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만성신부전 간호진단"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서론
1.1. 만성신부전 개요
1.2. 고혈압 및 당뇨 합병증
2. 만성신부전 환자의 간호
2.1. 체액과다 및 전해질 불균형
2.1.1. 사정
2.1.2. 간호계획 및 수행
2.2. 피로
2.2.1. 사정
2.2.2. 간호계획 및 수행
2.3. 피부 소양증 및 손상
2.3.1. 사정
2.3.2. 간호계획 및 수행
2.4. 낙상 위험
2.4.1. 사정
2.4.2. 간호계획 및 수행
3. 신장이식 관련 간호
3.1. 수술 전 간호
3.2. 수술 후 간호
3.3. 환자교육
4.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서론
1.1. 만성신부전 개요
만성신부전은 신장의 구조적, 기능적 이상이 3개월 이상 지속되거나 신장의 손상과 무관하게 3개월 이상 사구체 여과율이 60mL/min/1.73 m2 미만으로 지속되는 것을 말한다.""
신장의 여과 기능이 떨어진 만성신부전 환자는 신장의 주 기능인 수분과 노폐물을 소변으로 농축하고 배출하는 능력이 떨어져 쉽게 체내의 체액 축적이 발생할 수 있다.""
세포외액의 종류에는 혈관내액(intravascular fluid)과 조직과 조직 사이의 공간인 간질액(interstitial fluid)이 있는데, 체액 축적 시 세포외액의 간질액 쪽으로 과도하게 수분이 빠져나가 부종(edema)이 발생하고 체중이 증가한다.""
부종은 말초에서 요흔성 부종(pitting edema)의 형태로 흔히 나타나며 체액 축적의 정도가 심하면 폐정맥 및 모세 혈관에서 폐의 간질 조직과 폐포로 체액이 빠져나가 폐포의 가스 교환이 악화되는 폐부종(pulmonary edema) 또한 발생할 수 있다.""
1.2. 고혈압 및 당뇨 합병증
고혈압은 만성신부전의 가장 주요한 원인 중 하나이다. 고혈압은 신장의 구조와 기능에 악영향을 미쳐 사구체 경화, 세뇨관 손상, 간질 섬유화 등을 초래한다. 이로 인해 신장 기능이 점진적으로 감소하게 되며, 결국 말기 신부전에 이르게 된다.
당뇨병 또한 만성신부전의 중요한 원인 질환이다. 당뇨병성 신증은 당뇨병 환자에서 발생하는 대표적인 미세혈관합병증 중 하나로, 지속적인 고혈당으로 인해 사구체 기저막이 비후되고 메산지움 기질이 늘어나면서 사구체 여과율이 감소하게 된다. 이와 함께 단백뇨가 발생하고, 점차 신기능이 악화되어 말기 신부전에 이르게 된다.
고혈압과 당뇨병이 동반되는 경우, 신장 손상이 훨씬 더 빠르게 진행된다. 고혈압과 당뇨병은 서로 상승작용을 하여 신장 손상을 가속화시키기 때문이다. 따라서 만성신부전 환자에서는 철저한 혈압 및 혈당 관리가 필수적이다.
고혈압과 당뇨병으로 인한 만성신부전의 합병증으로는 심혈관계 질환, 말초혈관 질환, 신경병증, 망막병증 등이 있다. 이러한 합병증들은 서로 연관되어 있어 상호작용을 하면서 환자의 예후를 악화시킨다.
따라서 만성신부전 환자의 간호에 있어서는 고혈압과 당뇨병의 철저한 관리와 이로 인한 합병증 예방이 매우 중요하다. 환자 교육을 통해 생활습관 개선, 규칙적인 약물 복용, 주기적인 검사 등의 중요성을 강조해야 하며, 합병증 발생 시 조기 발견 및 적절한 중재가 필요하다.
2. 만성신부전 환자의 간호
2.1. 체액과다 및 전해질 불균형
2.1.1. 사정
만성신부전 환자의 체액과다 및 전해질 불균형 상태를 사정하기 위해서는 먼저 환자의 활력징후와 I&O(섭취량과 배설량)를 주기적으로 측정하는 것이 중요하다"" 활력징후 측정을 통해 고혈압, 빈맥과 같은 순환기계 이상 징후를 파악할 수 있으며, I&O 측정을 통해 체액 불균형 상태를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전해질 검사 결과를 정기적으로 모니터링하여 전해질 수치의 변화를 확인하는 것이 필요하다"" 만성신부전 환자에게 흔히 나타나는 전해질 불균형은 고칼륨혈증, 저나트륨혈증, 고인산혈증 등이며, 이러한 전해질 이상 소견이 관찰되면 그에 따른 증상 및 징후를 사정해야 한다""
또한 부종 상태를 주기적으로 사정하는 것이 중요한데, 전신적인 부종 소견이나 요흔성 부종(pitting edema)이 관찰되는지 확인해야 한다"" 이를 통해 체액 과다로 인한 전신 부종이나 심부전, 폐부종 등의 합병증 발생을 조기에 발견할 수 있다""
종합적으로, 만성신부전 환자의 체액과다 및 전해질 불균형 상태를 사정하기...
참고 자료
성인간호학 (2019). 현문사. 황옥남 외
최신기본간호학 (2020). 수문사. 송경애 외
간호진단 중재 및 결과 가이드: 수정판(2019). 현문사. Meg Gulanick 저. 박은영 역
간호과정과 비판적 사고(2015). 현문사. 원종순
간호과정 실무지침(2018). 개정판. 서울대학교출판문화원. 서울대학교병원 간호본부
근거중심 질환별 간호과정1(2016). 메디캠퍼스. 이노우에 도모코 외. 신은주 옮김
일차 의료용 근거기반 만성콩팥병 임상진료지침(2022). 대한의학회. 질병관리청
논문: 『혈액투석환자의 피로에 대한 개념분석 : 혼종모형』(2017).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Vol.18, No.7, p.688-698. 서남숙(간호학과 교수, 간호학 박사) 외
논문: 『만성 신부전 환자에서 빈혈 교정』(2012). 병원약사회지. Vol.29, No.1, p.87-94. 서울대학교병원. 편보아
논문: 『Edema in renal diseases– current view on pathogenesis』(2016). First Moscow State Medical University. Nephrology @ Point of Care. Vol.2, No.1, p.47-55. Irina Bobkova
대한신장학회: https://www.ksn.or.kr
약학정보원: https://www.health.kr
최신 임상간호메뉴얼(2003) 제7판. 현문사
간호진단과 계획(2008). 서울대학교출판부
김강미자 외(2006). 개정판 NANDA 간호진단과 중재 가이드
서문자 외 (2013). 성인간호학 , 수문사
성미혜 외(2013). 간호과정의 이론과 적용. 수문사
조경숙 외(2013). 성인간호학(상권). 현문사
송경애 외(2014). 최신 기본간호학(하). 수문사
송경애 외(2014). 기본간호 중재와 술기. 수문사
황옥남외 8명 (2017)성인간호학 현문사
비판적 사고를 적용한 간호과정(NAND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