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간호대학생의 대학생활 적응 문헌고찰"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간호대학생이 받는 학업 스트레스가 우울에 미치는 영향
1.1. 서론
1.1.1. 연구의 필요성
1.1.2. 연구목적
1.1.3. 용어정의
1.2. 문헌고찰
1.2.1. 간호대학생의 스트레스, 우울 및 자살사고 비교
1.2.2. 간호대학생의 우울 정도 및 영향요인
1.2.3. 간호대학생의 생활스트레스, 우울이 자살생각에 미치는 영향
1.2.4. 간호대학생이 대학 생활 중 겪게 되는 스트레스와 우울과의 관련성
1.2.5. 간호대학생의 학업 스트레스가 우울에 미치는 영향
1.3. 연구방법
1.3.1. 연구 설계
1.3.2. 연구대상자
1.3.3. 연구 도구
1.3.4. 자료수집방법
1.3.5. 윤리적 고려
1.3.6. 연구결과의 기대효과 및 활용
1.4. 참고문헌
2. 간호대학생의 전공만족도가 진로정체감에 미치는 영향
2.1. 서론
2.1.1. 연구의 필요성
2.1.2. 연구목적
2.1.3. 연구가설
2.1.4. 용어의 정의
2.2. 문헌고찰
2.2.1. 전공만족도
2.2.2. 진로와 진로정체감
2.3. 참고문헌
3. 간호대학 신입생의 전공선택동기, 전공만족도가 학과적응에 미치는 영향
3.1. 서론
3.1.1. 연구의 필요성
3.1.2. 연구 목적
3.1.3. 용어 정의
3.2. 문헌고찰
3.2.1. 전공선택동기
3.2.2. 전공만족도
3.2.3. 학과적응
3.3. 연구방법
3.3.1. 연구 설계
3.3.2. 연구대상
3.3.3. 연구도구
3.3.4. 자료수집방법
3.3.5. 자료분석방법
3.4. 연구결과
3.4.1.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3.4.2. 대상자의 전공선택동기, 전공만족도 및 학과적응의 정도
3.4.3.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전공선택동기, 전공만족도 및 학과적응 정도
3.4.4. 대상자의 전공선택동기와 전공만족도 및 학과적응 간의 관계
3.4.5. 대상자의 전공선택동기와 전공만족도가 학과적응에 미치는 영향
4.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간호대학생이 받는 학업 스트레스가 우울에 미치는 영향
1.1. 서론
1.1.1. 연구의 필요성
간호대학생은 과중한 학습량과 임상 실습에서의 스트레스, 간호사 국가시험에 합격해야 하는 심리적부담감, 의료기술의 급격한 변화에 대한 적응 등으로 타전공의 대학생에 비해 더 높은 수준의 스트레스를 경험한다. 이런 스트레스가 적절히 관리되지 않으면 학교생활에 적응하지 못하여 여러 가지 신체적 건강문제와 불안, 실패감, 좌절, 우울 등의 심리적 어려움을 경험하게 된다. 특히 간호대학생의 정신문제 중 우울이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간호사는 힘들고 스트레스가 많은 전문직으로 고려되며, 간호대학생은 타 학과 학생들에 비해 과중한 학습 뿐 아니라 교과과정 중에 실무현 장에 조기 노출되는 임상실습을 경험해야 하므로 스트레스와 우울이 증가될 수 있다.
한편 우울은 대학생에서도 남학생보다는 여학생의 발병률이 높고 더 지속적이라는 보고가 비교적 일관성 있게 제시되고 있고, 여대생에서 Beck의 우울척도 (Beck Depression Inventory, BDI)의 우울 분할 점 10점보다 높은 우울군이 54.0%로 보고되어 우리나라 여대생의 우울관리가 시급함을 알 수 있다. 또한 대학시기에 경험하는 우울은 성인기까지 지속될 가능성이 높고 대인관계, 인지, 문제해결, 사회생활 등 여러 영역에서 적응을 어렵게 할 뿐 아니라, 정서적 문제로부터 시작하여 행동 및 신체적 증상까지 다양한 기능장애를 초래할 수 있음을 고려했을 때, 특히 여학생이 다수를 차지하고 있는 간호대학생의 우울 예방 및 관리는 필요하다.
