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 초점을 맞추었다. 이렇게 해서 자연스럽게 자연을 지배하는 인간 중심주의 가치관이 핵심 원인으로 지목되면서 그 대안으로 생태 중심주의(Eco-centrism)가 모색되었다. 바로 이 ... . 따라서 에코아나키즘은 과정의 철학이며, 참여의 철학이라고 주장된다.북친만이 이 과격한 에코아나키스트 크로포트킨에 의지해 있는 것은 아니다. 심층생태론자를 포함해서 대부분의 급진생태 ... 에서 에코아나키즘은 심층생태론과 여러모로 유사점이 있다. 그러나 에코아나키즘은 자연과 사회의 일원성과 연속성을 주장한다. 인간과 자연이 평등한 수평적 연대를 유지했던 원시 자연사회
다.2. 북친의 사회생태주의란 무엇인가?북친의 사상을 흔히 ‘자율적 사회생태주의(Libertarian Social Ecology), 에코아나키즘(Eco-anarchism), 그리고 ... / 아나키즘과의 차이지배와 관련된 북친의 견해는 마르크스주의자나 전통적 아나키스트와도 다르다. 북친은 사회 계층화 및 지배의 주요한 형태가 경제 계급(economic classes ... )에만 의거한다고 보지 않는 점에서 마르크스주의자와 다르다. 마찬가지로 근대의 국민국가(nation-state)가 사회 지배의 우선적인 당사자라고 믿지 않는 점에서 아나키스트와도 차이가 있
을 맞추었다. 이렇게 해서 자연스럽게 자연을 지배하는 인간 중심주의 가치관이 핵심 원인으로 지목되면서 그 대안으로 생태 중심주의(Eco-centrism)가 모색되었다. 바로 이 시기 ... . 따라서 에코아나키즘은 과정의 철학이며, 참여의 철학이라고 주장된다.북친만이 이 과격한 에코아나키스트 크로포트킨에 의지해 있는 것은 아니다. 심층생태론자를 포함해서 대부분의 급진생태 ... 에서 에코아나키즘은 심층생태론과 여러모로 유사점이 있다. 그러나 에코아나키즘은 자연과 사회의 일원성과 연속성을 주장한다. 인간과 자연이 평등한 수평적 연대를 유지했던 원시 자연사회
(Libertarian communism)란 말이 쓰여지기도 한다.한국에서 아나키즘은 무정부주의로 번역되어 한동안 쓰여졌는데 이것은 일본인의 번역을 차용한 데서 비롯된다. 무정부주의 ... 로의 번역은 일제가 아나키스트를 탄압하는 데 주요한 역할을 하기도 했다. 이제 일본에서도 무정부주의가 아나키즘을 표상하는 용어로서 인정받지 못하고 원음을 그대로 쓰고 있다.아나키즘 ... 고 있으면서 에코아나키즘(Eco-Anarchism)이란 명칭으로 한 유형을 이루고 있는 것은 지극히 자연스러운 것으로 볼 수 있다. 아나키즘의 환경 친화적 성격은 아나키즘의 사회인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