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1. 요한신학
1.1. 저자 소개
스몰리(Stephen S. Smalley)는 목회자이며 동시에 요한복음 연구로 세계적 명성을 얻은 신학자로서, 케임브리지, 이바단 그리고 맨체스터 등의 영국 내 명문대학에서 강의한 바 있고 최근까지의 요한복음서연구의 역사에 정통한 대학자이다. 또한 리온 모리스(Leon Morris)와 도널드 카슨(Donald Carson)과 함께 복음주의 진영이 배출한 20세기 후반 최고의 요한신학자라고 불리우고 있다. 스몰리는 학문적으로 요한 문헌에 대한 전통적인 이해를 거의 그대로 간직하고 있는 몇 안 되는 학자 중 하나로서, 다른 신학자들과는 요한복음과 요한서신의 저자가 사도 요한이라고 생각하고 있으며, 요한 계시록도 같은 공동체(나아가 동일 저자도 가능)의 작품으로 취급하고 있는 학자이다. 복음주의자들이 많은 경우에 성서주석 방법론에 있어 제대로 연구해 보지도 않고 거절하는 경우가 많이 있다. 그러나 스몰리는 그러한 학문적인 방법론들을 비판적으로 수용하는 자세를 가지며, 동시에 복음주의적인 견지를 유지하고 있다. 이러한 면에서 스몰리는 학문적인 방법론에서는 열린 학자요, 그 결론에 있어서는 복음주의적인 신약학자라고 말할 수 있을 것이다.
1.2. 책 소개
'요한신학'은 스몰리가 복음주의적 입장에서 쓴 요한신학 개론서의 고전인 John: Evangelist and Interpreter(Exeter: Paternoster, 1978 and 1983)를 번역한 것이다. 스몰리는 기존의 모든 학설들을 분석 정리하여 새롭고 완벽한 학문 지도를 그리기를 바라는 마음으로, 이 책에서 최근에 제기되어 온 제 4복음서의 여러 가지 해석들 가운데 일부를 논하면서 4복음서의 현대적 해석을 개관해 놓고 있다. 스몰리는 이 책을 통하여 4복음서에 대하여 끊임없이 도전해 오는 문제들에 대해 자신의 분석과 해결방안을 제시하고 있다. 또한 근래에 발견된 쿰란과 나그하마디 사본을 바탕으로 4복음서에 관한 최근 토의 경향을 평가하고, 특별히 요한복음의 전승과 배경, 저자의 중대한 문제들을 살펴보고 있다. 이를 통해 복음서의 구조와 저술 뒤에 숨어있는 목적을 밝히고, 요한이 복음서 기자로서 일반 기독교 전승을 어느 정도 접하였는가, 또한 해석자로서 그 전승에 어떻게 기여했는가를 고찰하고 있다.
1.3. 들어가기 앞서
본 책은 요한복음서에 나타난 신학에 대하여, 지금까지 연구되어져 왔던 여러 연구결과들과 주요 쟁점내용을 다루고 있는 책이다. 무엇보다 학문적인 책이기에 가볍게 읽기보다는 조금 무겁고 딱딱한 내용들이 많이 담겨져 있기에 시간을 두고 천천히 정독하는 것이 좋다. 이 책의 전개방식은 앞 장의 내용과 다음 장의 내용이 서로 연관 되어 있기 때문에, 각장별로의 흐름을 잘 파악하고 서로의 연관관계를 주의 깊게 살펴보면서 읽는 것이 중요하다.
1.4. 새로운 시각
19세기 말에서 20세기 중반 사이에 요한복음에 대한 연구는 수많은 중대한 변화와 여러 가지 중대한 요소들의 영향을 받아왔다"" 특히 요한복음의 친 저성에 대해 복음서의 사도 적 친 저성을 받아들이는 측과 그렇지 않은 측으로 뚜렷이 갈라졌다"" 이러한 논쟁에 있어서, 현안이 되었던 주된 질문은 요한복음의 성격과 이에 따른 저자의 문제로 집약된다고 볼 수 있다"" 요한복음은 사도 적이며 따라서 역사적인 책이라고 간주하든지, 아니면 그것은 사도와는 무관하며 따라서 역사적이지 않다고 하는 두 지 견해로 나누어 진 것이다"" 이러한 논쟁은 서로간의 의견을 좁히지 못한 상태로 남았다""
(친저성의 문제에 대한 불확실성으로 인해 대부분의 학자들은 요한복음에 대한 명칭을 4복음서라는 명칭으로 대체하여 부르기를 암묵적으로 승인한 것 같다"") 여기서 요한복음의 사도적 친저성을 받아들이지 못하는 학자들의 공통된 입장은 요한복음이 공관복음(마태,마가,누가복음)을 집필하면서 사용한 원문헌을 사용하였으며, 그 자료에 전적으로 의존하였다는 것이다"" 이러한 주장은 20세기 중반까지 주류로 여겨지면서 학계에 널리 인정되어 왔다""
그러나 1957년 로빈슨 박사는 옥스퍼드 복음서 협의회에 '제4복음서에 대한 새 시각'이라는 논문을 제출함으로써 기존의 주장과 다른 새로운 가설을 내놓았다"" 기존의 주장은 공관복음과 요한복음서의 유사점과 차이점에 대해서 유사점은 공관복음에서의 원 자료와 전승을 그대로 사용한 것이고, 차이점은 요한복음의 저자가 자신의 임의대로 추가한 것으로 여겨져 왔다"" 그래서 많은 학자들 사이에는 '공관복음서는 역사적이지만 요한복음서는 비역사적이다.'라는 주장이 주류가 되어왔었다""
그러나 로빈슨 박사의 '새 시각'의 관점에서 살펴보면 요한복음서의 유사점과 차이점은 오히려 요한복음서가 역사적인 책이라는 것을 나타내는 증거라고 말하고 있다"" 로빈슨 박사의 '새 시각'의 관점은 요한복음이 공관복음서들과는 다른 독자적인 자료와 전승을 사용했다고 보고 있는 것이다"" 본 책의 저자 스몰리 역시 이 주장을 받아들이고 있으며, 그의 주장을 뒷받침하는 4가지 증거를 사본상의 증거, 배경 연구상의 증거, 쿰란의 증거, 지리서술상의 증거라고 말하고 있다""
1.5. 요한은 어떤 사람이었는가?
요한은 예수님의 12제자 중 한 사람이었고, 예수님의 가장 가까운 제자들 중 한 명이었다. 그는 예수님과 매우 친밀한 관계를 맺고 있었으며, 예수님의 가르침과 행적을 생생하게 기억하고 있었다. 특히 요한은 예수님의 비밀스러운 대화와 사적인 상황들을 상세하게 전해주고 있는데, 이는 그가 예수님과의 친밀한 관계에 있었다는 것을 보여준다.
요한은 원래 세베대의 아들로 어부였으나, 예수님을 만나면서 제자가 되었다. 그는 예수님의 마지막 여정에서 항상 함께 있었으며, 예수님의 고난과 십자가, 부활을 목격했던 사람들 중 한 명이었다. 또한 요한은 예수님의 가장 신뢰받는 제자였기 때문에 십자가 아래에서 예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