1.1.2. 연구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간호대학생의 학업 스트레스와 우울 정도를 파악하고, 이들 간의 상관관계를 파악하며, 우울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탐색하고자 하는 것이다.
구체적인 목적은 다음과 같다:
1) 간호대학생의 일반적 특성과 학업 스트레스와 우울 정도를 파악한다.
2) 일반적 특성에 따른 학업 스트레스와 우울 정도의 차이를 파악한다.
3) 간호대학생의 학업 스트레스와 우울 간의 상관관계를 파악한다.
4) 간호대학생의 우울에 미치는 영향요인을 파악한다.
1.1.3. 용어정의
1) 학업 스트레스
(1) 이론적 정의
학업 스트레스란, 학업으로 인해 유발되는 부적응적 상태로 학교 공부나 성적 등의 학업 관련 압박감으로 겪게 되는 정신적 부담감, 근심, 긴장, 공포, 우울, 초조감 등과 같이 편안하지 못한 심리상태이다.
(2) 조작적 정의
본 연구에서 학업 스트레스는 Schaufeli, Martinez, Pinto, Salanova와 Bakker (2002)에 의해서 개발된 신소홍이 한국어로 변역하여 타당도와 신뢰도가 검증한 MBI-SS 척도를 사용하여 측정한 점수를 의미한다.
2) 우울
(1) 이론적 정의
우울이란 정상적인 기분 변화로부터 병적인 기분 상태까지의 연속선상에 있는 정서로서, 수면 장애, 피로, 기쁨과 흥미 및 동기 상실, 외부 세계에 대한 무관심, 절망, 비관, 침울함, 무력감 및 무가치함, 활동 억제, 자존감 저하, 자기 비하 등을 나타내는 감정 상태이다.
(2) 조작적 정의
본 연구에서 우울은 Beck에 의해 개발된 Beck-II 우울척도(Beck Depression Inventory-II)를 사용하여 측정한 점수를 의미한다.
1.2. 문헌고찰
1.2.1. 간호대학생의 스트레스, 우울 및 자살사고 비교
간호대학생의 스트레스, 우울 및 자살사고 비교를 다룬 내용은 다음과 같다.
연구 결과에 따르면, 스트레스 전체 평균은 간호대학생보다 일반대학생이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학업 스트레스의 경우 간호대학생이 일반대학생보다 높게 나타났다. 또한 간호대학생들은 일반 대학생들에 비해 우울, 스트레스, 자살생각 간에 강한 상관관계를 보여, 우울, 스트레스, 자살 생각 완화를 위한 다양한 정신 건강증진 프로그램이 필요한 것으로 제언되었다. 이는 간호대학생들의 경우 과중한 학습량과 임상 실습에서의 스트레스, 간호사 국가시험에 대한 심리적 부담감, 의료기술의 급격한 변화에 대한 적응 문제 등으로 인해 타 전공 대학생들에 비해 더 높은 수준의 스트레스를 경험하고 있기 때문인 것으로 보인다.
1.2.2. 간호대학생의 우울 정도 및 영향요인
본 연구는 간호대학생의 우울 정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포괄적으로 파악하고, 그 요인들 중 간호대학생의 우울을 가장 잘 설명하는 요인을 확인하여 추후 우울 예방 및 관리를 위한 프로그램 개발의 기초 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충청도와 강원도에 소재한 3개, 4년제 대학의 간호학과 1-4학년 학생 중 여대생 260명을 대상으로 연구를 진행하였다. 연구도구로는 우울 진단의 Major Depression Inventory (MDI), 대학생용 생활 스트레스 척도, Rosenberg가 개발한 자존감 척도, Sherer와 Maddux가 개발한 자기효능감 척도, Park이 개발한 사회적 지지 척도, 안녕감 척도(WHO Well- Being Index, WBI)를 활용하였다.
