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강점관점 실천"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강점관점의 사회복지실천(개입) 과정
1.1. 대화단계: 협력관계 발전시키기 - 나눔
1.2. 발견단계: 사정, 분석, 계획하기 - 탐색
1.3. 발전단계: 실행과 변화 안정화하기 - 강화
2. 강점관점
2.1. 강점관점의 의미
2.2. 강점관점의 요소와 병리적 관점과의 차이
2.3. 강점관점의 실천 원칙과 적용
2.4. 강점관점의 실천 적용에서의 유용성과 한계
3.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강점관점의 사회복지실천(개입) 과정
1.1. 대화단계: 협력관계 발전시키기 - 나눔
대화단계는 사회복지사와 클라이언트가 상호 협력하는 관계를 시작하도록 돕고 이를 유지시켜 주는 단계이다. 대화를 통해 클라이언트는 자신이 처한 상황을 어떻게 인식하고 있는지 스스로 깨닫게 되고, 사회복지사는 클라이언트의 강점을 파악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이 단계에서 사회복지사와 클라이언트의 과업은 다음과 같다. 첫째, 수용, 존중, 신뢰에 바탕을 둔 파트너십을 형성한다. 둘째, 사회복지사와 클라이언트 각각의 역할을 설정한다. 셋째, 클라이언트 상황에 대해 스스로 명확하게 인지하도록 돕는다. 넷째, 클라이언트가 쉽게 활용할 수 있는 자원을 확보하도록 지원한다. 다섯째, 클라이언트의 경험을 구체적으로 묘사하게 한다. 여섯째, 클라이언트의 감정을 구체화한다. 일곱째, 함께 작업하기 위한 목적을 정한다. 마지막으로, 협력관계 형성을 위한 일치감과 유대감을 갖도록 한다.
이를 통해 사회복지사와 클라이언트는 상호 신뢰와 존중의 관계를 형성하고, 클라이언트가 자신의 처한 상황을 깊이 인식하도록 돕는다. 또한 클라이언트가 자신의 경험과 감정을 구체화하고, 함께 목표를 설정하며 협력관계를 발전시켜 나갈 수 있다.
1.2. 발견단계: 사정, 분석, 계획하기 - 탐색
발견단계: 사정, 분석, 계획하기 - 탐색은 클라이언트와 사회복지사가 해결점을 찾고자 이미 갖고 있음에도 양자가 모르고 있는 자원과 자원이 있는 곳을 체계적으로 탐색하는 과정이다. 자원은 클라이언트의 생태체계 내 외부에 존재하며, 사회복지사와 클라이언트는 함께 수집한 정보를 분석하고 전략을 개발한다. 사회복지사와 클라이언트는 함께 목표를 설정하고, 변화를 목표로 계약하기 위해 개인적, 제도적 자원체계를 탐색한다.
발견단계의 세부전개과정은 자원체계 탐색하기, 자원능력 분석하기, 해결점 형성하기로 구성된다. 사회복지사와 클라이언트는 클라이언트의 사회적, 물리적 환경을 검토해서 도전에 대한 상호 교류적 관점을 확인하고, 클라이언트와 관련된 정보와 자원을 찾아 연결한다. 또한 이용 가능한 자원체계의 능력을 분석하고, 목적을 설정하며 목표를 구체화한다. 그리고 행동계획을 구성하고 변화를 목표로 계약을 협상한다.
이처럼 발견단계에서는 클라이언트의 생태체계 내외부의 자원을 체계적으로 탐색하고, 이를 분석하여 문제해결을 위한 전략을 개발하는 것이 핵심이다. 또한 클라...
참고 자료
사회복지의 이해 : 윤찬영 저, 정민사, 2017
현대상담 심리치료의 이론과 실제 / 윤순임 저 / 중앙적성출판사 / 2011
상담 및 치료의 이론과 실제 / Richard Nelson Jones 저 / 김성봉 외 1명 역
사회복지 사례관리 : 이채석 저, 어가, 2017
상담이론과 실제 / 양명숙, 김동일, 김명권 외 2명 저 / 학지사 / 2013
사회복지행정의 이해 : 강종수 저, 학지사, 2019
사회복지서비스 : 한국산업인력공단, 진한엠앤비, 2015
사회복지정책입문 : 김태성 저, 청목출판사, 2018
지역사회복지와 사회복지시설 : 이병록 저, 청목출판사, 2007
사회복지조사방법론 : 최창현, 황민철 저, 윤성사, 2018
상담심리학 / 이수연 저 / 양성원 / 2017
사회복지실천론 : 이영분/김기환 등 저, 동인, 2010
<함께하는 사회복지실천론> 박지영, 배화숙, 엄태완, 이익숙, 최화경 공저 학지사
강점관점 해결중심 사례관리 노혜련 저 | 학지사 | 2020.02.2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