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알타이어족의 특징"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알타이어족 언어의 특징
1.1. 알타이어족 언어 소개
1.2. 알타이어족 언어의 분류
1.3. 알타이어족 언어의 공통적 특징
1.3.1. 교착어적 특징
1.3.2. 모음 조화
1.3.3. 첨가성
1.3.4. 기타 문법적 공통점
1.3.5. 어휘적 유사성
1.4. 알타이어족과 한국어의 관계에 대한 논의
2.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알타이어족 언어의 특징
1.1. 알타이어족 언어 소개
알타이어란 우랄 산맥의 중앙아시아와 시베리아 지역에서 온 언어들을 포함하는 언어 동조대의 영역으로, 19세기부터 시작한 오래된 언어 연구의 유명한 이론 중 하나이다. 이 어족은 중앙아시아의 알타이 산맥에서 이름을 따왔는데, 알타이 제어 이론은 학자들의 안정적인 학문적 지지를 받고 있지만, 일부 비교언어학자들은 알타이 제어 이론을 배척하고 있다.
18세기에 처음 제시된 알타이어족은 1960년대까지 널리 받아들여졌고, 많은 백과사전들과 책들에 여전히 남아 있지만, 1950년대 이후 이 가설의 동음이의어는 무효임이 검증되었다. 또한 몇몇 비교언어학자들은 이 가설을 부정하며, 가설상의 부정적인 변화는 발견되지 않았고, 튀르크어와 몽골어가 수세기에 걸쳐 서로 다른 언어들이 합체되었다는 주장도 제기되고 있다.
알타이어족은 퉁구스어족, 몽골어족, 투르크어족으로 구성되어져 있으며, 일부 학자들 중에는 한국어, 일본어 등을 포함하고 있다. 퉁구스어족은 시베리아 극동 지역과 만주 동북부 지역에서 사용되며 사용자 수가 수천, 수만 명에 불과한 10개 이상의 언어를 구사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몽골어족은 약 10개 언어에 속하며, 사용자 수는 약 500만 명으로 추정되며, 주로 중국 내몽골 자치구와 몽골에 거주하고 있다. 투르크어족은 알타이어족의 세 개의 언어 중 언어 사용자 수에 있어서는 가장 큰 어족이다. 20개 이상의 언어가 이 어족에 들어가 있으며, 러시아 및 아시아, 터키를 중심으로 사용자 수가 약 9,800만 명에 이른다.
1.2. 알타이어족 언어의 분류
알타이어족 언어의 분류는 다음과 같다.
알타이어족은 크게 퉁구스어족, 몽골어족, 투르크어족의 세 가지 주요 어군으로 구성된다. 퉁구스어족에는 만주어군과 퉁구스어군이 있으며, 만주어군에는 만주어, 나나이어, 기타 방언 등이 속한다. 퉁구스어군에는 예벤키어, 라무르어, 예번어 등이 속한다. 몽골어족에는 약 10개의 언어가 존재하며, 서몽골어군과 동몽골어군으로 나뉜다. 서몽골어군에는 칼미크어, 오이라트어, 몽골어 등이 속하고, 동몽골어군에는 몽골어, 부랴트어, 다구르어, 몽구오르어, 산타어 등이 속한다. 마지막으로 투르크어족은 20개 이상의 언어로 구성되며, 러시아, 아시아, 터키를 중심으로 약 9,800만 명이 사용하는 가장 큰 어족이다. 이처럼 알타이어족은 세 가지 주요 어군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그 안에 다양한 세부 언어들이 존재한다고 볼 수 있다.
1.3. 알타이어족 언어의 공통적 특징
1.3.1. 교착어적 특징
알타이어족 언어의 교착어적 특징은 다음과 같다.
알타이어족 언어는 교착어의 대표적...
참고 자료
G.J.람스테트, 『알타이어형태론개설』, 민음사, 1985
양장, 『국어사 연구 1』, 태학사, 2019
성백인, 『만주어와 알타이어학 연구』, 태학사, 1999
김기선.Ulziibat Dorj,『몽골어 첫걸음,』
김방한,「알타이어족(─語族)」,『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http://encykorea.aks.ac.kr/Contents/Item/E0035147
『김기선 교수와 함께하는 디아스포라 몽골어 노마드문화』,002,https://audioclip.naver.com/channels/1034
성비락(2014),「한.몽 언어 문화적 특성 비교 연구-언어사고 방식을 중심으로-」.『국문학개론』
우리말의역사 강의록
우리역사넷, 신편 한국사, 총설, 한국사의 전개, IV. 한국문화의 특성, 1. 언어. 4) 한국어의 계통
Triangulation supports agricultural spread of the Transeurasian languages, nature, Published: 10 November 2021(599, pages616–62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