연구 결과, 우울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한 요인은 스트레스, 자아존중감, 안녕감, 자기효능감으로 나타났다. 이를 통해 간호대학생 스스로 자신의 우울을 인식하고 평가할 수 있는 측정도구로서 MDI의 활용 가능성을 확인하였다. 향후에는 개인의 성격양식이나 유전 등과 같은 개인적 취약성을 포함함으로써 보다 개별적인 맞춤형 중재 전략개발을 위한 이론적 근거를 제공하는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제언하였다."
1.2.3. 간호대학생의 생활스트레스, 우울이 자살생각에 미치는 영향
본 연구는 다수의 연구에서 자살생각의 영향요인으로 공통적으로 제시한 스트레스와 우울의 변수에서 간호대학생들에게 자살생각을 일으킬 수 있는 간호대학생들의 특수한 생활환경에서 비롯된 스트레스 요인과 우울이 간호학생들의 자살생각에 미치는 영향 정도를 파악하고자 하였다.
4년제 대학의 간호학생으로 K도와 C도에 위치한 2개 종합대학에서 연구참여 희망자 131명을 대상으로 대학생 생활스트레스 척도, 우울척도의 Beck Depression Inventory (BDI), 자살생각척도의 Suicidal Ideation Questionnaire (SIQ)을 활용하여 연구를 진행하였다.
연구 결과, 연구대상자의 자살생각은 여학생이 남학생보다, 자신이 건강하지 않다고 지각하는 집단이 건강하다고 지각하는 집단보다 유의하게 자살생각 점수가 높았다. 자살생각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변수는 가치관 문제, 가족관계, 친구관계 및 우울이었다.
즉, 간호대학생의 특수한 자살생각 요인들은 가치관 문제, 가족관계, 친구관계 및 우울이며, 이는 간호대학생들을 위한 자살예방 중재 프로그램 개발에 유용한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1.2.4. 간호대학생이 대학 생활 중 겪게 되는 스트레스와 우울과의 관련성
간호대학생이 대학 생활 중 겪게 되는 스트레스와 우울과의 관련성에 대한 내용은 다음과 같다.
간호대학생이 대학 생활 중 겪게 되는 스트레스와 우울과의 관련성을 조사한 연구에 따르면, 간호대학생은 타전공의 대학생에 비해 더 높은 수준의 스트레스를 경험하며, 이로 인해 정신적 어려움을 겪는 것으로 나타났다. K광역시와 S시에 위치한 3개의 3년제 간호과에 재학 중인 2, 3학년 학생 580명을 대상으로 한 연구 결과, 스트레스와 우울 정도는 학업성적, 성격, 식사유형, 주관적 건강상태, 체형에 대한 만족도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즉, 간호대학생의 대학 생활 중 겪게 되는 스트레스가 우울 수준에 유의한 영향을 미친다는 것이다.
적절한 중재가 없을 경우 간호대학생의 스트레스로 인한 우울은 의욕상실과 같은 정서적인 문제에서 출발하여 학업 성취도 저하로 이어질 수 있다. 간호대학생들은 엄격한 교육과정과 국가시험에 대한 심리적 중압감, 임상실습에 대한 스트레스로 인해 심리적 장애를 겪고 있는데, 이러한 스트레스를 중재하려는 노력이 필요하다고 제언하였다.
즉, 간호대학생의 대학 생활 중 겪는 스트레스가 우울 수준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며, 이에 대한 적절한 관리와 중재가 필요한 것으로 볼 수 있다.
1.2.5. 간호대학생의 학업 스트레스가 우울에 미치는 영향
간호대학생의 학업 스트레스가 우울에 미치는 영향"이다.
