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영화 미쓰백 감상평 및 아동학대 생각"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영화 "미쓰백" 감상과 아동학대에 대한 고찰
1.1. 영화 "미쓰백" 감상
1.1.1. 가족의 의미와 아동학대의 현실
1.1.2. 아동학대 피해자와 가해자의 심리
1.1.3. 사회적 관심과 개입의 필요성
1.2. 아동학대에 대한 생각
1.2.1. 아동학대 피해자에 대한 장기적 관심과 지원
1.2.2. 예방을 위한 부모 교육 활성화
1.2.3. 아동의 의사 존중
2.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영화 "미쓰백" 감상과 아동학대에 대한 고찰
1.1. 영화 "미쓰백" 감상
1.1.1. 가족의 의미와 아동학대의 현실
일반적으로 가족이라고 하면, 결혼으로 이루어진 부부와 그 친자식으로 이루어진 공동체를 떠올리게 된다. 이러한 형태의 가족이 가장 이상적이고 안정적이라고 여겨져왔다. 하지만 이제는 가족의 내부를 들여다봄으로써 가족의 의미를 재설정해야 할 때라고 할 수 있다. 영화 "미쓰백"을 통해 우리는 가족이 개인의 삶을 천국으로 만들기도 하고, 지옥으로 만들기도 한다는 점을 알 수 있다. 특히 그 개인이 미성년 자녀라고 한다면 더욱 그러하다. 자녀들은 믿고 의지할 수 있는 동시에 보호와 양육을 받을 수 있는 곳이 가족이 유일하기 때문이다.
영화에서 아동학대 피해자인 지은이의 경우를 보면, 친어머니는 아동의 양육을 포기한 상황에서 이 아이가 기댈 수 있는 사람은 게임중독자인 친아버지와 계모가 유일하다. 이 사람들은 아이에게 지옥을 만들어주었다고 볼 수 있다. 헤어 나올 수 없는 지옥에 아이를 가둔 것이다. 사회에는 약자가 보호받을 수 있는 법이 존재하지만, 이 아이에게는 그것이 아무런 구원이 되지 못했다. 이는 가해자인 부모뿐만 아니라 사회도 이 아이를 보호하지 못했음을 보여준다.
이처럼 영화 "미쓰백"은 가족이라는 울타리 안에서 일어나는 아동학대의 현실을 사실적으로 보여준다. 친가족이라는 이름 아래 자행되는 폭력과 학대는 아동에게 심각한 피해를 줄 수밖에 없다. 이 아이들은 자신을 보호해줄 수 있는 유일한 존재인 가족으로부터 오히려 위협받고 있는 것이다. 이는 가족이라는 개념이 더 이상 안전과 보호를 의미하지 않음을 보여준다.
1.1.2. 아동학대 피해자와 가해자의 심리
아동학대 피해자와 가해자의 심리는 복잡하며, 피해자의 경우 장기적인 영향을 받게 된다. 피해자는 자신에 대한 낮은 자존감과 부정적인 자아상을 형성하게 되며, 심각한 불안이나 우울, 분노와 같은 감정을 경험한...
참고 자료
연도별 아동학대사례 신고 건수, 보건복지부(2019. 12), 『학대피해아동보호현황』 통계정보보고서, p. 19
아동학대사례 유형, 보건복지부·중앙아동보호전문기관(2019), 『2018 아동학대 주요 통계』, p. 26
이동훈, 이수연, 윤기원, 최수정, 김시형(2017), “성격 5요인, 외상 후 인지, 사건관련 반추, PTSD 증상, 외상 후 성장의 관계 : 외상 후 성장모델을 중심으로”. 한국심리학회지 : 일반 36권 2호. 241p ~ 270p.
전영희(2007), “성학대 피해 아동의 외상 후 스트레스 감소를 위한 미술치료 사례”. 미술치료연구 14권 4호. 691p ~ 709p.
김수향, 한민경, 이은진(2012),“협력적 멘토링에 기초한 교육실습 프로그램이 예비유아교사의 교육신념, 교사 효능감 및 실습불안,갈등에 미치는 영향”. 아동교육 21권 3호. 시작쪽수 181p, 전체쪽수 22p.
이경숙, 박진아(2020), “보육현장 아동학대에 대한 근거기반 맞춤형 개입 모델 개발 및 적용: 다학제간 협력적 연계 시스템을 중심으로”. 한국보육지원학회지 16권 1호. 1p ~ 20p.
이은경(2020), “아동 성학대 소송의 ‘손해의 현실화’로서 외상 후 스트레스 장애(PTSD)에 대한 이해 - 의정부지법 2019. 11. 7. 선고 2018나214488 판결 중심으로 -”. 법조 69권, 4호. 355p ~ 383p.
김윤희(2017), “아동학대와 아동권리 및 아동학대 예방교육 필요성에 대한 부모의 인식”, 인천대학교 교육대학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