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1. 교육의 기초
1.1. 교육의 개념
1.1.1. 어원으로 본 교육의 개념
동양의 고전인 맹자에서 처음으로 나타나고 있는 교육의 개념은 "득천하영재이교유지삼락야(세가지 즐거움 중 천하의 영특한 인재를 얻어 가르치는 일이 그중 하나라는 것)"이다. 이는 교육을 통해 타고난 능력을 가진 인재를 발견하고 계발하는 것이 삶의 큰 기쁨이 될 수 있다는 의미이다.
한편 서양의 교육을 뜻하는 "Education"은 라틴어 "Educare(이끌어내다)"에서 유래한 것으로, 내재된 인간의 능력을 발견하고 계발하여 이끌어내는 것이 교육의 본질적 의미라고 할 수 있다.
이처럼 동서양의 교육 개념은 공통적으로 인간 내부에 잠재된 능력과 자질을 발견하고 이를 계발하여 완성시키는 과정으로 정의할 수 있다. 교육은 단순한 지식의 전달이 아니라 개인의 잠재력을 깨워 최대한 발현시키는 활동이라 할 수 있다.
1.1.2. 사상적 배경에 따른 개념
사상적 배경에 따른 교육의 개념은 다음과 같다.
인격주의 교육사상에 중점을 두는 입장에서는 교육을 불완전하고 동물적인 존재로서의 인간을 하나의 인격체로 완성시키는 활동이라고 규정한다. 인간의 인격적 완성과 도덕적 고양을 교육의 가장 중요한 목표로 보는 것이다.
자연주의 교육사상에 중점을 두는 입장에서는 교육을 인간의 자발자전을 돕는 조력작용이라고 본다. 인간은 누구나 자신 속에 내재된 선천적 자연성을 지니고 있으므로 교육은 그러한 자연성을 계발하고 발현시켜 주는 것이 중요하다고 여긴다.
사회적 교육사상에 중점을 두는 입장에서는 교육을 불완전한 인간을 유능한 사회적 인간으로 형성해 가는 작용으로 규정한다. 개인의 사회적 적응과 기능 향상을 교육의 주된 목적으로 삼는다.
문화주의 교육사상에 중점을 두는 입장에서는 교육을 문화적 유산을 다음 세대에 계승시키고, 나아가 이를 확충, 발전시키게 하는 문화창조작용 내지는 문화번식작용이라고 본다. 인류 문화유산의 전승과 창조가 교육의 핵심 기능이라고 여긴다.
종교주의 교육사상에 중점을 두는 입장에서는 교육을 신의 의사를 실현하는 과정으로 파악한다. 인간으로 하여금 신을 믿고 그 복음을 접하며, 신의 품성과 행위에 드러난 것과 같은 신격화된 생활로 변화하게 하는 것이 교육의 본질이라고 본다.
이처럼 사상적 배경에 따라 교육에 대한 개념화가 다양하게 이루어지고 있음을 알 수 있다. 교육에 대한 이해의 폭을 넓히기 위해서는 이러한 다양한 관점들을 균형 있게 고려해야 할 것이다.
1.1.3. 교육현상적 관점에 따른 개념
교육현상적 관점에 따른 개념은 교육을 실제로 이루어지는 현상으로 바라보며, 그 정의 또한 교육현상을 토대로 내리게 된다. 이런 관점에서 볼 때 교육은 크게 세 가지로 정의될 수 있다.
첫째, 교육의 기능적 정의이다. 이는 교육을 특정한 목적을 위한 수단으로 규정하는 것으로, 교육이 어떤 목적을 달성하는데 도움을 주는 기능을 한다는 것이다. 즉 교육은 어떤 목적을 위해 활용되는 수단인 것이다.
둘째, 규범적 정의이다. 이는 교육을 가치실현을 위한 궁극적 목적과 관련지어 정의하는 것으로, 교육이 특정한 가치를 실현하기 위한 활동이라고 보는 것이다. 따라서 교육은 이상적인 가치를 구현하기 위한 행위라고 할 수 있다.
셋째, 조작적 정의이다. 이는 교육을 인간행동을 계획적으로 변화시키는 활동이라고 정의하는 것이다. 즉 교육은 의도적이고 계획적인 인간행동의 변화과정이라고 볼 수 있다.
이처럼 교육현상적 관점에서는 교육을 실제 현상 자체로 바라보며, 그 정의를 교육이 어떤 목적을 지니고 수행되는 과정, 특정한 가치를 실현하기 위한 활동, 그리고 계획적인 인간행동 변화과정으로 내리게 된다.
1.2. 교육의 기본전제
1.2.1. 인간에 대한 신념
인간에 대한 신념은 교육의 기본전제로 매우 중요하다. 교육에서는 인간을 존엄성을 지닌 주체적 존재이자 성장가능성을 지닌 존재로 본다.
인간의 존엄성이란 모든 인간에게 내재되어 있는 본질적 가치와 정신적ㆍ도덕적 존재로서의 가치를 의미한다. 따라서 교육은 인간의 이러한 내적 가치와 고유성을 존중하고 이를 실현하도록 도와야 한다. 즉, 교육은 인간을 수동적 대상이 아니라 자유롭고 창조적인 주체로 보고, 그의 잠재력을 최대한 발현시켜 나가는 과정이라고 할 수 있다.
또한 교육에서는 인간을 성장가능성을 지닌 존재로 인식한다. 인간은 태어나면서부터 발달과 성장을 위한 내적 동력을 가지고 있으며, 교육은 이러한 인간의 잠재력을 계발하고 신장시키는 역할을 한다. 따라서 교육에서는 인간이 고정된 존재가 아니라 변화할 수 있는 존재로 간주되며, 교육을 통해 지속적인 성장과 발달이 가능하다고 본다.
이처럼 교육에서는 인간을 존엄성을 지닌 주체적 존재이자 성장가능성을 지닌 존재로 바라본다. 이는 교육의 출발점이자 근간이 되는 신념이며, 이를 바탕으로 교육이 이루어진다."
1.2.2. 변화에 대한 신념
교육은 기본적으로 인간을 변화시킬 수 있고, 사회를 변화시킬 수 있다는 전제에서 한 걸음 더 나가야 한다""이다.
교육의 본질은 인간과 사회의 변화에 있기 때문이다. 교육은 인간의 발달과 성장을 돕고, 개인의 잠재력을 극대화하며, 새로운 가치와 문화를 창출하는 데 기여한다. 따라서 교육 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