선행연구에 따르면, 간호대학생은 과중한 학습량과 임상실습에서의 스트레스, 간호사 국가시험에 대한 심리적 부담감 등으로 타 전공 대학생에 비해 높은 수준의 스트레스를 경험한다[1]. 이러한 스트레스가 적절히 관리되지 않으면 학교생활 적응에 어려움을 겪게 되며, 여러 신체적, 심리적 문제를 경험하게 된다[1]. 특히 간호대학생의 정신건강 문제 중 우울이 가장 높은 수준으로 나타났다[1].
한편 간호사는 힘들고 스트레스가 많은 직업으로 고려되며, 간호대학생 또한 과중한 학습 부담과 임상실습 경험으로 인해 스트레스와 우울이 증가될 수 있다[1]. 선행연구에 따르면 대학생의 우울 예측모형에서 스트레스가 대학생의 우울을 42% 정도 설명하는 것으로 나타났다[1]. 성인여성을 대상으로 한 연구에서도 스트레스가 있는 대상자가 그렇지 않은 대상자에 비해 우울 정도가 3.1배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1].
따라서 미래의 전문 보건의료직인 간호대학생들의 학업 스트레스와 우울 정도를 파악하고, 이들 간의 관계를 규명하는 것은 중요하다. 이를 통해 간호대학생들의 학업 스트레스를 줄이고 효율적인 대학생활을 영위할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할 수 있을 것이다.
1.3. 연구방법
1.3.1. 연구 설계
본 연구는 간호대학생의 학업 스트레스의 정도, 우울을 파악하고 우울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탐색하기 위한 서술적 상관관계 연구이다.""
1.3.2. 연구대상자
본 연구의 연구대상자는 Y시, S시에 소재한 2개 대학교의 간호학과 재학생을 대상으로 하였다. 대상자 수는 G*Power 3.1.3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표본 수를 산출한 결과 유의수준 .05, 검정력 .95, 효과크기 .10, 예측변수 12개로 하여 산출한 결과 필요 대상자 수는 230명이었다. 20% 탈락률을 고려하여 276명의 자료를 최종분석에 활용할 것이다.
1.3.3. 연구 도구
본 연구에서는 간호대학생의 학업 스트레스를 측정하기 위해 Schaufeli, Mar...
참고 자료
신소홍 (2016). 간호대학생의 학업 스트레스가 우울에 미치는 영향과 학업 탄력성의 조절효과. 한국간호교육학회지, 22 (1), 14 – 24.
유수정 외(2014). 간호대학생의 우울정도 및 영향요인. 한국간호교육학회지, 20 (1), 71 – 80.
손영주 외(2010). 간호대학생이 대학 생활 중 겪게 되는 스트레스와 우울과의 관련성. 스트레스硏究, 18 (4), 345 – 351.
차선경 외(2014). 간호대학생과 일반대학생의 스트레스, 우울 및 자살사고 비교. 한국간호교육학회지, 20 (4), 650 – 658.
신미경 외(2013). 간호대학생의 생활 스트레스, 우울이 자살생각에 미치는 영향. 기본간호학회지, 20 (4), 419 – 428.
김경희 외(2011). 간호학과 여대생의 분노와 우울, 자아존중감에 관한 연구. 정신간호학회지, 20 (3), 233 – 241.
정하윤 외(2013). 간호대학생의 스트레스, 자아존중감, 정신건강에 관한 연구. 동아대학교 간호학과, 7 (4), 191 – 204.
최숙경 (2018). 간호대학생의 생활 스트레스와 우울과의 융복합적 관련성. 경동대학교 간호학부, 16 (5), 257 – 266.
손미라 외(2020). 간호대학생의 우울 및 사회불안이 행복에 미치는 영향. 신성대학교 간호학과, 18 (7), 247 – 253.
정소영 외(2019). 간호대학생의 학년에 따른 대학적응과 생활 스트레스 비교연구. 안산대학교 간호학과, 17 (4), 139 – 146.
정경순 외(2017). 간호대학생의 생활 스트레스, 수면의 질, 정신건강 간의 관계. 경남정보대학교 간호학과, 5 (4), 67 – 76.
