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통합검색(20)
  • 리포트(17)
  • 논문(3)
EasyAI “홍무정운역훈(洪武正韻譯訓)” 관련 자료
외 1건 중 선별하여 새로운 문서 초안을 작성해 드립니다
생성하기
판매자 표지는 다운로드시 포함되지 않습니다.

"홍무정운역훈(洪武正韻譯訓)" 검색결과 1-20 / 20건

  • 朝鮮時代 漢字 辭典 發展史에서 洪武正韻 의 受容과 變容 (Acceptance and Transformation of Hongmujeongun in the Development History of Chinese Character Dictionary in the Joseon Dynasty)
    하였던 홍무정운 의 수용과 한글을 접목하여 홍무정운역훈(洪武正韻譯訓) , 속첨홍무정운(續添洪武正韻) 등으로 변용하여 발전시킨 사례를 중심으로 분석하였다. 둘째 ... 조선시대 한자 사전의 편찬 과정과 발전사에 있어서, 중국으로부터 전래된 한자 사전의 수용(受容)과 변용(變容) 양상을 반영하는 대표적인 예로 홍무정운(洪武正韻) 을 꼽을 수 ... 을 초록한 홍무정운초(洪武正韻 ) 에 대한 분석을 통해, 홍무정운 이 조선시대의 과거제도에서 수험용 참고서의 역할도 담당했던 사실을 분석하였다. In history of
    논문 | 28페이지 | 무료 | 등록일 2025.06.16 | 수정일 2025.06.17
  • 홍무정운역훈의 운류와 고금운회거요의 자모운 (Rhymes of Hongmujeongunyeokhun and Zimuyun in Gujinyunhuijuyao)
    이 글은 홍무정운역훈음의 연원에 관한 연구의 일환으로, 앞선 논문들에 이어서, 역훈의 운류와 고금운회거요의 자모운을 전반적이고도 정밀하게 비교하여, 그 영향 관계를 밝히는 것 ... 의 자모운을 그대로 따랐다고 보기는 어렵다. This is a study of a comparison of the rhymes of the Hongmujeongun(洪武正韻 ... )[yeokhun(譯訓)](1455) and the 「Zimuyun(字母韻)」 in the Gujinyunhuijuyao(古今韻會擧要). The Zimuyun system represents
    논문 | 16페이지 | 무료 | 등록일 2025.06.16 | 수정일 2025.06.17
  • 국어학자 3명 조사
    을 역임·1990년 정년퇴임하고 명예교수로 임명·국어의 역사적 연구에 많은 업적·훈민정음 창제와 관련된 운서인 『홍무정운역훈(洪武正韻譯訓)』의 연구와 고대국어의 음운연구에서 뛰어난 이론
    리포트 | 1페이지 | 1,000원 | 등록일 2013.03.17
  • 세종대왕과 한글창제,훈민정음 창제 과정,훈민정음 반포 과정,문자 창제의 필요성,집현전 직제정비
    ( 세종 29)) - 운서 편찬 : ≪동국정운 東國正韻≫ , ≪ 홍무정운역훈 洪武正韻譯訓 ≫ , ≪ 사성통해 四聲通解 ≫ - ≪월인천강지곡≫ , ≪월인석보≫ , ≪석보상절≫훈민정음 반포 ... ) - 용비어천가 ( 두산백과 ) - 동국정운 ( 국어국문학자료사전 ) - 월인천강지곡 ( 한국고전용어사전 ){nameOfApplication=Show}
    리포트 | 23페이지 | 3,000원 | 등록일 2014.05.26
  • 한글(우리글, 국어, 우리말)의 성격과 우수성, 한글(우리글, 국어, 우리말)의 지위와 구조, 한글(우리글, 국어, 우리말)의 음성문자체계, 주시경, 한글전용, 한글코드, 한글(우리글, 국어, 우리말)의 연구 사례 분석
