채만식의 「제향날」Ⅰ. 작가 소개1. 채만식 소개Ⅱ.「제향날」에 드러나는 채만식의 희곡관과 레제드라마Ⅲ. 작품 분석1. 「제향날」에 드러나는 서재극적 요소 - 회상의 장면화2 ... 적 성격의 구조를 취했을까? 이는 그의 희곡관과 관련 지어 설명할 수 있다. 채만식은 「제향날」의 부기에서 “상연을 위한 각본을 쓰느라고 희곡을 쓴 것이 아니라 소설을 쓰는데 불편 ... 의 기교로는 실현되기 힘들었다. 이러한 점들 때문에, 희곡의 상연성을 중시하는 입장에선 이 작품을 “무대 위에서의 공연을 전제로 하는 희곡이 아닌 ‘레제드라마’로서의 희곡”)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