이명숙 외(2014). 간호대학생의 임상실습 스트레스, 건강증진행위, 삶의 질과 영향요인에 관한 연구. 근관절건강학회지, 21 (2), 125 – 134.
이애경 외(2015). 간호학생의 임상실습 스트레스 영향요인. 간호행정학회지, 21 (2), 154 – 163.
배병훈 외(2007). 자기 결정성과 학업 꾸물거림이 학업 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 : 다변량 잠재 성장모형을 이용한 종단 분석. 아주대학교, 21 (3), 747 – 764.
전겸구, 최상진, & 양병창. (2001). 통합적 한국판 CES-D 개발. 한국심리학회지: 건강, 6(1), 59-76.
오미향, 천성문(1994). 청소년의 학업스트레스 요인 및 증상분석과 그 감소를 위한 명상훈련의 효과. 서강대학교 학생상담연구소 인간이해, 15, 63-96.
Blatt, S. J., D'Afflitti, J. P., & Quinlan, D.M. (1976). Experiences of depression in young adults. J Abnorm Psychol, 85, 383-389.
Jeong, M. H., & Shin, M. A.(2006). The relationship between self-esteem and satisfaction in major of nursing students. The Journal of Korean Academic Society of Nursing Education, 12(2), 170-177.
Shiaki, N., Shono, M., & Kitamura, T. (2009). Effects of coping styles and stressful life events on depression and anxiety in Japanese nursing students: A longitudinal study. International Journal of Nursing Practice, 15, 198-204.
O'Donnell, H. (2009). The emotional impact of nursing student attrition rates. The British Journal of Nursing. 18, 745-754.
Cha, N. H. (2013). The relationships between stress and health locus of control in nursing colleges students. Journal of East-West Nursing Research, 19(2), 177-185.
Gibbons, C., Dempster, M., Moutray, M. (2009). Index of sources of stress in nursing students: a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Journal of Advanced Nursing. 65(5), 1095-1102.
Jwa, H. S. (2014). The effect of academic stress on depression in adolescents : Moderating effect of gender role stereotype. Health and Social Welfare Review, 34(2), 334-366.
Park, K. H. (2008). Construction of depression model for the university student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The Seoul National University, Seoul.
Choi. S. I., Kim, Z. S., Shin, M. S., & Cho, M. J. (2001). Modes of anger expression in relation to depression and somatization. J Korean Neuropsychiatri Assoc, 40(3), 425-433.
유민영. (2023). 간호대학생의 자아존중감, 셀프리더십 및 진로정체감 간의 관계, 석사학위논문, 중앙대학교
민지선. (2019). 간호대학생의 자아존중감, 문제해결능력, 간호전문직관이 진로정체감에 미치는 영향, 조선대학교
이아람. (2018). 간호대학생의 간호전문직관, 임상실습 스트레스, 진로정체감과의 관계, 한림대학교
김선주. (2023). 간호대학생의 성격 5요인이 학업스트레스, 우울, 전공만족도 수준에 미치는 영향, 중앙대학교
김봉희, 신정하. 간호학과 성인대학생의 전공선택동기, 전공만족도가 학과적응에 미치는 효과. 아시아문화학술원. 2016;7(5):141-166.
양경희, 이정란, 박복남. 간호대학 신입생의 학교적응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한국간호교육학회지. 2012;18(1):5-13.
김유정, 유하나, 박미정. 간호대학생의 전공선택동기가 전공만족도, 대학생활만족도 및 자기주도 학습능력에 미치는 영향. 한국산학기술학회 논문지. 2016;17(10):261-270.
최길순, 채민정. 일부 응급구조과 학생들의 학업적 자기효능감과 자기주도적 학습태도에 관한 연구. 한국응급구조학회. 2013;17(1):51-62.
김덕진, 이정섭. 간호대학생의 자아탄력성과 자기효능감이 전공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2014;20(2):244-254.