    하고자 하는 유교적 이념을 배경으로 창제된 각종 어음현상의 경험을 귀결짓는 한 차원 높은 연역적 방법의 문자체계인 것이다.세종조에 제작된 ≪訓民正音≫,≪東國正韻≫,≪洪武正韻譯訓≫을 통해 ... ≪훈를 고찰하여 보았다. ≪훈민정음·용자해≫,≪홍무정운역훈≫,≪동국정운≫은 모두 세종조에 편찬되었지만 편찬 동기와 목적에 따라 각각 다른 어음체계를 반영하고 있다. 즉 ≪훈민정음 ... ·용자해≫에는 고유한 우리말체계가 표기되어 있고, ≪홍무정운역훈≫에는 15세기 중국 북방의 현실어음체계가 기재되어 있으며, ≪동국정운≫에는 정음사상에 따른 理想적인 한자음체계가 설정
    리포트 | 18페이지 | 7,500원 | 등록일 2011.04.09
  • 조선시대 문학 전개의 일반적 특징 (사대부의 정체성과 조선시대 제 문학형식의 전개양상)
    )번역서① 운서 - 운회번역(韻會飜譯), 홍무정운역훈(洪武正韻譯訓) : 집현전, 언문청② 불경 - 석보상절(釋譜詳節) : 석가모니의 일대기를 산문체로 번역한 전기 문학,월인석보
    리포트 | 18페이지 | 2,000원 | 등록일 2013.01.14 | 수정일 2016.07.22
  • [한국어의 역사] 국어사 자료정리
    연구에 가치 있는 자료.洪武正韻譯訓(홍무정운역훈)ㆍ명나라 초기 운서《홍무정운》을 한글로 번역해 중국음운 표준을 세우고자 편찬함.ㆍ한자 밑에 한글로 정음(正音)과 속음(俗音)을 달 ... 았다.四聲通攷(사성통고)ㆍ四聲通解(사성통해)ㆍ조선 세종 때《洪武正韻譯訓》이 너무 광대하여 보기불편해 간편하게 엮은 책이《四聲通攷》.ㆍ사성통고는 글자마다 자음은 표기되었으나, 그 글 ... 에 의한 중국음표기를 보여주는 점에서 洪武正韻譯訓과 함께 중요하며 국어 단어도 460 남짓 실려 있다. 초간본인 활자본이 있었으나(宋錫夏 소장) 어디에 있는지 확실치 않으며 임진란 직후
    리포트 | 10페이지 | 1,000원 | 등록일 2009.05.12
  • 훈민정음 (訓民正音)에 대하여
    ) 6권 : 세종 29년에 완성, 훈민정음을 이용한 운서,우리나라 한자음 표기의 표준화를 위하여 편찬⑦ 洪武正韻譯訓 (홍무정운역훈) 16권 : 중국 홍무정운(1375)에 한글로 표음 ... , 상권만 전함⑤ 月印釋譜 (월인석보) 25권 : 세조 5년 (1459)에 간행, 월인천강지곡과 석보상절을 합권권1에는 訓民正音諺解 (훈민정음언해)가 실려있음⑥ 東國正韻 (동국정운 ... 한 것으로단종 3년(1455)에 간행, 중국 한자음을 표기한 것으로 동국정운과 본질적으로 다름cf) 최세진의 訓蒙字會 (훈몽자회) 3권 : 1527년 (중종 22년)에 역관이
    리포트 | 9페이지 | 3,000원 | 등록일 2011.04.14
  • 국어사 자료 정리
    을 연구라 ‘ㄹ’로 바꾸었는데, 입성의 자질을 살리기 위해 'ㅭ'과 같이 표기했다.⑶ 문종(文宗, 1450~1452)⑷ 단종(端宗, 1452~1455)문헌홍무정운역훈(洪武正韻譯訓)저자 ... 년에 간행했다.『홍무정운역훈』의 음계(音系)는 그대로 최세진의『사성통해』에 계승되었다. 이 역훈은 세조 때에 중국 자음 학습용으로 권장되기도 했으나, 후대에는 별로 널리 이용 ... 에 통해 국어의 변천한 모습을 살필 수 있는 귀중한 자료이다.문헌경세정운(經世正韻)저자최석정간행연도1678년(숙종 4)해제및특징2권. 필사본. 운학서(韻學書).『훈민정음도설(訓民
    리포트 | 55페이지 | 3,500원 | 등록일 2009.09.28
  • 조선조(朝鮮朝) 역학서(譯學書)에 관한 제고찰(諸考察)
