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1. TOEIC 시험에 가장 많이 출제되는 문법/구문
1.1. 수의 일치와 수사
TOEIC 시험에서 가장 많이 출제되는 문법/구문 중 하나는 바로 수의 일치와 수사이다. 수의 일치는 주어와 동사의 수가 일치해야 한다는 것을 의미하며, 이는 TOEIC 시험에서 가장 많이 출제되는 문제 유형 중 하나이다.
첫째, 주어와 동사가 수식어구에 의해 분리되어 있는 경우가 가장 많이 출제된다. 예를 들어 "The report of the organization in this year help customers select the appropriate computer products."에서 주어인 "The report"와 동사 "help"가 일치하지 않는 것을 볼 수 있다. 이와 같은 경우에는 주어와 동사의 수를 반드시 일치시켜야 한다.
둘째, 주어와 동사 사이에 동격을 이루는 단어가 오는 경우도 자주 출제된다. 예를 들어 "Silicon Graphics Inc., the $1.5 billion computer maker, specialize in 3-D graphic workstations."에서 주어와 동사가 일치하지 않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셋째, 관계대명사 절과 선행사의 수 일치에도 유의해야 한다. 예를 들어 "This is one of the most sophisticated buildings that has been put up during the last few years."에서 관계대명사 "that"의 선행사인 "buildings"와 동사 "has"가 일치하지 않는다.
넷째, "Neither"나 "Either"가 주어로 쓰이면 항상 단수로 취급해야 한다. 예를 들어 "Neither of the two worker who had passed the qualifying examination were allowed to take on the project."에서 "Neither"에 복수 동사 "were"가 사용된 것이 잘못되었다.
다섯째, 동사가 아니라 명사에 밑줄이 있는 경우도 있다. 예를 들어 "The most frequent requests that the English instructors receive is to teach essential grammar easily."에서 명사 "requests"와 동사 "is"가 일치하지 않는다.
여섯째, 특이한 경우의 수의 일치 문제에도 유의해야 한다. 예를 들어 "data", "media", "criteria" 등은 항상 복수로 쓰이는 단어이므로 주의해야 한다.
이처럼 TOEIC 시험에서 수의 일치 문제는 매우 중요하게 다뤄지며, 주어와 동사의 관계를 정확하게 파악하고 특수한 사례들을 숙지하는 것이 중요하다.
1.2. 시제의 일치
영어 문법에는 총 12가지의 시제가 있으며, 토익 시험에서 가장 많이 출제되는 시제 문제는 6가지로 현재, 미래, 과거의 기본 시제와 현재완료, 미래완료, 과거완료 등 완료시제입니다.
토익 시험에서 적절한 시제를 고르기 위해서는 문장 속에 나타난 단서를 찾아야 하는데, 그 단서에는 시간을 표시하는 부사들과 문장 속의 다른 동사들이 있습니다.
먼저 현재, 미래 시제와 시간부사절 문제를 살펴보면, 시간을 나타내는 부사절에서는 반드시 현재 시제를 써야 합니다. 예를 들어 "As soon as the products arrive, she will dispatch them to the proper department."과 같은 문장에서 부사절 "As soon as the products arrive"에는 현재 시제 "arrive"가 쓰여야 합니다.
과거와 현재완료 시제 문제의 경우, 과거를 나타내는 부사(구)가 있으면 반드시 과거 시제를 쓰며, 현재완료는 과거에 발생한 동작이나 상태가 현재까지 이어질 때 사용됩니다. 예를 들어 "Last quarter the rate of inflation rose by 10 percent."에서는 과거 시제 "rose"가 쓰였고, "We have tried to establish a friendly relationship with that country for the past two years."에서는 현재완료 "have tried"가 쓰였습니다.
과거와 과거완료 시제 문제에서는, 과거를 기준으로 그보다 더 먼저 일어난 일을 표시할 때 과거완료 시제를 사용합니다. 예를 들어 "By the time the FBI agents arrived, the invaders had destroyed practically everything of importance in the establishment."에서 과거완료 "had destroyed"가 사용되었습니다.
마지막으로 미래완료 시제는 미래의 완료 시점을 나타내는 부사(구)가 있을 때 사용됩니다. 예를 들어 "By the time the convict is released, he will have spent ten years in prison."에서 미래완료 "will have spent"가 사용되었습니다.