이미라, 김미자. 간호대학생의 대학생활적응, 전공만족도, 임상실습만족도가 간호사로서의 직업정체성에 미치는 영향. 한국산학기술학회 논문지. 2018;19(6):197-208.
정보연. 대학생의 전공선택동기가 직업선택요인에 미치는 영향. 경기대학교 대학원. 2010;48.
송윤정, 대학생의 전공선택동기, 전공만족도, 교수-학생 상호작용이 대학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 동아대학교 대학원. 2014;89.
김미숙, 박소미, Wang chengying, et al. 응급구조(학)과 학생의 전공선택동기와 전공만족도 및 직업관. 한국응급구조학회논문집. 2010;14(3):29-40.
박희민. 전문대학 학생중도탈락 요인분석. 경기대학교 행정대학원. 2010;105.
김영희, 간호대학 신입생의 학업적 자기효능감과 전공 만족도가 대학생활 적응에 미치는 영향. 한국산학기술학회. 2016;17(11):104-113.
윤지영. 비서학 전공 전문대학생의 전공선택동기, 전공만족도, 직업가치관과 대학생활적응의 관계. 한국비서학회. 2014;23(2):111-132
천태중, 이걸재. 의료관광 관련 학과 대학생들의 전공선택 동기가 전공만족도 및 진로결정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한국경영교육학회. 2015;30(5):217-242.
한예정. 대학생들의 전공선택 동기와 직업가치관에 따른 수업참여도와 전공만족도, 취업준비행동과의 영향관계 연구 : 조리·외식관련전공 대학생들을 대상으로. 경성대학교 대학원. 2014;149.
최상권. 경호학전공 대학생들의 가치관과 전공선택동기 및 전공만족도의 관계. 한국체육대학교 사회체육대학원. 2012;97.
김현주. 모델전공 대학생들의 전공선택동기 및 전공만족, 진로선택에 관한 연구. 동덕여자대학교 공연예술대학원. 2013;76.
강명숙, 방은령. 대학생의 자기주도성과 전공만족도가 진로탐색행동에 미치는 영향 : 고용가능성의 매개효과. 한국인간발달학회. 2015;22(4):21-46.
이은희. 항공서비스 전공 대학생들의 Big 5 성격요인이 자기효능감과 전공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 진로 의사결정 유형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공주대학교 대학원. 2019.
강정원. 대학생의 전공에 대한 학업적 흥미, 대학생활 적응이 전공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 2018;12(7):299-315.
장효임. 대학생의 스트레스와 대학생활 부적응간의 관계에서 역기능적 신념의 매개효과. 계명대학교 대학원. 2009;55.
김민아. 무용전공 대학생의 몰입경험이 자신감 및 학과적응에 미치는 영향. 단국대학교 교육대학원. 2015;56.
영적안녕과 자아존중감이 고등학생의 학교생활 적응에 미치는 영향
오지현. 간호대학생의 자아존중감과 전공만족도가 대학생활 적응에 미치는 영향. 한국콘텐츠학회. 2014;14(10):873-884.
이지원, 성보라, et al. 성인의 생애주기별 진로적응과업에 대한 개념도 연구. 한국상담심리학회. 2014;25(4):1073-1108.
김정현. 대학의 사회적 자본이 성인대학생의 대학생활 적응에 미치는 영향. 중앙대학교 대학원. 2016;144.
[26] 양남영, 문선영. 간호대학생의 지각된 건강상태 건강증진행위 및 사회적 문제해결능력이 대학적응에 미치는 영향. 한국간호교육학회. 2013;19(1).33-42.
남동하. 대학생의 학과선택에 따른 부모의 지지가 자아존중감과 대학생활 적응에 미치는 영향. 명지대학교 사회교육대학원. 2006;87.
백지숙. 대학생의 아르바이트 경험이 대학생활 적응에 미치는 영향. 한국청소년시설환경학회. 2006;4(1):3-17.
박계란, 이지민. 다문화 가정 아동의 학교생활적응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한국가정관리학회. 2011;29(1):89-9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