    의 한자 아래에 좌,우로 두 종류의 한자음을 한글로 기록하였는데 왼쪽 음은 홍무정운역훈(洪武正韻譯訓)의 속음이며, 오른쪽 음은 16세기 현실 북방음이다. 원문의 구절마다 끊어서 우리말 ... (通詞) 또는 역관(譯官)이라는 직무를 담당하는 한편, 사신(使臣)을 따라 외국을 왕래하면서 실질적인 외교임무를 수행하거나 때로는 일종의 국제무역까지도 담당했었다.역(譯)에 대한 ... 는 것을 일러 東方에서는 寄라 하고, 南方에서는 象이라 하며 西方에서는 狄?라 하고 北方에서는 譯이라 한다.』여기에서 대체로 의사소통의 측면에서 ‘역(譯)’의 개념이 비교적 분명해 지
    리포트 | 49페이지 | 5,000원 | 등록일 2011.06.28
  • [훈민정음][한글][국어]훈민정음과 한글의 원리 및 의의(훈민정음 창제의 목적, 훈민정음의 원리, 한글 맞춤법, 한글 음성문자체계의 원리와 응용, 한글창제 역사적 의의, 한글, 훈민정음, 국어, 한국어, 한글창제)
    이다분석하여 구성된 체계가 아닌 것이다.또한 ≪洪武正韻譯訓 · 序文≫에는 다음과 같이 편찬 경위를 설명하고 있다.세종께서 우리나라는 대대로 중국과 사귀어 왔으나 어음이 통하지 않 ... 교역을 통해 선진문화를 받아들여 유교정치·문화의 기반을 이루고자 기대하였다. 그러나 ≪洪武正韻譯訓≫의 편찬을 착수한 이래 세종과 집현전 학자들은 매우 어려움을 겪었다. ≪洪武正韻 ... 나 개정하여 ≪洪武正韻譯訓≫은 端宗 3년(1455)에 와서야 간행되었다.≪洪武正韻譯訓≫의 체재는 ≪洪武正韻≫과 똑같은 16권의 내용에 反切과 字解를 그대로 두고서 한글 표음만 첨가
    리포트 | 8페이지 | 5,000원 | 등록일 2007.01.20
  • 훈민정음 연구
    은 운학의 대가였을 정도로 이에 대한 깊은 관심을 갖고 있어 중국 운서)를 수입하기도 하고 이를 복각하기도 했다.대표적인 운서는 [홍무정운(洪武正韻)]으로 세종에게 큰 영향을 주 ... )의 반대상소가 있었음* 동국정운 편찬 : 세종 29년 9월* 홍무정운 역훈(譯訓) : 세종 말 ~ 단종* 사성통고(四聲通攷) 편찬 : 세종 말 ~ 단종2) 김완진(金完鎭)의 견해 ... 를 수입하고 연구했던 것인데 여기에 세종의 호학(好學)과 더불어 하나의 시대적 연구 분위기가 만들어졌다. 이러한 시대적 분위기 속에서 나온 것이 [동국정운(東國正韻)] 이다.)둘째
    리포트 | 5페이지 | 1,500원 | 등록일 2008.11.19
  • 최세진의 생애와 학문
    통해]를 편찬한 것이다. 세종 조에 시작되어 단종 3년에 완성한 [홍무정운역훈(洪武正韻譯訓)]은 편찬 당시에도 문제가 있는 운서였지만 최세진 시대에는 이미 무용지물에 가까울 정도 ... 다. 정음 제정 당시에도 이미 중국어 발음사전의 필요성을 인정하여 [홍무정운(洪武正韻)]을 역훈하였으며 이를 축약하여 신숙주가 [사성통고(四聲通攷)]를 편찬한 바가 있다. [사성통해 ... 로 옛 발음만을 보여주기 때문에 이를 개정하지 않을 수 없었다.그리하여 최세진은 먼저 [속첨홍무정운(續添洪武正韻)]을 짓고 이어서 [사성통해]를 편찬하면서 그 말미에 '번역노걸대
    리포트 | 5페이지 | 5,000원 | 등록일 2007.09.29
  • [중국어]사성통해 연구
    25년에는 여러 음운학자들과 함께 『홍무정운역훈(洪武正韻譯訓)』(이하 『역훈』))을 편찬하게 되었다. 세종 이후 세조(世祖) 4년 戊寅 正月 19日에 역학의 진흥을 위하여 『노걸대 ... 』?『통고』와 『통해』세종 때에는 홍무 8년(1375)에 간행된 『홍무정운(洪武正韻)』(이하 『정운』)을 「天下萬國所宗」이라 하여 가장 중시하였다. 특히 운서를 중국자음학습용의 표준 ... 를 이루는 것으로서 이중 하나라도 결하게 되면 책으로서의 구실을 못하게 되는 것이다. 신이 홍무정운의 편운체계를 보니 다만 그 말소리는 유추하였는데, 그 형태(자형)는 무시
    리포트 | 10페이지 | 2,000원 | 등록일 2006.06.17
  • [인문]국어사 자료 정리 및 요약.
