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뇌내출혈 간호진단"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서론
1.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2. 연구 기간 및 방법
1.3. 문헌고찰
2. 본론
2.1. 간호 사정
2.1.1. 일반적 사항
2.1.2. 진단검사 및 치료 효과 확인을 위한 검사
2.1.3. 임상검사
2.1.4. 의사의 치료내용
2.2. 간호 과정
3.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서론
1.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전 세계적으로도 뇌졸중은 사망과 주요 장애 원인의 2위를 차지한다고 하고 우리나라에서도 뇌혈관질환은 네 번째로 흔한 사망과 성인장애의 원인이라고 한다. 그 중 뇌 실질 내의 자발성출혈은 국내 뇌졸중 환자의 약 반수를 차지할 정도로 빈도가 높고, 뇌 내출혈의 2/3가 50대~60대에서 호발하며, 뇌 CT, 미세수술 등 현대 신경외과학의 발전에도 불구하고 사망률이 60~80%로 높다고 한다. 뇌출혈은 뇌졸중의 한 종류인데 뇌졸중이란 뇌의 일부분에 혈액을 공급하고 있는 혈관이 막히거나(뇌경색) 터짐(뇌출혈)으로써 그 부분의 뇌가 손상되어 나타나는 신경학적 증상을 말한다. 이는 먼 이야기가 아니라 우리 부모님과 할아버지 할머니 등 가까운 관계에서부터 발생할 수 있는 질병이다. 이런 상황에 뇌졸중에 대한 정확한 지식을 가지고 그것을 활용할 수 있는 힘을 가져야 되는 것이 우리 예비 간호학도의 올바른 자세라 생각이 들며 뇌졸중의 문헌고찰과 사례연구를 하여 대상자에게 간호학적인 측면에서 도움을 줄 수 있는 방법에 대해서 모색해 보고 간호과정을 적용해 보고자 한다. 더욱이 뇌졸중 중에서도 출혈성 뇌졸중, 즉 뇌출혈 중에서도 뇌내출혈 환자의 간호와 건강증진을 위하여 총체적인 정보를 통해 연구하여 향후 임상에 있어서 더욱 더 간호의 질을 높이기 위하여 뇌내출혈 사례연구가 연구하였다.
1.2. 연구 기간 및 방법
본 연구자는 2021년 10월 4일부터 10월 8일까지 ㅇㅇ병원 중환자실 병동의 EMR을 이용하여 대상자를 선정하고 사정 및 진단을 하였다. 또한 대상자와의 면담과 관찰을 통해 정보를 수집하였다."
1.3. 문헌고찰
뇌내출혈(intracerebral hemorrhage, ICH)은 뇌졸중의 심각한 형태이다. ICH 환자의 절반은 상황 발생 후 1개월 내에 사망하며, 생존자들은 뇌 기능과 운동 기술을 심하게 상실한다. ICH는 전형적으로 고혈압에 의해 뇌에 출혈이 생겨 발생한다. ICH는 직접 조직을 파괴, 신경 독성, 염증, 부종, 혈류의 손상 및 세포 자멸을 통해 세포의 죽음을 야기한다. 따라서 이렇게 치명적일 수 있는 ICH질환에 대한 사례연구를 진행하여, 이 같은 질환을 가진 대상자를 어떻게 치료하고 간호해야 하는지의 적절한 간호 중재와 치료방법에 대해 파악하고자 하였다""뇌출혈성 뇌혈관질환은 출혈이 일어나는 부위에 따라 뇌내출혈(intracerebral hemorrhage), 거미막밑출혈(subarachnoid hemorrhage), 경질막밑출혈(subdural hemorrhage)로 분류된다. 경질막과 거미막 사이에 출혈이 있는 경우를 경질막밑출혈, 거미막 아래에 출혈이 있는 경우를 거미막밑출혈, 연질막 아래의 뇌실질내에 출혈이 있는 경우를 뇌내출혈이라고 한다""
2. 본론
2.1. 간호 사정
2.1.1. 일반적 사항
양ㅇㅇ 여성, 55세는 2022년 10월 2일 아침 1시 20분경 갑자기 발생한 좌측 사지 허약감과 말이 어눌해짐 증상으로 응급실을 통해 입원하였다. 진단명은 뇌내출혈(intracerebral haemorrhage)이다. 평소 고혈압과 고지혈증 질병력이 있었으며, 모친 역시 고혈압과 뇌졸중 병력이 있었다. 흡연력과 음주력은 없었으며, 다른 특별한 과거력도 없었다. 입원 당시 활력징후는 혈압 160/89 mmHg, 체...
