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중국의 동북공정 논리"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서론
1.1. 동북공정의 개요
1.2. 동북공정의 배경 및 목적
2. 동북공정의 전개과정
2.1. 동북공정의 추진 경과
2.2. 동북공정의 구성과 주요 연구 내용
3. 중국의 고구려사 왜곡 논리
3.1. 고구려 기원에 대한 중국의 주장
3.2. 고구려와 중국의 관계에 대한 중국의 해석
3.3. 발해와 고려에 대한 중국의 역사 인식
4. 한국의 대응방안
4.1. 국제 학술회의를 통한 고구려사 알리기
4.2. 고구려연구재단 중심의 체계적 대응
5. 결론 및 시사점
5.1. 국사 교육의 중요성
5.2. 국가 정체성 확립을 위한 노력
6.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서론
1.1. 동북공정의 개요
동북공정이란 중국 정부가 중국 동북 지역의 역사와 현황에 대해 조사하는 국가 주도의 연구 사업이다. 이는 2002년부터 중국 사회과학원 변강사 연구의 중심 과제로 진행되어 왔다.
동북공정의 개념은 "동북변강역사여현상계열연구공정"의 줄임말이다. 이는 중국 정부가 중국 동북 변경 지방의 역사와 현황에 대해 체계적으로 조사하고 연구하는 것을 의미한다. 중국은 이를 통해 자국의 영토와 주권을 강조하고자 하는 의도를 가지고 있다.
동북공정이 한국에 알려지게 된 계기는 2004년 중앙일보의 보도였다. 이를 계기로 한국 내에서도 중국의 동북공정에 대한 국민적 관심이 높아졌고, 결국 양국 간 외교 문제로 대두되었다. 이에 한국 정부와 학계는 중국의 역사 왜곡 시도에 대한 대응 방안을 모색하기 시작했다.
1.2. 동북공정의 배경 및 목적
동북공정의 배경 및 목적은 다음과 같다.
첫째, 중국은 급진적인 개혁개방으로 인해 중국 내 사회주의체제의 혼란을 야기하여 소수민족의 통합과 중국 공산당 정권유지에 있어서 큰 위기의식을 느꼈기 때문이다. 이에 따라서 약해진 사회주의체제를 경제개발에 성공한 중국은 애국주의적 민족저의, 신보수주의를 대두시켜서 이를 방지하고자 하였다. 그리고 이러한 과정에서 중국의 영토적 안정과 주권을 과도하게 강조하기 시작을 하였고, 이에 대한 일환으로 고대 영토에 대해서 자신들의 주권을 강조하고자 동북공정을 실시하게 된 것이다.
둘째, 조선족 정체성 문제 때문에 동북공정에서 고구려 역사를 왜곡시켰다고 할 수 있다. 중국의 한국 민족 혈통인 조선족들은 구인을 위해서 한국으로 많이 이주를 하였고, 중국 소속이기는 하지만, 혈통 자체인 조선족들이 한국으로 가는 것에 대해서 불안감을 드러낸 것이다. 즉 자신이 태어나지는 않았지만, 자신과 같은 핏줄이 흐르는 한국에 가서 중국인이라는 것에 대한 정체성이 흔들리는 것에 대해서 중국은 불안감을 가지고 있는 것이다. 여기에 2001년 한국 국회에서 재중 동포의 법적지위에 대한 특별법이 상정되자, 중국은 본격적으로 조선족 정체성 확립을 위한 대책을 마련하고자 하였기 때문에 동북공정을 통해서 고구려 역사가 중국의 역사라고 주장을 하는 동북공정을 시행을 한 것이다.
셋째, 한국과 중국의 관계 때문에 동북공정을 진행했다고 생각을 한다. 한국에서 중국 동북지역과 한국 역사를 연관 시킬 때마다 중국은 민감한 반응을 보였고, 동북지역에 대한 한국인의 답사를 제한하기도 하였다. 게다가 2001년 북한이 고구려 벽화고분군을 유네스코에 신청을 하자, 중국은 이에 대응하고자 중국과 북한의 고구려유적을 동시에 세계문화유산으로 등록을 하게 한 것이다. 또한 중국은 한반도 통일 이후 민족주의의 고양으로 간도회복의지, 고조선?고구려?발해를 잇는 고토회복의지에 대해 경계하면서 해결책으로 동북공정이 촉진되었던 것이다.
마지막으로 한반도의 정세변화가 중국 동북지구에 사회 안정에 미칠까봐 염려하여 이를 차단하기 위해서 동북공정을 진행을 한 것이다. 이를 위해서 동북공정을 통해 중국은 동북지구와 한반도의 역사적 상관성을 부정하고 양자를 단절시키기 위해 만주에 웅거했던 한국고대사(고조선, 부여, 고구려, 발해)를 통째로 중국사로 규정을 한 것이다.
2. 동북공정의 전개과정
2.1. 동북공정의 추진 경과
중국은 1983년 사회과학원에 중국변강사지 연구중심을 설립하고 접경지역의 역사, 지리, 영토 문제를 연구를 하였으며, 이것이 바로 동북공정의 시작점으로 ...
참고 자료
https://www.kci.go.kr/kciportal/ci/sereArticleSearch/ciSereArtiView.kci?sereArticleSearchBean.artiId=ART000944598
https://terms.naver.com/entry.nhn?docId=1385749&cid=62043&categoryId=62043
최연희(2014), '동북공정'의 고구려사 왜곡과 역사 교육적 대응 방안, 인하대학교 교육대학원
문성숙(2007), 동북공정의 실체와 한국의 정책방안, 강릉대학교 경영·정책과학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이용준(2018), 중국 동북공정의 역사관과 한국학계의 대응, 한국외국어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브레이크뉴스(2017,12,5), 중국의 고구려사 왜곡과 대응방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