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1. 간경화증 사례 연구
1.1. 간경화증에 대한 문헌고찰
1.1.1. 정의
간경화증은 만성적인 염증으로 인해 정상적인 간조직이 재생결절(작은 덩어리가 만들어지는 현상) 등의 섬유화 조직으로 바뀌어 간기능이 저하되는 것을 의미한다.간경화증은 만성간염, 알코올중독증, 지속적인 심각한 우심부전, 만성담관폐쇄 등이 원인이며, 이 중 간경화증의 가장 흔한 원인은 B형간염이다. 간경화증은 간세포의 파괴와 재생이 반복되는 과정에서 간의 정상적인 구조가 섬유화되고, 재생결절로 대치되며 혈관구조가 크게 뒤틀려 나타나는 병리조직학적 변화를 말한다. 간이 섬유화되면 간은 굳어진다. 조직이 결절로 변하며 쓸개즙(담즙)의 흐름과 간으로 들어오는 혈류가 방해를 받는다. 즉, 섬유화와 재생된 결절이 혈관과 쓸개즙 통로를 압박하고 혈관구조가 뒤틀려 혈액이 간을 통과하기 어려워진다. 결과적으로 굴모양혈관(동양혈관) 압이 상승하고 이어서 문맥압이 상승한다.
1.1.2. 원인 및 병태생리
간경화증의 주요 원인은 만성간염, 알코올중독증, 지속적인 심각한 우심부전, 만성담관폐쇄 등이다. 이 중 간경화증의 가장 흔한 원인은 B형간염이다. 간경화증은 간세포의 파괴와 재생이 반복되는 과정에서 간의 정상적인 구조가 섬유화되고, 재생결절로 대치되며 혈관구조가 크게 뒤틀려 나타나는 병리조직학적 변화를 의미한다. 간이 섬유화되면 간은 굳어진다. 조직이 결절로 변하며 쓸개즙(담즙)의 흐름과 간으로 들어오는 혈류가 방해를 받는다. 즉, 섬유화와 재생된 결절이 혈관과 쓸개즙 통로를 압박하고 혈관구조가 뒤틀려 혈액이 간을 통과하기 어려워진다. 결과적으로 굴모양혈관(동양혈관) 압이 상승하고 이어서 문맥압이 상승한다. 이 과정을 통해 간경화증이 악화된다.
1.1.3. 증상
간경화증은 잠행적으로 발생하기 때문에 초기 증상은 뚜렷하지 않으며, 모호하고 전형적이지 않다. 보상이 진행된 경우 증상이 나타나지 않는다. 따라서 정기검진이 매우 중요하며 비정상적인 간기능이나 혈소판감소증을 보이는 경우 철저한 검사를 해야 한다.
간경화증이 진행되면서 나타나는 주요 증상은 다음과 같다. 첫째, 위장관계 증상으로 소화기능의 저하로 인해 식욕부진, 오심, 구토, 설사, 영양불량 등이 나타나고 대변의 색깔이 점토색으로 변한다. 복수가 발생하여 복수가 횡격막을 압박하여 호흡곤란과 기좌호흡이 온다. 또한 간비대, 위장관 출혈 등도 발생한다. 둘째, 신경계 증상으로 간성혼수와 간성뇌병증의 악화를 의미하는 손바닥을 위아래로 떠는 자세고정못함증이 나타난다. 셋째, 피부계 증상으로 황달, 소양감, 반상출혈, 거미 모양의 붉은 반점인 혈관종이 나타난다. 넷째, 기타 증상으로 심혈관계에 과도한 체액으로 체액정체, 말초부종을 초래하고, 대사기능장애로 인한 저알부민혈증, 복수로 인한 호흡곤란과 응고인자의 생성부족으로 출혈성 경향이 증가하고 비장비대, 혈소판감소증 등이 나타날 수 있다.간경화증은 잠복기가 길어 임상증상은 간경화증이 상당히 진행된 상태에서 나타나며, 복수, 복부팽만, 소화기증상, 황달, 신경학적 증상 등이 특징이다. 초기에는 비특이적인 증상인 피로감, 식욕부진, 체중감소 등이 나타나다가 진행되면서 더 뚜렷한 증상이 나타난다. 간경화증의 주요 증상은 다음과 같다.
첫째, 위장관계 증상으로는 식욕부진, 오심, 구토, 설사, 영양불량 등이 나타나고, 대변의 색깔이 점토색으로 변한다. 복수가 발생하면 호흡곤란이 동반된다. 둘째, 신경계 증상으로는 간성혼수와 간성뇌병증으로 인한 자세고정못함증이 나타난다. 셋째, 피부계 증상으로는 황달, 소양감, 반상출혈, 거미 모양의 붉은 반점인 혈관종이 특징적이다. 넷째, 기타 증상으로는 심혈관계 증상, 대사기능장애, 출혈성 경향, 비장비대, 혈소판감소증 등이 나타난다.
요약하면, 간경화증은 초기에는 비특이적인 증상이 나타나다가 진행되면서 위장관, 신경계, 피부계, 심혈관계 등 다양한 증상이 발생하는 것이 특징이다.
