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wo materials, Seogyeong Paesa Choryak(『西京稗史抄畧』) and PyongyangSenki(「平壤戰記」), which have not been ... 隱堂 蒐輯”의 「平壤戰(爭及其前後ノ)記」(以下 「平壤戰記」)가 실려 있다. 문장은 일본어의 文語體 散文 가운데 하나인 漢文訓讀體로 적혀 있다. 평양전투를 비롯한 청일전쟁의 전개 및 ... 실시간으로 제국주의 군인ㆍ학자에게 이용되고 저자 역시 親日의 길로 들어섰다는 것 또한 주목된다. 무엇보다 『西京稗史抄畧』과 「平壤戰記」는 漢文文獻이 근대에 이르러 文獻(媒體
PyongyangSenki(平壤戰記) in Japan and copied by Sidehara Taira(幣原坦, 1870~1953). However, it is c ... 東京에서 나온 『平壤誌』는 9권 2책의 新鉛活字本이다. 尹斗壽의 『평양지』에 訓點과 評語를 달았다. 이 책이 나온 1897년 9월은 『군사신보』에 「平壤戰記」가 실린 직후이 ... Pyongyang(平壤). The author is presumed to be Lee Keun Sang(李謹相, 1847~?). This book was translated in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