    통해 등.)①東國正韻(1449)-훈민정음을 이용한 운서로 우리나라 한자음 표기의 표준화를 위하여 편찬.②洪武正韻譯訓(1455)-중국의 홍무정운에 한글로 표음한 것. 이 책은 중국 ... 음.②월인천강지곡-3권중 상권만 전하며 상권에 194장의 가사가 실려있음.(이밖에 월인석보에서 많은 가사가 추가되며 모두 580여장으로 추정된다.)4.운서류(동국정운, 홍무정운역훈, 사성 ... 의 한자음을 표기한 것으로, 동국정운과는 본질적으로 다름.③四聲通解(1517)-사성통고를 개수한 최세진의 저서로 말미에 사성통고 범례가 실려 있음→ 이 책들은 중국 한자음 연구
    리포트 | 5페이지 | 1,000원 | 등록일 2007.06.13
  • 이기문 국어사개설 총정리
    의 낙장만이 전해짐.5) 동국정운(東國正韻) (세종 29년) - 한자음 표기의 표준화가 목적.6) 홍무정운역훈(洪武正韻譯訓) - 중국의 홍무정운을 한글로 표음. (최세진의 四聲通解
    리포트 | 30페이지 | 2,000원 | 등록일 2007.09.15
  • [국문학] 훈민정음과 정보화
    자문으로 쓴 훈민정음을 굳이 그 우리말 해석을 소리나는데로 적을 필요가 있었을까?훈민정음 관련 고서인 홍무정운역훈(洪武正韻譯訓)과 용비어천가(龍飛御天歌)의 경우, 훈민정음의 사용 ... 은 판이하게 다르다. 홍무정운역훈은 단종 3년(1455)에 한자의 중국음을 나타내기 위해 편찬한 중국음운에 대한 한글 주석서로, 중국 명나라 초기의 운서(韻書) 《홍무정운》을 한글
    리포트 | 4페이지 | 1,500원 | 등록일 2005.06.16
  • 국어사
    ), 월인천강지곡(月印千江之曲), 동국정운(東國正韻), 홍무정운역훈(洪武正韻譯訓), 월인석보(月印釋譜) 등과 많은 언해서가 있다.♣ 전기 중세국어 문헌자료? 계림유사 : 송나라
    리포트 | 8페이지 | 4,000원 | 등록일 2007.01.11
  • [국어사] 훈민정음과 어린백성
    음에 대한 최만리 등의 답변을 놓고 볼 때 세자가 훈민정음 창제에 깊이 관여하고 있음이 보이며, 또 신 숙주의 《홍무정운역훈(洪武正韻譯訓)》 서문에문종공순대왕이 동궁에 있을 때 ... 주부 강희안 등에게 명하여 의사청에 나아가 언문(諺文)으로 운회(韻會)를 번역하게 하였는데, 동궁과 진양대군 유 및 안평대군 용으로 하여금 그 일을 관장하게 하였다. 세자와 두 대군
    리포트 | 10페이지 | 1,000원 | 등록일 2004.12.17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3일 일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9:45 오후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