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석유의 종말은 없다"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서론
1.1. 배경 및 필요성
1.2. 연구 목적
2.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과 글로벌 석유시장
2.1. 국제 석유 시장 전성기의 종말 도래
2.2. 전열을 재정비하기 위한 시간 벌기용 꼼수
2.3. 인도와 중국에 미치는 영향
3. 화석 연료 대체 에너지
3.1. 원자력 발전
3.1.1. 안전성 확보를 위한 노력
3.1.2. 초고온가스로(VHTR) 개발
3.2. 해양 에너지
3.2.1. 해양 염도차 발전
3.2.2. 해양 온도차 발전
4. 결론
5.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서론
1.1. 배경 및 필요성
유럽에 대한 러시아의 에너지 협박이 글로벌 석유시장의 종말 및 하위 작은 시장으로의 분화를 의미하는 것이라는 주장이 제기됐다. 이는 세계화 시대를 맞아 제조업, 서비스업, 스포츠와 문화 산업에 이르기까지 모든 분야에 세계로의 수출을 염두해 둬야 함을 시사한다. 급격한 원유 감산과 그에 따른 가격 인상은 전체 해상 원유 수출의 약 70%를 받은 인도와 중국과 같은 국가들에도 영향을 미칠 것이다. 이제는 경기둔화 압력이 날로 커지는 상황에서도 혁신적인 기술과 아이디어에 관심을 가지고 투자하여 기회를 잡아야 한다. 따라서 이 보고서에서는 러시아와 우크라이나 전쟁으로 인한 글로벌 석유시장의 종말과 이에 대응하기 위한 화석 연료 대체 에너지로서 원자력과 해양 발전을 다루고자 한다.
1.2. 연구 목적
연구 목적은 석유 자원 고갈의 위기로부터 벗어날 수 있는 우리나라의 방안으로 '해양 에너지'와 '원자력'을 제시하고, 이를 통해 경제, 사회, 환경 등 종합적으로 우리나라의 미래를 고려한 해결책을 제안하는 것이다. 삼면이 바다로 이루어진 지리적 이점을 고려했을 때 해양 에너지 발전은 유리한 조건이며, 경제성과 안전성을 고려했을 때 원자력 발전 또한 필수불가결한 대안이라고 볼 수 있다. 궁극적으로 해양 에너지와 원자력 에너지를 동시에 발전시키는 방향으로 패러다임을 전환하여, 40-50년 후 석유 종말 시대의 위기에 현명하게 대처하고자 함이 연구의 목적이다.
2.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과 글로벌 석유시장
2.1. 국제 석유 시장 전성기의 종말 도래
러시아의 에너지를 무기로 한 협박으로 인해 서방에서 혐오감이 증가하고 이는 국제 석유 시장 전성기의 종말을 가져올 수 있다. 바야흐로 세계는 국가간의 마찰로 인한 전쟁과 높은 인플레이션, 그리고 세계 강대국들간의 패권 전쟁으로 인류 역사상 유례 없는 격동의 혼란기를 겪고 있다. 이제는 세계화 시대를 맞아 제조업, 서비스업, 스포츠와 문화 산업에 이르기까지 모든 분야에 세계로의 수출을 염두해 둬야 하기 때문에 시작 단계에서부터 세계적인 경쟁력을 기르지 않으면 안 된다. 하지만 이런 때 일수록 혁신적인 아이디어와 기술을 찾는 것이 중요하다.
2.2. 전열을 재정비하기 위한 시간 벌기용 꼼수
러시아의 에너지를 무기로 한 협박으로 인해 서방국가들은 국제 석유 시장에서 러시아와의 거래를 피하려 하고 있다. 이에 따라 서방국가들은 전열을 재정비하고 시간을 벌기 위한 다양한 방안을 모색하고 있다.
우선, 주요 서방국가들은 원유 수입선을 다각화하고 있다. 미국은 사우디아라비아, UAE 등 산유국들과의 관계를 강화하고 있으며, 유럽 국가들 또한 아프리카나 중동 산유국들과의 협력을 확대하고 있다. 이를 통해 러시아산 원유의 의존도를 줄이고자 하고 있다.
또한 서방국가들은 비OPEC 산유국들과의 협력을 모색하고 있다. 미국은 베네수엘라와의 관계 개선을 시도하고 있으며, 브라질, 노르웨이, 영국 등 다른 비OPEC 국가들과도 긍정적인 관계를 유지하며 원유 공급처를 다양화하고자 한다.
아울러 일부 국가들은 자국 내 석유 생산량 증대에도 힘쓰고 있다. 미국은 셰일오일 및 가스 생산을 확대하고 있으며, 캐나다 또한 오일샌드 개발에 주력하고 있다. 이를 통해 러시아산 원유에 대한 의존도를 낮추고자 한다.
한편, 석유 수요가 많은 국가들은 보유 원유 비축량을 늘리거나 에너지원 다각화에 주력하고 있다. 중국과 인도 등은 국가 비축 전략을 강화하고 있으며, 신재생에너지 및 원자력 발전 투자를 확대하고 있다.
이처럼 서방국가들과 주요 원유 소비국들은 다양한 방안을 통해 러시아산 원유에 대한 의존도를 줄이고자 하고 있다. 이로써 러시아의 에너지 무기화에 대응하고자 하는 것이다.
