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제망매가 비평문"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향가의 의미와 가치
1.1. 향가의 개념
1.2. 향가의 형식 및 성격
1.3. 향가의 의미 및 가치
2. 향가의 주술성
2.1. 월명사의 신분
2.2. 향가 작품의 주술성
2.2.1. 도솔가
2.2.2. 제망매가
3. 향가의 작가 문제
3.1. 역사적 인물 vs 설화적 인물
3.2. 작가의 계층과 범위
4. 향가의 형식 및 성격 변화
4.1. 민요적 향가와 개인창작 향가
4.2. 향가 양식의 발전 과정
5. 향가의 창작 배경
5.1. 불교와 화랑도의 영향
5.2. 사회문화적 환경 변화
6.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향가의 의미와 가치
1.1. 향가의 개념
향가는 삼국시대 말 신라 시대 유리왕 때부터 창작되어 고려 전기 의종 때까지 창작된 우리나라 고유의 시가로, 신라가요 또는 신라시가로 불리기도 한다. 그동안은 향가의 뜻을 사뇌가, 도솔가, 국풍, 자국지가와 같이 국가 고유의 노래이자 동방 고유의 노래, 고향의 노래라고 이해했으나, 최근에는 그 중 '작자가 분명한 개인 창작의 시가' 또는 '젓대나 가야금·향비파 같은 선율악기를 동반한 세련된 고급의 가악'으로 한정해 이해하는 경향이 대두되었다. 향가가 창작되던 시기에는 우리나라 고유의 문자가 없었기 때문에 당시 중국 한자의 음과 뜻을 빌려 향찰 및 이두로 표기했다. 향찰이란 한자의 음과 훈을 빌려 한국어를 표기하는 차자표기 중의 하나로 신라에서 말을 기록하던 방식으로 쓰인 문자를 말하며, 이두는 한문의 문장 어순을 따르지 않고 우리나라만의 어순으로 재배열하던 체제를 말한다.
1.2. 향가의 형식 및 성격
향가의 형식은 크게 4구체, 8구체, 10구체로 구분된다"" 4구체 향가는 가장 원시적인 형태로, 서민들의 소박한 감정과 주술적 성격을 담고 있다"" 대표적인 4구체 향가로는 서동요, 풍요, 헌화가, 도솔가 등이 있다"" 8구체 향가는 4구체와 10구체의 중간 단계로, 역시 민요 형식의 영향을 받았지만 점점 정제되어 가는 모습을 보인다"" 대표적인 8구체 향가로는 모죽지랑가와 처용가가 있다"" 10구체 향가는 향가 형식의 완성판으로, 전체가 3장으로 나뉘며 전절 4구, 후절 2구의 정형화된 구조를 갖추고 있다"" 이러한 10구체 향가에는 제망매가, 찬기파랑가, 안민가 등이 속한다"" 한편 향가는 문학적 성격에 따라 사뇌가와 민요로 구분된다"" 사뇌가는 개인적이고 서정적인 향가로, 불교적 사상이나 정치적 이념을 바탕으로 한다"" 민요 향가는 집단적이고 민요적 특성이 강한 향가를 일컫는데, 전래동요를 패러디하여 주술적 성격을 담아낸 노래들이 이에 속한다""
1.3. 향가의 의미 및 가치
향가는 언어와 문학의 주체적 인식을 드러내 놓은 작품으로, 문학사적 의의가 높다. 향가는 국어로 표현된 우리나라에서 가장 오래된 시가이며, 차자 문학이라는 점에서 두드러진 특징을 가진다. 차자 문학은 민족적 지혜의 산물로 볼 수 있는데, 구비문학이 없는 민족은 거의 없으나 기록 문학이 없는 민족이 많다. 차자 문학은 한계를 가지고 있지만, 언어 예술의 근원을 찾을 수 있다는 점에서 중요한 역할을 담당한다. 또한 향가는 현존하는 우리나라 시가 중 첫 창작 문학이라는 점에서도 높은 가치를 지닌다.
향가는 노래로 불려졌지만, 개인이 창작한 가사로 구비문학이라 칭하지 않는다. 와 에 차사가 있는 사뇌격의 노래를 만든 것이 가락의 시초라고 기록되어 있는데, 이는 전승가요만 존재하다가 이 시대에 들어서서 비로소 창작 가요가 만들어졌다는 의미로 해석할 수 있다. 이렇게 만들어진 향가는 음고에 새로운 가사를 얹어서 부르는 것으로, 창작 예술이라 볼 수 있다.
향가는 민족 문학의 의식을 확립했다는 점에서도 높이 평가받고 있다. 에서는 우리의 음악을 향악으로, 에서는 속악으로 칭했는데, 이는 신라시대에 우리의 노래를 향악으로 인식했다는 것을 보여준다. 반면 고려와 조선조에서는 우리 노래를 속악이라 불렀는데, 이는 신라시대와 대조되는 의식을 보여준다. 향가에는 우리 말로 된 가사가 담겨 있다는 점에서, 우리 민족의 자존적 의식과 예술 활동이 잘 드러나 있다고 할 수 있다. 이러한 관점에서 볼 때, 향가를 통해 개성적인 민족 정서를 표현하는 세계를 실현함으로써 주체적인 민족 문학을 성립했다는 의의를 찾을 수 있다.
2. 향가의 주술성
2.1. 월명사의 신분
월명사의 신분은 불교 미륵신앙의...
참고 자료
인터넷
한국유사, 한국 문학의 갈래, 노원앙마, 2019.10.28., 접속일자 2020.12.03.
고전운문문학, 향각 문학 개관, 정현법사, 2020.11.29., 접속일자 2020.12.04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향가, 한국학중아연구원, 접속일자 2020.12.03.
네이버 지식백과, 네이버고전문학사전, 권영민, 2004.02.05.
네이버 지식백과, 국어국문학자료사전, 이용백, 김원경, 김선풍, 1998.
네이버 지식백과, 외국인을 위한 한국고전문학사, 배규범, 주옥파, 2010.01.29.
서적
고전시가론, 성기옥, 손종흠 공저
김종우(1983), ≪향가문학연구≫, 서울:이우출판사.,
나경주(1994), <月明師의 身分과 鄕歌作品의 關係(도솔가와 제망매가)>, ≪한국어문학≫33, 한국언어문학회.
류해춘(1997), <月明師의 鄕歌文學과 그 背景說話의 硏究>, ≪어문총론≫31, 한국문학언어학회.
박노준(1982), ≪신라가요의 연구≫, 서울:열화당.
양주동(1968), ≪조선고시가연구≫, 一潮閣.
윤영옥(1982), ≪신라가요의 연구≫, 서울:형설출판사.
. <향가의 연구> 전규태, 백문사 1994
. <향가문학론과 작품연구> 나경수, 집문당 1995
. <향가해독법 연구> 김완진, 서울대학교 출판부 1995
. <한국문학 총설> 문 제, 두장구, 강중탁, 박대복 공저, 도서출판 한누리 1994
. <한국고전 시가론> 정병욱, 신구문화사 1994
. <향가문학> 김준영, 형설출판사 1994
. <향가의 문학적 연구> 최 철, 새문사 1993
. <향가의 문학적 해석> 최 철, 연세대학교 출판부 1990
. <향가문학론> 김승찬 편저, 새문사 1993
. <신라향가의 연구> 장진호, 형설출판사 1993
. <향가신해독 연구> 강길운, 학문사 199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