는 차주에게 채무불이행을 치유할 시간을 주고, 대주는 이 사실을 치유기간이 시작되기 전에 차주에게 통지한다.아래에서 EOD 조항 사례를 통해 알아보자.2. 사례2.1. Non ... 영문대출 계약의 채무불이행(Event of default) 개요 및 사례1. EOD (채무불이행 효력 발생)채무불이행 효력이 발생하면 대주(빌려주는 사람)는 대출 실행(대출금 ... 인출)의무를 면제받고 기한이익 상실(기존 대출금 회수)을 포함한 구제수단을 취할 수 있게 된다. EDO가 생기면 즉시 기한의 이익을 상실할 수도 있지만 현실적으로는 대주가 기한
자의 권리포기로 간주되지 않도록 하기 위함이다. 아래 사래는 차입계약의 경우로 은행(권리자)이 채무 불이행 사유 발생(EOD)을 통지하고 기한이익 상실에 대한 권리를 보유하고 있다는 통지 ... 사례다. 미국 및 영국법에 근거한 계약에 의해 이루어지는 것으로 본 통지 이후에 대주는 자신의 손해를 치유하기 위한 행위를 하게 된다.2. 통지 사례 (reservation of ... 또는 장래에 본 채무 불이행에 근거한 권리와 치유권을 보유하고 있다.The Finance Documents shall remain in full force and effec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