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1. 미투(Me Too) 운동의 개요
1.1. 미투 운동의 정의와 전개
미투 운동의 정의와 전개는 다음과 같다.
미투 운동은 성범죄 피해 경험을 폭로하고 연대하여 사회 변화를 이끌어내고자 하는 운동이다. 미투 운동은 2017년 10월 할리우드 유명 영화제작자인 하비 와인스틴의 성추문 폭로를 계기로 시작되었다. 와인스틴은 수십 년에 걸쳐 배우, 영화사 직원, 모델들을 상대로 성희롱과 성추행을 자행해왔다는 사실이 밝혀졌다. 이에 많은 피해자들이 소셜미디어에 "#MeToo"라는 해시태그와 함께 자신의 피해 사실을 폭로하며 전 세계로 확산되었다.
이후 미투 운동은 할리우드에서 시작되어 정치계, 언론계, 학계 등 사회 각 분야로 확산되었다. 미국에서는 공화당의 조지 H.W. 부시와 로이 무어, 민주당의 앨 프랭큰 등 유명 정치인들도 성추행 의혹에 휩싸였다. 한국에서도 2018년 1월 검사 출신 서지현의 고발을 계기로 연극계, 문화계, 정계 등 각 분야에서 미투 운동이 일어났다. 정봉주 전 국회의원, 안희정 전 충남지사 등 유력 인사들도 성폭력 혐의로 고발당했다.
미투 운동은 기존에는 감추어져 있던 성범죄 실태를 드러내며, 그동안 묵인되어왔던 권력형 성범죄와 위계질서에 의한 성폭력에 대한 문제의식을 높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크다. 또한 이를 계기로 성평등 문화 조성 및 성폭력 예방을 위한 법제도 개선이 이뤄지는 등 사회 전반의 변화를 이끌어냈다.
1.2. 미투 운동의 배경
미투 운동의 배경은 오랜 기간 동안 사회 구조 속에 고착화된 성차별과 권력형 성폭력에 대한 피해자들의 외면과 침묵이다.
우선 미국 할리우드 영화계에서 시작된 미투 운동은 오랜 기간 동안 성폭력의 온상이었던 영화계의 폐쇄적인 문화와 부패한 권력구조를 드러냈다. 수십 년간 수많은 여성 배우와 스태프들이 감독, 프로듀서 등 권력자들로부터 성폭력과 성희롱에 시달려 왔음에도 불구하고, 그들의 목소리는 철저히 묵살되어 왔다. 이들은 자신의 사회적 지위와 경력을 위협받을까 두려워 피해를 숨기고 참아왔다. 또한 성폭력 사실을 공개할 경우 오히려 역풍을 맞을까 봐 고민해야 했다. 이처럼 권력형 성폭력에 대한 불처벌과 피해자 보호 부재가 오랫동안 지속되어 왔다.
이러한 배경에서 미투 운동은 피해자들이 소셜미디어를 통해 자신의 경험을 공개하고 연대하면서 비로소 시작될 수 있었다. 피해자들이 용기를 내어 자신의 경험을 공개하자 이는 일파만파 퍼져나가며 할리우드를 넘어 정치인, 기업인, 학계 등 사회 각 분야로 확산되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