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는 호르몬이 일으키는 건강 문제들도 마찬가지로 통제할 수 있다는 사실을 뜻한다. 인체의 호르몬 시스템은 음식에 민감하게 반응한다. 바너드 박사는... 생리통, 불임, 생식 능력, 만성피로, 비만, 우울증, 여드름 등 호르몬 불균형으로 인해 생긴 각종 질환이 순식간에 해결되는 모습을 각종 사례를 통해 전한다....
담긴 음식을, 2부에서는 국가적 행사 때 쓰인 궁중 음식을, 3부에서는 조선관료들의 음식을, 4부에서는 김준근과 안중식의 근대적 시선이 담긴 그림 4장을 소개하고 있다. 그림 속 음식에 대한 감칠맛나는 해설과 조선 시대 음식사 관련 자료를 함께 제공하며 보다 쉽고 재미있게 음식과 역사를 설명하고 있다.
유기농이 더 위험하다고?
살이 찌지 않는 지방? 인류가 콩을 먹은 이유는? 먹지 않고도 살 수 있는 바이러스들? 인류가 지구의 온난화 주범이라고? 휴대전화의 전자파는 정말 위험한걸까? 카사노바가 굴을 좋아한 까닭은?
음식과 자연, 환경에 대한 진실을 담은『내추럴리 데인저러스』. 세계적인...
『당신은 무엇을 먹고 사십니까』의 저자 선재 스님은 다시, 사찰음식에서 그 답을 찾아보자고 한다. 사찰음식이 산문을 나와 대중의 곁으로 내려온 지 30여 년이다. 그동안 사찰음식은 우리 곁에서 어떻게 이해되고 움직여 왔을까. 혹 사찰음식은 중식, 일식, 한식처럼 음식의 한 종류일 뿐이라는 고정관념으로...
우리가 얼마만큼 건강하게 사느냐 하는 것은 얼마나 자연을 접하고 사느냐에 비례한다. 그래서 이제부터 현대인들이 중요치 않게 생각하는 집터와 수맥과 산맥, 음식이 양이 되고 약이 음식인 이야기, 자연이 살고 사람이 사는 길, 그 이야기를 학교 안 가고 병원 안 가고 비료와 농약 안 하고 살아온 농사꾼이 역설로 적어 볼까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