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1. 르네상스
1.1. 르네상스란?
르네상스(Renaissance)란 15~16세기 유럽 사회에서 나타난 인본주의적 문예부흥기를 의미한다. 이 시기는 중세시대에 지배적이었던 종교적 세계관으로부터 벗어나 인간 중심적 사고로 전환되었다.
르네상스라는 용어는 프랑스어로 '재생'이나 '부활'을 의미하는데, 이는 고대 그리스와 로마의 학문, 문화, 예술에 대한 이념적 복귀를 뜻한다. 이에 따라 르네상스 시대의 사람들은 과학, 문학, 예술 분야에서 큰 변화를 겪게 되었다. 특히 인간의 능력과 가치에 주목하는 인본주의 사상이 르네상스 시대의 근간을 이루었다.
또한 구텐베르크의 금속활자 발명으로 책의 대량 생산이 가능해지면서 지식과 정보가 신속하게 전파될 수 있게 되었다. 이는 르네상스 시대 예술, 문화의 발전에 큰 영향을 미쳤다.
1.2. 르네상스의 등장
르네상스의 등장은 14세기에 종교적 사건, 정치적 암투, 흑사병 등으로 인해 교회의 권위가 위축되면서 시작되었다. 이에 따라 학자와 작가들은 종교적 교리보다는 인간중심의 고대 그리스 문화에 관심을 가지기 시작했다. 이러한 배경에서 14세기부터 발흥한 이탈리아의 명문가인 메디치 가문이 미술가와 학자들을 후원하여 학예를 장려함으로써 르네상스 문화가 본격적으로 발전할 수 있었다. 메디치 가문의 후원 아래 르네상스 대표 미술가 레오나르도 다 빈치가 등장하여 화가, 조각가, 발명가, 건축가, 기술자, 해부학자, 식물학자, 도시 계획가, 천문학자, 지리학자, 음악가 등 다양한 분야에서 천재적인 재능을 발휘하며 르네상스 시대 예술의 전성기를 이루었다.
1.3. 르네상스 음악의 특징
르네상스 음악의 특징은 다음과 같다. 첫째, 중세시대 작곡음역대보다 더 넓어진 음역대를 가지고 있다. 성부 간의 음역 차이가 넓어져 저음역까지 확대되었으며, 개별 성부들이 동등한 중요성을 갖게 되었다. 둘째, 교회, 세속, 기악음악에서 새로운 양식이 발전하였다. 종교음악인 미사와 모테트는 변화를 겪었고, 세속음악으로는 샹송, 마드리갈, 모데트 등이 유행하였다. 또한 리체르카르, 칸쪼나와 같은 기악음악이 발전하였다. 셋째, 르네상스 음악은 프랑스를 중심으로 발전하여 이탈리아, 독일, 영국, 스페인 등으로 확산되었다. 프랑스의 부르고뉴 악파와 플랑드르 악파가 대표적이다. 넷째, 16세기 초반 쿠텐베르크의 인쇄술 발명으로 신속하고 효과적인 악보 보급이 이루어져 다량의 음악 작품이 전 유럽에 보급될 수 있었다. 이러한 특징들을 바탕으로 르네상스 음악은 중세 음악과는 구별되는 새로운 발전을 이루었다고 볼 수 있다."
1.4. 르네상스의 악기
르네상스 시대에 현재 우리가 사용하는 대부분의 악기들은 구조적, 기능적으로 거의 안정된 모습을 갖추었다. 당시 사용된 주요 악기로는 현악기, 건반악기, 관악기, 타악기 등이 있었다.
현악기로는 류트, 스페인 형 류트인 비우엘라, 비올(트레블, 테너, 베이스 비올라다 감바) 등이 있었다. 건반악기에는 클라비코드, 하프시코드, 버지널, 오르간 등이 대표적이었다. 관악기로는 리코더, 숌, 크럼호른, 코넷, 색버트, 라케트 등이 사용되었으며, 타악기 또한 다양한 종류가 있었다.
특히 악기 제작 분야에서 스트라디바리, 아마티, 과르네리 등이 현악기의 발전에 큰 기여를 하였다. 이들의 제작한 악기는 오늘날까지도 명성을 유지하고 있을 만큼 우수한 품질을 자랑한다.
당시 건반악기는 다양한 형태로 발전하였는데, 이는 르네상스 시대 음악의 새로운 경향을 반영한 것이었다. 특히 클라비코드와 하프시코드는 화려하고 우아한 연주로 각광을 받았으며, 오르간은 교회음악의 주요 반주 악기로 자리잡았다.
이처럼 르네상스 시대 악기들은 중세에 이어 발전을 거듭하며 오늘날의 모습으로 점차 완성되었다. 그리고 이러한 악기들은 당대 음악 양식의 다양화와 확장에 기여하였음을 알 수 있다.
2. 바로크
2.1. 바로크시대란?
바로크시대는 1600년~1750년(J.S.바흐의 생애)에 해당하는 서양음악사의 한 시대이다. 이 시기는 계속저음의 시대이자 콘체르토양식의 시대로 불린다.
바로크(Baroque)라는 용어는 포르투갈어로 "일그러진 둥근 보석"이라는 뜻을 가지고 있으며, 처음에는 비실용적이고 과장된 미술을 지칭하기 위해 사용되었던 부정적인 의미의 용어였다. 하지만 화려함과 아름다움을 추구하는 바로크음악은 일반적으로 따라할 수 없어서 대중 호응을 받지 못했다.
당시 음악에는 감정이론(음형이론)이 중요하게 작용했는데, 이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