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환경호르몬 간호"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서론
2. 환경호르몬
2.1. 환경호르몬의 정의
2.2. 환경호르몬의 영향
3. 비스페놀A
3.1. 발생원인
3.2. 특징
3.3. 처리현황
3.4. 사례
3.5. 문제점과 해결방안
3.6. 건강영향
4. 다이옥신
4.1. 발생원인
4.2. 특징
4.3. 사례
4.4. 건강영향
4.5. 간호
4.6. 처리현황
4.7. 문제점과 해결방안
5. 결론
6.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서론
환경호르몬은 내분비계의 정상적인 기능을 방해하는 화학물질로서 환경 중 배출된 화학물질이 체내에 유입되어 마치 호르몬처럼 작용하여 그 이름이 붙여졌다. 이 물질은 환경에 큰 영향을 끼칠 뿐만 아니라 순리적인 생태계의 균형을 깨뜨리고 결과적으로 사람들의 건강에까지 해를 입히게 된다. 인류가 사용한 많은 화학물질들이 현대 생활을 하는 데에 필요하고, 이로운 면이 있는 반면에 생체 호르몬과는 달리 쉽게 분해되지 않고, 환경 속에서 잔존하여 수 십 년간 지속되기도 한다. 또한 이미 알려진 대로 동·식물뿐만 아니라 지방 및 조직에 농축되어 악영향을 끼치고 있다.
2. 환경호르몬
2.1. 환경호르몬의 정의
환경호르몬이란 내분비계의 정상적인 기능을 방해하는 화학물질로서 환경 중 배출된 화학물질이 체내에 유입되어 마치 호르몬처럼 작용하는 물질을 말한다. 미국 EPA에서는 체내의 항상성 유지와 발생과정을 조절하는 생체 내 호르몬의 생산, 분비, 이동, 대사, 결합작용 및 배설을 간섭하는 외인성 물질을 환경 호르몬으로 정의하였고, OECD에서는 내분비계 기능에 변화를 일으켜 정상적인 개체 또는 그 자손의 건강에 위해한 영향을 나타내는 외인성 물질로 환경 호르몬을 정의하였다. 산업용 화학물질의 종류로는 살충제 및 제초제 등의 농약류, 유기중금속류, 소각장의 다이옥신류, DES와 같이 의약품으로 사용하는 합성 에스트로겐류, 식물에 존재하는 식물성 에스트로젠 등의 호르몬 유사물질, 기타 식품 첨가물 등이 있다.
2.2. 환경호르몬의 영향
환경호르몬은 내분비계의 정상적인 기능을 방해하는 화학물질로, 체내에 유입되어 마치 호르몬처럼 작용하여 생태계와 인간의 건강에 심각한 영향을 미친다. 환경호르몬의 영향은 성체보다는 배아, 태아기에 더 큰 영향을 미칠 수 있으며, 노출된 성체가 아닌 후손에서도 뚜렷하게 나타난다. 주요 피해사례로는 어류, 조류, 포유류의 생식력 감소, 동물의 부화율 감소, 출산 시 기형률 증가, 새와 포유류 수컷의 탈 남성화와 여성화, 새와 포유류의 면역계통 이상, 인간의 신체적·행동적·정신적 저해를 들 수 있다. 특히 성장기 어린이는 내분비계 장애물질 노출 위험성이 성인보다 심각하므로 주의가 필요하다. 장난감, 놀이방 매트, 지우개, 크레파스 등 다양한 일상용품에서 환경호르몬 물질이 발견되며, 이에 장기간 노출될 경우 어린이들의 지능발달과 성장이 저하될 수 있다.""
3. 비스페놀A
3.1. 발생원인
비스페놀A는 에폭시 수지와 폴리카보네이트 플라스틱 제조의 단량체로 약 95%의 생산량을 차지한다. 에폭시 수지는 금속과 직접 접촉하는 식품과 음료를 보호하기 위해 식품 및 음료 캔의 내부 코팅제와 수도관 부식방지용 내부 코팅제로 사용되고 있으며, 폴리카보네이트 플라스틱은 투명 플라스틱으로 식품과 음료 포장재, 아기 젖병, 렌즈 등 일상생활용품 제조에 널리 사용되고 있다. 이렇게 다양한 용도로 인해 비스페놀A는 지표수, 지하수 등 수생 환경에 쉽게 노출될 수 있다.
3.2. 특징
비스페놀A 는 2개의 페놀 구조(C15H16O2)를 가진 유기화합물이다. 프탈레이트, 노닐페놀과 함께 대표적으로 꼽히는 내분비계 교란물질로 에폭시 레진과 폴리카보네이트(polycarbonate; PC)의 주요 원료로 사용된다. 강도와 내열성이 높고 투명한 성질을 가지고 있다.
