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치료적의사소통 시나리오 정신간호학"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서론
2. 치료적 의사소통 기법
2.1. 수용하기
2.2. 정보제공하기
3. 시나리오 분석
3.1. 대상자 확인 및 자기소개
3.2. 감정 표현 격려와 건설적 대처기전 모색
3.3. 효과적인 문제해결 방법 강화와 자신감 증진
3.4. 퇴원 교육 및 생활 안내
4. 치료적 의사소통의 중요성
5.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서론
현대의 정신간호에서는 과거 단순히 환자의 안전 관리와 신체적 간호, 보호 위주의 간호가 아닌 지역사회 정신보건에 중점을 두어 환자의 정신건강 증진, 조기치료, 재활치료를 강조하고 있다. 이를 위해 꼭 필요한 기술이 의사소통 기술이다. 정신간호사와 대상자 사이에서 이루어지는 의사소통은 보통의 사회적 인간관계에서 이루어지는 의사소통과는 다르다. 정신간호사는 대상자와의 관계에 있어서 그들의 욕구, 감정, 생각에 중점을 두고 전문적·치료적 관계를 수행하는 자로서 대상자와 언어적·비언어적 의사소통을 통하여 관찰된 대상자의 생각과 행동에 대한 증상을 완화시키는 치료적 중재로서의 의사소통을 수행하여야 한다. 정신질환자는 장기간의 입원과 퇴원으로 신체활동력이 감소되고 일상생활에 필요한 사회기술이 감퇴되어 있다. 이로써 다른 사람과 원만한 관계 형성 부족으로 사회적으로 고립되어 있으며, 대인관계의 설정과 유지에 어려움과 자신의 요구전달 능력 저하로 사회적지지망 감소를 초래하게 된다. 치료적 의사소통능력은 이러한 정신질환자의 치료 및 회복을 촉진시킬 목적으로 대인관계 유지 향상과 자신의 요구전달 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간호사의 치료적 중재기법으로써의 의사소통능력을 말한다.
2. 치료적 의사소통 기법
2.1. 수용하기
수용하기는 간호사가 대상자의 생각의 흐름을 경청하고 따라가는 것을 의미한다. 이는 대상자의 말을 판단하지 않고 이해하려는 태도를 보이는 것이다. 수용하기를 통해 간호사는 대상자와의 신뢰를 형성하고 공감을 발전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네.", "으~흠.", "당신 말이 이해가 돼요." 등의 반응을 보이거나 고개를 끄덕이는 등의 비언어적 표현을 통해 대상자의 말을 수용할 수 있다. 이때 주의해야 할 것은 단순히 대상자의 말을 동의하거나 인정하는 것이 아니라는 점이다. 수용하기는 판단하지 않고 경청하며 대상자의 의...
참고 자료
임숙빈 외 6명, 『정신간호총론』, 수문사, 2017, 194-201쪽
Mary C. Townsend, 『정신건강간호학』, 청담미디어, 2016, 241-250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