2.3. 인도와 중국에 미치는 영향
급격한 원유 감산과 그에 따른 가격 인상은 전체 해상 원유 수출의 약 70%를 받은 인도와 중국과 같은 국가들에도 영향을 미칠 것이다. 인도는 러시아로부터 국제 시장 가격보다 저렴한 조건으로 원유를 수입해 왔는데, 이제 그러한 혜택을 받을 수 없게 되었다. 이에 따라 인도 정부는 러시아산 원유에 대한 의존도를 낮추고 다른 공급처를 ...
참고 자료
에너지 석학 "러, 유가상한제 보복하면 유럽 대신 中·인도가 피해"
권영미 저, 뉴스1, 2022
"지금은 패러다임 전환시기…위기 견디려면 신기술에 더 투자해야"
류준영 저, 머니투데이, 2022
The Wall Street Journal, ”Oil Officials See Limit Looming on Production“, 2007.11.19. (http://online.wsj.com/articles/SB119543677899797558 에서 인출).
아시아경제, ”석유고갈론 2년만에 또 등장“, 2010.06.07. (http://www.asiae.co.kr/news/view.htm?idxno=2010060708575412188 에서 인출).
에너지원별 전력 거래단가, 온라인 에너지 통계, 2012. 한국전력공사(www.kepco.co.kr). (http://cyber.kepco.co.kr/kepco_new/elec_info/info/statistical_data.jsp)
한국전력공사, “에너지원별 전력 거래단가, 온라인 에너지 통계”, 2012. (www.kepco.co.kr)
고경민, 정범진, 2013, 「원자력의 경쟁성 - 쟁점 검토와 해결 과제」, 『에너지경제연구』, 제11권 제2호
중앙일보 비즈 칼럼, “한국은 원전 정비 기술 수출국이다”, 2014.10.17. (http://article.joins.com/news/article/article.asp?total_id=16037237&cloc=olink|article|default)
이투데이, “지경부, 한국형 원전기술 국제 원전표준화 추진”, 2010.05.19. (http://www.etoday.co.kr/news/section/newsview.php?TM=news&SM=0301&idxno=318125)
동아사이언스, “초고온가스로(VHTR), 작지만 강하고 안전하다”, 2011.05.16.(http://www.dongascience.com/news/view/-5304115/bef)
블로그 Snow Story, “초고온가스로”, (http://a308501.blog.me/10106280328)
이데일리, "원자력 수소생산은 마치 수소생산 공장을 돌리는 것", 2014.07.16. (http://www.edaily.co.kr/news/NewsRead.edy?SCD=JE41&newsid=01128326606155176&DCD=A00504&OutLnkChk=Y)
아시아경제, “현명한 바다의 이용, 해양에너지 개발에서 찾아야”, 2014.11.19. (http://view.asiae.co.kr/news/view.htm?idxno=2014111911102568889)
에너지 관리 공단 블로그, “흐르는 바닷물로 전기 에너지를?”, (http://blog.kemco.or.kr/16)
서울신문, “국내 첫 ‘시화호 조력발전소’ 새달 본격 가동”, 2011.11.29. (http://www.seoul.co.kr/news/newsView.php?id=20111129025006)
Egloos, “파력ㆍ조류ㆍ온도차ㆍ염도차 발전 '집중해부", 2008.01.01. (http://garisangod.egloos.com/viewer/3092648)
아시아 경제, “차세대 에너지로 주목받는 해상풍력발전과 염도차 발전,”2013.09.15.(http://view.asiae.co.kr/news/view.htm?idxno=2013091500304645006)
KBS, “‘염분차 발전’ 미래의 에너지원으로 각광”, 2013.07.01. (http://news.kbs.co.kr/news/NewsView.do?SEARCH_NEWS_CODE=2683357&ref=A)
서울경제, “염분·바람으로 전기 만들기 구슬땀”, 2013.09.15. (http://economy.hankooki.com/lpage/society/201309/e20130915140348117980.htm)
서울경제, “황주호 에너지기술연구원장 ‘염분차 발전에 지속 투자 이뤄져야’”, 2013.06.07. (http://economy.hankooki.com/lpage/people/201306/e20130607172735118530.htm)
이투뉴스, “제주서 바닷물 이용 염분차 발전 연구”, 2013.11.25. (http://www.e2news.com/news/articleView.html?idxno=73268)
전기신문, “아시아·태평양 신재생에너지포럼 개최”, 2014.11.19. (http://www.electimes.com/home/news/main/viewmain.jsp?news_uid=118499)
진태석, 「해상 온도차 발전 기술 현황」, 『주간기술동향』, 2011.
한국해양대학교 석유공학연구실, 「해양온도차 발전의 현황」.
오션스페이스, 해양온도차 발전, 2005. (http://oceanspace.com/otec/otec03.htm)
한국해양과힉기술원, (http://www/kiost.ac).
국립수산 과학원 연구결과, 1999.
김청한 기자, 『한국 원전, 후쿠시마 원전과 달라』, The science times, 2011
https://www.sciencetimes.co.kr/news/%ED%95%9C%EA%B5%AD-%EC%9B%90%EC%A0%84-%ED%9B%84%EC%BF%A0%EC%8B%9C%EB%A7%88-%EC%9B%90%EC%A0%84%EA%B3%BC-%EB%8B%AC%EB%9D%BC/
김준래 객원기자, 『한국형 셰일가스 개발모델이 필요하다』, The science times, 2013
https://www.sciencetimes.co.kr/news/%ed%95%9c%ea%b5%ad%ed%98%95-%ec%85%b0%ec%9d%bc%ea%b0%80%ec%8a%a4-%ea%b0%9c%eb%b0%9c%eb%aa%a8%eb%8d%b8%ec%9d%b4-%ed%95%84%ec%9a%94%ed%95%98%eb%8b%a4/?cat=4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