3.3. 처리현황
환경부는 1998년 6월부터 유해화학물질관리법에 의해 관찰 대상물질로 비스페놀을 지정하였으며, 서울시는 2005년 7월부터 감시항목(0....
참고 자료
최선하 외 10명, 「지역사회간호학」, 신광출판사, 2021, p. 752-754
여민경, 「환경호르몬의 영향과 규제방안에 관한 연구」, 한국형사정책연구원, 2002
환경부, 「국제기구 및 선진 외국의 연구 및 정책 동향」, 환경부, 1998
이호용, 「내분비교란물질(환경호르몬)의 위협과 법적 대응」, 법조협회, 2018
이호용, 「미국 환경호르몬물질 관리의 정책과 법제」, 한양법학회, 2018
조태제, 「일본 환경호르몬물질 관리의 정책과 법제」, 한양법학회, 2018
조태제, 이호용, 「환경호르몬물질 관리의 현황과 과제」, 한국법정책학회, 2018
윤진아, 「EU 및 독일의 내분비계 교란물질 규제 현황과 시사점」, 한국법정책학회, 2017
전남권환경성질환예방관리센터, “환경호르몬(내분비장애물질)",
https://www.boseongatopycenter.kr/contentsView.do?pageId=www34
류재근, “지구촌 재앙의 근원, 환경호르몬”, 워터저널, 2005.10.21,
http://www.waterjournal.co.kr/news/articleView.html?idxno=1053
김지원, “'화학물질' 공포…"환경호르몬 규정정책도 없어”, 이코리아, 2016.05.17, https://www.ekoreanews.co.kr/news/articleView.html?idxno=18317
고금숙, “[해외뉴스] 미국 26개 주의 독성물질 관련 규제 강화 노력”, 발암물질없는사회만들기국민행동, 2020.03.07,
2. https://nocancer.kr/2013%EB%AF%B8%EA%B5%AD%EB%8F%85%EC%84%B1%EB%AC%BC%EC%A7%88%EB%89%B4%EC%8A%A4/
유민정, “[아시아, 생활 속 환경호르몬] ②정부·시민·국제 협력 방안”, 케미컬뉴스, 2022.04.19, http://www.chemicalnews.co.kr/news/articleView.html?idxno=4633
[한양법학회] 미국 환경호르몬 물질 관리의 정책과 법제, 이호용, 2018
[중국법연구] 중국 환경호르몬 물질 관리정책과 법제에 관한 소고, 윤성혜, 2018
[한양법학회] 일본 환경호르몬 물질 관리의 정책과 법제, 조태제, 2018
[한국법정책학회] 환경호르몬 물질 관리의 현황과 과제
비스페놀A, 프탈레이트(프탈산에스테르) 및 노닐페놀에 대한 규제를 중심으로 – 조태제, 이호용
[뉴시스], “간편식 먹으며 건강도 챙기는 소비자들…"2022년 시장 규모 5조 이상"” 장서우 기자, 2019.08.04
[데일리시큐], “에어프라이어 잘못 쓰면 환경호르몬 폭탄” 우진영 기자, 2019.11.21.
[네이버 지식백과] 우리 몸을 교란시키는 환경호르몬 (대한의사협회 환경 건강 분과위원회, 홍윤철)
김재일 외, 「소각시설의 대기오염방지시설에 따른 다이옥신 제거효율 비교」, 『한국열환경공학회 학술대회지』, 한국열환경공학회 , 2014, p.28
송창엽 외 2인, 「비스페놀류의 사용 현황과 위해성: 소고」, 『환경생물학회지(환경생물)』, 제35권 4호, 한국환경생물학회, 2017, p.583
이호용, 「내분비교란물질(환경호르몬)의 위협과 법적 대응」, 『법조협회지』, 제67권 4호, 법조협회, 2018, p.50
장재연 외 1인, 「다이옥신과 건강: 인체 노출 수준 및 건강영향에 대한 역학적 연구」, 『대한예방의학회지』, 제36권 4호, 대한예방의학회, 2003, pp.303~306
정관조 외 9인, 「갱생 옥내급수관 수돗물에서 비스페놀-A 분포 및 위해성 평가」, 『대한환경공학회지』, 제38권 7호, 대한환경공학회 , 2016, pp.371~372
신경림 외, 『성인간호학』, 현문사, 2010.01.25, pp.1974~1983
김경태기자, 「환경호르몬, 성장기 어린이 더 위험」 『환경일보』 2019.01. 25 (http://www.hkbs.co.kr/news/articleView.html?idxno=498894. 2019.03.23.접속)