간호대학생이 받는 학업 스트레스가 우울에 미치는 영향 연구 계획서
기뮤콩
다운로드
장바구니
소개글
"간호대학생이 받는 학업 스트레스가 우울에 미치는 영향 연구 계획서"에 대한 내용입니다.목차
Ⅰ. 서론1. 연구의 필요성 2
2. 연구의 목적 2
3. 용어정의 2
Ⅱ. 문헌고찰
1. 간호대학생과 일반대학생의 스트레스, 우울 및 자살사고 비교 3
2. 간호대학생의 우울 정도 및 영향요인 3
3. 간호대학생의 생활스트레스, 우울이 자살셍각에 미치는 영향 5
4. 간호대학생이 대학 생활 중 겪게 되는 스트레스와 우울과의 관련성 4
5. 간호대학생의 학업 스트레스가 우울에 미치는 영향과 학업탄력성의 조절효과 4
Ⅲ. 연구방법
1. 연구 설계 5
2. 연구대상자 5
3. 연구 도구 5
4. 자료수집방법 5
5. 윤리적 고려 5
6. 연구결과의 기대효과 및 활용 7
8. 참고문헌 8
10. 부록 10
본문내용
1. 연구의 필요성간호대학생은 과중한 학습량과 임상 실습에서의 스트레스, 간호사 국가시험에 합격해야 하는 심리적부담감, 의료기술의 급격한 변화에 대한 적응 등으로 타전공의 대학생에 비해 더 높은 수준의 스트레스를 경험한다(Jeong, & Shin, 2006; Jimenez, Navia-Osorio, & Diaz, 2010; Reeve, Shumaker, Yearwood, Crowell & Riley, 2013). 이런 스트레스가 적절히 관리되지 않으면 학교생활에 적응하지 못하여 여러 가지 신체적 건강문제와 불안, 실패감, 좌절, 우울 등의 심리적 어려움을 경험하게 되는데(Shiaki, Shono, & Kitamura, 2009), 김경희(2011)의 연구에 따르면 간호대학생의 정신문제 중 우울이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Kim & Kim, 2011).
그리고 간호사는 힘들고 스트레스가 많은 전문직으로 고려되며, 간호대학생은 타 학과 학생들에 비해 과중한 학습 뿐 아니라 교과과정 중에 실무현 장에 조기 노출되는 임상실습을 경험해야 하므로 스트레스와 우울이 증가될 수 있다(Por, Barriball, Fitzpatrick, & Roberts,
2011). 한편 우울은 대학생에서도 남학생보다는 여학생의 발병률이 높고 더 지속적이라는 보고가 비교적 일관성 있게 제시되고 있고(Kim & Kim, 2011), 여대생에서 Beck의 우울척도 (Beck Depression Inventory, BDI)의 우울 분할 점 10점보다 높은 우울군이 54.0%로 보고되어(Lee et al., 2013) 우리나라 여대생의 우울관리가 시급함을 알 수 있다.
참고 자료
신소홍 (2016). 간호대학생의 학업 스트레스가 우울에 미치는 영향과 학업 탄력성의 조절효과. 한국간호교육학회지, 22 (1), 14 – 24.유수정 외(2014). 간호대학생의 우울정도 및 영향요인. 한국간호교육학회지, 20 (1), 71 – 80.
손영주 외(2010). 간호대학생이 대학 생활 중 겪게 되는 스트레스와 우울과의 관련성. 스트레스硏究, 18 (4), 345 – 351.
차선경 외(2014). 간호대학생과 일반대학생의 스트레스, 우울 및 자살사고 비교. 한국간호교육학회지, 20 (4), 650 – 658.
신미경 외(2013). 간호대학생의 생활 스트레스, 우울이 자살생각에 미치는 영향. 기본간호학회지, 20 (4), 419 – 428.
김경희 외(2011). 간호학과 여대생의 분노와 우울, 자아존중감에 관한 연구. 정신간호학회지, 20 (3), 233 – 241.
정하윤 외(2013). 간호대학생의 스트레스, 자아존중감, 정신건강에 관한 연구. 동아대학교 간호학과, 7 (4), 191 – 204.
최숙경 (2018). 간호대학생의 생활 스트레스와 우울과의 융복합적 관련성. 경동대학교 간호학부, 16 (5), 257 – 266.
손미라 외(2020). 간호대학생의 우울 및 사회불안이 행복에 미치는 영향. 신성대학교 간호학과, 18 (7), 247 – 253.
정소영 외(2019). 간호대학생의 학년에 따른 대학적응과 생활 스트레스 비교연구. 안산대학교 간호학과, 17 (4), 139 – 146.
정경순 외(2017). 간호대학생의 생활 스트레스, 수면의 질, 정신건강 간의 관계. 경남정보대학교 간호학과, 5 (4), 67 – 76.
이명숙 외(2014). 간호대학생의 임상실습 스트레스, 건강증진행위, 삶의 질과 영향요인에 관한 연구. 근관절건강학회지, 21 (2), 125 – 134.
이애경 외(2015). 간호학생의 임상실습 스트레스 영향요인. 간호행정학회지, 21 (2), 154 – 163.
배병훈 외(2007). 자기 결정성과 학업 꾸물거림이 학업 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 : 다변량 잠재 성장모형을 이용한 종단 분석. 아주대학교, 21 (3), 747 – 764.
전겸구, 최상진, & 양병창. (2001). 통합적 한국판 CES-D 개발. 한국심리학회지: 건강, 6(1), 59-76.
오미향, 천성문(1994). 청소년의 학업스트레스 요인 및 증상분석과 그 감소를 위한 명상훈련의 효과. 서강대학교 학생상담연구소 인간이해, 15, 63-96.
Blatt, S. J., D'Afflitti, J. P., & Quinlan, D.M. (1976). Experiences of depression in young adults. J Abnorm Psychol, 85, 383-389.
Jeong, M. H., & Shin, M. A.(2006). The relationship between self-esteem and satisfaction in major of nursing students. The Journal of Korean Academic Society of Nursing Education, 12(2), 170-177.
Shiaki, N., Shono, M., & Kitamura, T. (2009). Effects of coping styles and stressful life events on depression and anxiety in Japanese nursing students: A longitudinal study. International Journal of Nursing Practice, 15, 198-204.
O'Donnell, H. (2009). The emotional impact of nursing student attrition rates. The British Journal of Nursing. 18, 745-754.
Cha, N. H. (2013). The relationships between stress and health locus of control in nursing colleges students. Journal of East-West Nursing Research, 19(2), 177-185.
Gibbons, C., Dempster, M., Moutray, M. (2009). Index of sources of stress in nursing students: a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Journal of Advanced Nursing. 65(5), 1095-1102.
Jwa, H. S. (2014). The effect of academic stress on depression in adolescents : Moderating effect of gender role stereotype. Health and Social Welfare Review, 34(2), 334-366.
Park, K. H. (2008). Construction of depression model for the university student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The Seoul National University, Seoul.
Choi. S. I., Kim, Z. S., Shin, M. S., & Cho, M. J. (2001). Modes of anger expression in relation to depression and somatization. J Korean Neuropsychiatri Assoc, 40(3), 425-43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