적 자원 : 종족갈등 이론
2.2. 본론
2.2.1. 무슬림 정착기 : 로힝야족의 기원
2.2.2. 영국 식민통치기의 민족 분할정책
2.2.3. 독립 이후 미얀마의 로힝야족 차별정책
2.3. 결론
3.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세계의 주요 갈등·분쟁 지역
1.1. 동북아시아
1.1.1. 중국(위구르, 티베트)
중국은 13억의 인구와 55개의 민족으로 구성된 세계 최대의 다민족 국가이다. 중국 정부는 강력한 중앙집권적 통제 아래에서도 일부 소수민족들이 분리와 독립, 자치 확대를 위한 투쟁을 벌이고 있는데, 그 대표적인 지역이 바로 티베트와 신장 위구르 자치구이다.
티베트는 오랜 역사를 가진 독립된 문화와 정체성을 가지고 있었지만, 중국의 지속적인 군사적 개입과 문화 동화 정책으로 인해 큰 어려움을 겪고 있다. 중국은 1950년대 초반 무력으로 티베트를 침략하여 정권을 무너뜨리고 이를 중국의 자치구로 편입시켰다. 이후 중국은 티베트에 대한 강력한 정치적, 경제적, 문화적 통제와 탄압을 지속해왔다. 특히 민족정체성 유지와 자치권 요구를 명분으로 하는 티베트인들의 시위와 저항운동을 무력으로 탄압하고 있다. 중국 정부는 종교의 자유를 제한하고 달라이 라마의 추종자들을 박해하며, 티베트의 전통 문화와 언어 사용을 억압하고 있다. 이로 인해 많은 티베트인들이 유사 이래 가장 큰 위기를 겪고 있다고 평가된다.
신장 위구르 자치구 역시 중국 정부의 지속적인 탄압과 차별의 대상이 되어왔다. 위구르족은 중앙아시아 튀르크계 민족으로, 이슬람 문화와 전통을 가지고 있다. 중국 정부는 위구르족의 종교, 문화, 언어 사용을 억압하고 강제로 한족 문화에 동화시키려 했다. 또한 경제 개발 과정에서 위구르족을 차별하고 배제하였으며, 정치적 자치권도 박탈하였다. 이에 저항하는 위구르족의 시위와 분리 독립 운동을 유혈 진압하였고, 많은 인권 탄압 사례가 발생했다. 최근에는 위구르족에 대한 대규모 구금, 강제 노역, 가족 분리 등의 인권 침해 행위가 세계적으로 문제가 되고 있다.
이처럼 중국 정부는 티베트와 신장 위구르 자치구에서 소수민족의 자치권과 문화를 탄압하고 있다. 이를 통해 민족 정체성 유지와 자결권 실현을 요구하는 소수민족들의 목소리를 철저하게 억누르고 있는 실정이다. 중국 정부는 자국의 영토 통일과 민족 통합을 최우선 과제로 삼고 있어, 소수민족에 대한 차별과 억압이 지속될 것으로 보인다.
1.1.2. 해결방안
티베트와 위구르 문제에 대한 해결방안은 다음과 같다.
중국은 소수민족에 대한 차별적이고 억압적인 정책을 펴왔다. 특히 티베트와 위구르 문제에서 볼 수 있듯이, 중국은 강압적인 통치로 소수민족의 기본권을 침해하고 문화를 탄압해왔다. 이는 점점 심각한 갈등으로 이어져 왔다.
따라서 중국 정부는 소수민족에 대한 차별적 정책을 즉각 중단하고, 이들의 자치권과 기본적 권리를 보장해야 한다. 구체적으로 다음과 같은 방안을 고려해볼 수 있다.
첫째, 소수민족의 언어, 문화, 전통 등 고유한 정체성을 인정하고 보호해야 한다. 이를 위해 자치구 내에서 소수민족의 문화와 언어 사용을 보장하는 법적 장치를 마련해야 한다. 또한 교육과 미디어 등의 영역에서도 소수민족의 문화와 언어가 활용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둘째, 소수민족의 정치적 참여를 확대해야 한다. 현재 소수민족 대표의 중앙정부 진출은 매우 제한적이다. 따라서 자치구 수준뿐만 아니라 중앙정부 차원에서도 소수민족 대표의 정치적 참여를 보장해야 한다. 이를 통해 소수민족의 목소리가 실질적으로 반영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셋째, 소수민족 지역에 대한 경제적 지원을 확대해야 한다. 현재 티베트와 신장 위구르 자치구는 중국 내에서도 상대적으로 낙후된 지역이다. 이들 지역에 대한 균형 있는 경제 발전 정책을 통해 소수민족의 삶의 질을 개선해야 한다. 이는 소수민족과 중국 정부 간의 신뢰 회복에도 기여할 것이다.
