을 설명하는 부분이라는 점에서 실제로 는 6분법이라 볼 수 있다.- 유향의 별록과 유흠의 칠략은 원본이 전하지 않아 그 상세한 내용을 알 수가 없다.다만, 후한 시대(AD 25~220 ... < 목차 >Ⅰ. 목록의 역사제 1기 - 재산목록 시대 (기원전 ~ 1500년)1. 피나케스 (Pinakes)2. 점토판 목록 (clay tablet)3. 수도원 목록4. 칠략 ... 목록2. 조선시대의 유교목록3. 조선동서편목규칙 (朝鮮東書編目規則)4. 한은도서편목법 (韓銀圖書編目法)5. 동서목록규정 -초안 (東書目錄規程 -草案)6. 한국목록규칙(KCR)Ⅰ
에 따른 구분1. 서양의 목록1) 점토판 목록2) Pinakes 목록3) Gesner의 세계서지2. 동양의 목록1) 중국의 목록가. 칠분법(1) 칠략(2) 칠지(3) 칠록나. 삼분법(1 ... 년년(근대 후기 목록법 시대)제5단계 : 1908년 ~ 1967년(현대 목록법 시대)제6단계 : 1968년 ~ 1990년대 초(목록의 국제화와 기계화 시대)제7단계 : 1990년대 ... (佛法錄) ⑦ 선도록(仙道錄)으로 되어있으며 이 칠록은 왕검의 칠지와 유흠의 칠략을 참고로 만든 것으로 칠분법의 대표적인 예이다.나. 삼분법(1) 개원석교록(開元釋敎錄)당나라의 지승