1.1.4. 진단적 검사
뇌내출혈의 진단에는 고혈압 병력, 갑자기 나타나는 증상(발병 형태의 특징), 신경증상의 출현, Brain CT가 중요하다. Brain CT 상에서 출혈 부위에 고흡수역이 확인되고, 그 주위에 뇌부종에 의한 저흡수역을 확인할 수 있다. 그러나 뇌출혈 범위 내에 생긴 혈종에 의한 고흡수역은 약 3주일 만에 저흡수역으로 변화하여,ring enhancement를 나타낸다. 뇌출혈의 진단에 있어 이러한 Brain CT 검사가 중요한 역할을 한다고 볼 수 있다.
1.1.5. 치료 및 간호
간경화증의 치료 및 간호는 다음과 같다.
복수 관리는 간경화증 환자에게 가장 중요한 치료 및 간호 영역이다. 복수 관리를 위해 먼저 내과적 관리를 시행한다. 저염식이를 제공하여 하루 염분 섭취량을 최대 5g으로 제한하여 복강 내 수분 축적을 감소시킨다. 또한 수분 섭취를 하루 1000~1500ml로 제한하고, 비타민 보충제와 이뇨제를 처방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복수가 조절되지 않는 경우 배천자술을 실시할 수 있다.
출혈 관리도 주요한 치료와 간호 영역이다. 먼저 약물 치료로 혈액응고장애와 빈혈에 신선냉동혈장과 비타민 K를 투여하고, 필요시 농축적혈구를 수혈한다. 식도 정맥류가 있는 경우 propranolol과 같은 장기 작용 β-차단제를 투여하여 출혈을 예방한다. 또한 내시경 정맥류 결찰술이나 경화제 주사요법 등을 통해 식도 정맥류의 출혈을 치료할 수 있다.
간성 뇌병증 관리를 위해서는 저단백식이, 단순 탄수화물식이를 제공하고, 뇌 내 암모니아 제거를 위해 Lactulose, Neomycin sulfate, Metronidazole 등을 투여한다. 수술로는 문맥대정맥션트술을 시행할 수 있다.
간호 중재로는 활력징후 모니터링, 복부둘레와 체중 측정, 영양상태 평가, 처방 약물 투여, 저혈량증과 전해질 불균형 예방 등을 수행한다. 또한 환자의 호흡곤란을 완화시키기 위해 자세변경을 돕고, 음식 섭취와 배변, 배뇨 등의 배설 관리를 실시한다.
이처럼 간경화증 환자의 치료와 간호는 복수 관리, 출혈 관리, 간성 뇌병증 관리, 영양 상태 관리 등 다양한 측면에서 포괄적으로 이루어져야 한다.
1.2. 간호사례
1.2.1. 간호사정
박00 대상자는 50세 남성으로 간경화증을 진단받고 입원한 환자이다. 일반적 사항을 살펴보면, 박00 대상자는 혼자 살고 있었으며 이번에 응급실을 통해 입원하였다. 의식 상태는 기면 상태였고 악액질 상태를 보였으며, 자극에 적절히 반응하지 못하였다.
건강력 측면에서 볼 때, 현병력은 의식을 잃은 채 길가에 누워있다가 경찰에 의해 발견되어 응급실로 이송되었다. 입원 시 술 냄새가 많이 나는 상태였고, 복부와 하지가 심하게 부어 있었다. 과거력으로는 알코올중독증으로 추정되나 정확한 진단명은 알 수 없었다. 가족력은 확인할 수 없었다.
신체검진 결과, 영양 상태 측면에서는 식욕부진, 체중감소가 있었고, 복부팽만과 복수 소견이 관찰되었다. 배설 기능에서는 주기적인 배뇨와 배변이 이루어지고 있었으나, 입원 시 2시간 동안 75ml의 짙은 호박색 소변만 배출된 것으로 나타났다. 호흡기 기능에서는 호흡곤란이 있었고, 진찰 결과 폐 전반에 걸쳐 호흡음이 저하되어 있었다.
활동 및 휴식 영역에서는 전신 쇠약감과 피로감을 호소하였고, 우측 상하지의 근력 저하가 관찰되었다. 지각 및 인지 기능에서는 의식 저하와 지남력 장애가 있었으며, 언어 표현 및 이해력이 저하된 상태였다.
자아인식 및 대응능력 영역을 볼 때, 현재 상황에 대한 무력감과 절망감을 나타냈으며, 질병과 치료에 대한 지식이 부족한 것으로 나타났다. 가족관계 및 사회활동에서는 독거 상태였고 사회적 고립감을 느끼는 것으로 보였다.
안전 및 보호 측면에서는 피부에 점상출혈과 반상출혈이 관찰되었고, 상지와 두부에 화상 흔적이 있었다. 활력징후는 혈압 153/113mmHg, 맥박 95회/분, 호흡수 20회/분, 체온 36.4℃, 산소포화도 99%로 측정되었다.