넷째, 소수민족에 대한 차별과 인권 침해 행위에 대한 처벌을 강화해야 한다. 현재 중국 정부는 소수민족에 대한 탄압과 폭력 행위를 은폐하고 있다. 이에 대한 국내외의 감시와 제재를 강화함으로써 이러한 인권 유린 행위를 근절해야 한다.
이와 같은 다각도의 노력을 통해 중국 정부는 소수민족 문제를 해결하고 이들과의 화해와 신뢰 회복을 이뤄나가야 할 것이다. 이는 중국의 장기적인 안정과 통합을 위해서도 반드시 필요한 과제라고 할 수 있다.
1.2. 유럽
1.2.1. 이탈리아(파다니아공화국)
이탈리아 북부 동맹당으로서 파다니아공화국을 건립하여 자신들의 정치적 대변을 보다 강력하게 하려는 것이 그들의 목적이다. 종족적, 문화적 문제로 분리 독립을 하려한다는 것은 그들의 옳지 않은 욕심일 뿐이다. 그렇기 때문에 파다니아 지역의 분리 독립은 일어나서는 안 된다고 생각한다.
태동기 동맹주의 정당들의 연방주의는 각 주의 주민들을 단일한 종족적 정체성으로 묶고 모든 주를 연방의 단위로 하고자 하는 종족 중심적 발상이었다. 그러나 1983년 이후 1990년대 초에 이르는 시기에 롬바르디아 동맹당을 선두로 점차 모든 동맹주의 정당들은 이른바 '파다니아'로 불리는 북부이탈리아 지역을 통합하고 전 북부이탈리아 지역의 사회경제적 정체성을 형성하고자 노력했다. 그에 따라 그들은 당시까지의 종족적 연방주의를 세 광역으로 구성되는 통합적 연방주의로 발전시켰다.
그러나 전진이탈리아당의 성공적 정치무대 등장과 북부동맹당의 연정참가 이후 대기업과 중소기업의 잠재적 갈등이 표면으로 부상하면서 북부동맹당의 연방주의는 또 한...
참고 자료
박준영 외 12명 공저(2016), 『정치학』, 박영사,
이서인(2015), “로힝야족의 비극-역사적 관점에서 본 갈등과 박해의 원인”, 창원대학교대학원,
윤진표(2016), 『현대 동남아의 이해』, 명인문화사,
김기남(2017), “미얀마 로힝야족 민간인에 대한 감춰진 학살, 그리고 우리”, 시민사회집단회,
Amnesty Korea, ‘미얀마: 로이터 기자 항소 기각, 끔찍한 불의의 고착화’,
https://amnesty.or.kr/27625/, (검색일: 2019.10.31.)
박장식, “미얀마 여카잉 무슬림(로힝자)의 딜레마 재고: 종교기반 종족분쟁의 배경과 원인” 『동남아
선교뉴스레터』 제68권, 동남아선교정보센터,
채인택, ‘난민촌 이산가족의 눈물… 아웅산 수찌가 발뺌한 로힝야 탄압의 증거’, 중앙일보,
2019.12.20, https://news.joins.com/article/23661626, (검색일: 2019.12.20.)
이민정, ‘법정 선 아웅산 수치 “반군 공격 대응” 로힝야 집단학살 부인’, 중앙일보, 2019.12.12.,
https://news.joins.com/article/23654771, (검색일: 2019.12.20.)
뉴시스, ‘아웅산 수지, 로힝야족 상대 성범죄 의혹에 침묵 일관’, 뉴시스, 2019.12.13.,
http://www.ne
wsis.com/view/?id=NISX20191212_0000859106&cID=10101&pID=10100, (검색일: 2019.12.14.)
송현국, ‘로힝야 집단학살 국제법정 선 수치, 혐의 부인’, KBS NEWS, 2019.12.11.,
http://news.kbs.co.
kr/news/view.do?ncd=4341331&ref=A, (검색일: 2019.12.14.)
연합뉴스, ‘”집단학살 아니다” 수치 주장에 로힝야족 “거짓말∙눈가림”비판’, 연합뉴스, 2019.12.12,
https://www.yna.co.kr/view/AKR20191212059500076?input=1195m, (검색일: 2019.12.15.)
.두산백과, “미얀마의 정치”,
https://terms.naver.com/entry.nhn?docId=1177545&cid=40942&catego
ryId=40069, (검색일: 2019.11.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