참고 자료
윤은자 등. (2021). 성인간호학Ⅰ. 수문사.
윤은자 등. (2021). 성인간호학Ⅱ. 수문사.
송경애 등 (2021). 기본간호학Ⅰ 수문사.
송경애 등 (2021). 기본간호학Ⅱ 수문사.
강북삼성병원 블로그
서울아산병원 질환백과
세브란스병원 건강정보
윤은자 외(9판). 성인간호학Ⅱ. 수문사
성미혜 외(2019). 근거기반간호 간호과정. 수문사
양선희 외(2020). 기본간호학(Ɩ, ƖƖ). 현문사
이영휘 외(2017). 성인간호학(Ɩ, ƖƖ). 정담미디어
약학정보원 : http://www.health.kr/
대한진단검사의학회 https://labtestsonline.kr/
대한신경외과학회 https://www.neurosurgery.or.kr
https://www.msdmanuals.com/ko/홈/뇌,-척수,-신경-장애/뇌졸중-cva/뇌내출혈
김선영. “해마다 뇌졸중 환자 10만여 명 발생…76%는 뇌경색”. 중앙일보. 2019년 1월 7일자.
이현의 외. 『뇌졸중 위험지표로서의 일반혈액검사 소견에 대한 환자-대조군 연구』, 대한한방내과학회지 제28권 4호(2007년 12월)
김영성. [고혈압을 동반한 경미한 외상성 뇌출혈 노인 환자에서 고혈압 조절이 예후에 미치는 영향. 인하대학교 일반대학원.(2011)
이영휘 외(2017). 성인간호학(Ⅱ,Ⅲ). 정담미디어
김선영. “해마다 뇌졸중 환자 10만여 명 발생…76%는 뇌경색”. 중앙일보. 2019년 1월 7일자.
이현의 외. 『뇌졸중 위험지표로서의 일반혈액검사 소견에 대한 환자-대조군 연구』, 대한한방내과학회지 제28권 4호(2007년 12월)
김성희, 2017. Yeungnam University Journal of Medicine, 34(1): 11-18.
한태륜 외, 1998. 대한재활의학회지, 22(5): 1101-1106.
황옥남 외 공저(2018), 제 7판 성인간호학 상·하권. 현문사
김본원 외 공저(2006), 알기쉬운 병리학, 현문사
한국해부생리학 교수협의회 저(2007), 인체해부학, 현문사
김진경, 황옥남 외 공저(2019), 성과기반 성인간호 실무지침 Ⅰ, 현문사
황옥남, 김진경 외 공저(2019), 성과기반 성인간호 실무지침 Ⅱ, 현문사
드러그인포
이국근, 이순행(2019), 제 2판 중환자간호 매뉴얼, 포널스
양선희 외, 『기본간호학Ⅰ』, 2019, 현문사, chapter 12, 221p~251p
양선희 외, 『기본간호학Ⅱ』, 2019, 현문사, chapter. 휴식과 수면. 94p~117p
황옥남 외, 『성인 간호학(상)』, 현문사, 2019, chapter8 통증, 235p~246p
황옥남 외,『성인 간호학(하)』, 현문사, 2019, chapter 22. 신경계 장애 대상자 간호, 377p~393p
통합뇌과학, 『해부 병태생리로 이해하는 SIM통합내과학 10: 신경』, 도서출판 정담, 2013발행
이상복, 「Journal of Korean neurosurgical society」, 뇌출혈의 내과적 요법, 대한신경외과학회, Vol.12 No.1, 1983.
지제근, 「Pathology and Pathogenesis of Primary Intracerebral Hemorrhage」, 대한신경외과학회, 「Journal of Korean neurosurgical society(대한신경외과학회지)」, Vol.12 No.1, 1983.
허승곤 외, 「뇌기저핵 및 시상에 발생한 자발성 뇌내출혈에 대한 임상적 고찰」, 대한신경외과학회, Journal of Korean neurosurgical society(대한신경외과학회지), Vol.11 No.2, 198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