종합적으로 볼 때, 본 대상자는 간경화증으로 인한 전신 쇠약, 영양 불량, 호흡기 기능 저하, 의식 저하, 지남력 장애, 피부 손상 등의 문제를 가지고 있는 중증 환자로 판단된다. 특히 알코올 중독의 병력과 악액질 상태, 복수 등이 관찰되어 간경화증이 진행된 상태로 보인다. 따라서 대상자의 전반적인 건강 상태와 생명에 직결되는 문제들에 대한 신속한 중재가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1.2.2. 진단적, 임상병리 검사 및 기타자료
진단적, 임상병리 검사 및 기타자료에 대한 내용은 다음과 같다.
환자 홍OO는 Spontaneous ICH on Lt. thalamus 5cc / IVH / alert mentality and Rt. hemiparesis / ESRD / DM / HTN 진단을 받았다. 환자의 진단적 검사 결과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Chest AP 검사에서 이상 소견이 없었으며, EKG 검사 결과 Normal Sinus Rythme와 Normal Axis, Prolonged Qt 소견이 확인되었다.
임상병리 검사 결과를 살펴보면, 전해질 검사에서 Na이 135-145mEq/L 사이의 정상 범위였으나 K가 5.7mEq/L로 증가해 있었다. Cl은 106mEq/L로 정상범위 내였다. 신기능 검사에서 BUN이 84.5mg/dL로 증가해 있었고, Creatinine이 8.3mg/dL로 크게 상승해 있었다. 혈액학 검사에서 WBC, RBC, Hb, Hct, MCV, MCH, MCHC 등이 정상범위를 벗어나 있었다. 적혈구, 혈소판, 호중구 수치가 감소해 있었다. CRP는 0.79mg/dL로 증가되어 있었다.
진단적 검사 및 임상병리 검사 결과를 종합해 볼 때, 환자의 뇌출혈과 신부전 및 당뇨, 고혈압 등의 기저질환이 확인되었다. 특히 신기능 저하와 전해질 불균형, 혈액학적 이상 소견이 나타나고 있어 이에 대한 면밀한 관찰과 치료가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1.2.3. Medication
약물의상품명 우루사정 100g Ursa Tab. 100mg
약물의화학명 우르소데옥시콜산 우르소데옥시콜산 100mg
약물의 및 투여방법 100mg, 1회 100mg을 1일 3회 경구투여
약물의 작용 및 효과 (이담제 :담즙의 분비와 배설을 촉진)담즙(쓸개즙)분비 부전으로 오는 간질환, 담도(담관, 담낭)계 질환의 보조치료, 만성 간질환의 간기능 개선
약물의 부작용 및 부작용의 치료방법 설사, 구역, 구토, 발열, 기침, 호흡곤란, 흉부x-선 이상을 동반한 간질성 폐렴이 나타나는 경우는 복용을 중지하고 약사, 의사와 상의
간호수행 및 특수교육 내용 치료 중 혈장의 간효소치를 규칙적으로 검사한다. 과량투여로 인한 이상반응시 간기능 검사 실시
약물의상품명 가나칸 정50mg Ganakhan Tab 50mg
약물의화학명 이토프리드염산염 이토프리드염산염 50mg
약물의 용량 및 투여방법 50mg, 1회 50mg을 1일 3회 식전에 경구투여
약물의 작용 및 효과 (기타의 소화기관용약)기능성소화불량으로 인한 소화기증상(복부팽만, 상복부통, 식욕부진, 속쓰림, 구역
약물의 부작용 및 부작용의 치료방법 쇼크, 아나필락시스모양증상이 나타날 수 있으므로 충분히 관찰한다. 혈압저하, 호흡곤란, 후두부종, 두드러기, 창백, 발한 등이 인정되는 경우에는 투여를 중지하고 적절한 조치를 한다. AST, ALT, γ-GTP 상승 등을 수반하는 간기능장애, 황달이 나타날 수 있으므로 충분히 관찰한다. 이상이 인정되는 경우에는 투여를 중지하고 적절한 조치를 한다.
간호수행 및 특수교육 내용 약 사용시 아세틸콜린의 작용을 증강하므로 그 점에 유의하여 사용한다. 소화기증상의 개선이 나타나지 않는 경우, 장기에 걸쳐 사용해서는 안된다, 항콜린제와 병용하는 경우 소화관운동 억제작용으로 인해 이 약의 작용이 감소될 수 있으므로 복용간격을 두는 등 병용시 주의한다.
약물의상품명 고덱스 캡슐 Godex cap
약물의화학명 리보플라빈 500μg, 비페닐디메틸디카르복실레이트 25mg, 시아노코발라민 125μg, 아데닌염산염 2.5mg, 피리독신염산염 25mg, 항독성간장엑스 12.5mg, 오로트산카르니틀 150mg
약물의 용량 및 투여방법 1회 2캡슐을 1일 3회 경구투여
약물의 작용 및 효과 (간장질환용제) 트란스아미나제(SGPT=ALT)가 상승된 간질환(간을 보호하고 염증을 가라 앉혀주며 간수치를 낮춰줍니다)
약물의 부작용 및 부작용의 치료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