이처럼 토익 시험에서는 시제 사용의 기본 원리를 잘 숙지하고, 문장 속 단서를 정확히 파악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1.3. 부정사와 동명사
부정사와 동명사는 토익 시험에서 매우 중요한 문법 항목이다. 부정사와 동명사는 문장에서 명사, 형용사, 부사 등의 역할을 할 수 있는데, 이들의 용법을 정확히 구분하고 활용할 줄 알아야 토익 시험에서 종종 출제되는 관련 문제를 잘 해결할 수 있다.
부정사와 동명사는 문장 속에서 어떤 역할을 하느냐에 따라 그 성격이 달라진다. 부정사는 to + 동사원형 형태로 나타나며, 명사, 형용사, 부사 등의 기능을 할 수 있다. 동명사는 동사원형 + ing 형태로 나타나며, 대부분의 경우 명사의 기능을 한다.
부정사와 동명사의 가장 큰 차이는 목적어 용법이다. 대체로 부정사는 목적어로 쓰인 경우 to부정사 형태를, 동명사는 동명사 형태를 취한다. 예를 들어 "I enjoy studying English"에서는 동명사 "studying"이 쓰였지만, "I want to study English"에서는 부정사 "to study"가 쓰였다.
그러나 이 원칙에도 예외가 존재한다. 어떤 동사들은 반드시 부정사로만 목적어를 취하고, 어떤 동사들은 동명사로만 목적어를 취한다. 예를 들어 "want", "promise", "decide" 등의 동사는 부정사를, "enjoy", "avoid", "dislike" 등의 동사는 동명사를 목적어로 취한다. 이러한 동사들은 암기해야 한다.
부정사와 동명사가 혼동되는 경우로는 "remember/forget" 구문이 있다. 이 경우 부정사와 동명사 형태에 따라 과거와 미래의 의미가 달라진다. 예를 들어 "I remember to lock the door"는 미래의 의미이지만, "I remember locking the door"는 과거의 의미이다.
또한 전치사 "to"와 부정사 "to"를 구분하는 것도 중요하다. 전치사 "to"의 목적어는 반드시 동명사 형태를 취한다. 예를 들어 "I look forward to going to the beach"에서 "going"은 동명사이다.
요약하면, 토익 시험에서 부정사와 동명사의 용법을 정확히 구분하고 활용할 수 있어야 한다. 특히 목적어로 쓰이는 경우, 부정사와 동명사의 사용이 동사에 따라 달라지므로 이를 충분히 숙지해야 한다. 또한 구문에 따른 의미 차이와 전치사 "to"와의 구분도 중요하다.
1.4. 분사
분사는 동사에서 파생된 형용사로, 크게 현재분사와 과거분사로 나뉜다. 현재분사는 능동의 의미를, 과거분사는 수동의 의미를 나타낸다. 분사 문제는 토익 시험에서 자주 출제되는데, 주로 분사가 명사를 수식하는 경우와 분사가 보어로 쓰이는 경우에 대한 문제들이 출제된다.
분사가 명사를 수식하는 경우, 분사의 의미상의 주어와 명사의 관계가 능동이면 현재분사를 쓰고, 수동이면 과거분사를 쓴다. 예를 들어 "The students studying in the library are from Japan."에서 "studying"은 현재분사로, 학생들이 능동적으로 도서관에서 공부하고 있음을 나타낸다. 반면에 "The stolen documents were found in the drawer."에서 "stolen"은 과거분사로, 문서가 수동적으로 도난당했음을 나타낸다.
분사가 보어로 쓰이는 경우, 분사의 의미상의 주어와 문장의 주어 관계가 능동이면 현재분사를, 수동이면 과거분사를 쓴다. 예를 들어 "They saw the birds flying over the lake."에서 "flying"은 현재분사로, 새들이 능동적으로 호수 위를 날고 있음을 나타낸다. 반면에 "The window was broken by the storm."에서 "broken"은 과거분사로, 창문이 수동적으로 폭풍에 의해 깨졌음을 나타낸다.
토익 시험에서는 이러한 분사의 능동적 또는 수동적 용법을 이해하고 구별하는 능력이 중요하다. 특히 타동사가 많이 출제되는데, 이 경우 분사가 명사를 수식할 때나 보어로 쓰일 때 모두 수동의 의미로 해석되므로 과거분사를 사용해야 한다. 이 밖에도 관사 문제나 시제 일치 문제 등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