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풍군 영남면 현화리(현재의 북한의 행정지명으로는 개성직할시 장풍군 월고리)의 현화사지에 있는 고려시대의 칠층석탑. 높이 8.64m로 북한의 국보급 문화재이다. 현화사는 1018 ... 의 명복을 빌기 위하여 현화사를 창건하였다는 창건연기와 절의 규모, 연중행사 및 국가에서 베푼 < 헌화사비 > 여러 가지 사실이 기록되어 있다.5) 현화사칠층석탑 (玄化寺七層石塔)경기도 ... 중에서는 큰 편에 속한다. 규모가 크고 전반적으로 수법이 굵직하면서도 세부에 있어서는 정교하며, 탑 전체와 각부의 부분이 조화를 이루는 균형잡힌 걸작이다.< 현화사지 7층석탑>Ⅱ
내면에 지선으로부터의 귀꽃무늬가 조식되어 있어 주목을 끈다. 또 개성을 중심으로 한 지역에서는 남계원칠층석탑, 현화사칠층석탑, 흥국사칠층석탑 등과 같이 일반형 방형중층석탑이 고려 ... 의 다층으로 건립하였을 것이며, 방형 혹은 다각의 평면을 이루었을 것으로 생각된다. 이러한 생각은 현재 남아 있는 평양 청암리사지에서 8각전의 8각탑파와 대동 상오리사지에서 8각 ... 당의 기단부가 조사되어 고구려 목탑지로 추정된 바 있다. 백제의 유구로는 부여 군수리사지와 익산 제석사지에서 방형의 목탑 기단부가 확인되었다. 신라의 유지로는 경주 황룡사지에 거대
으로 변화하는 등 장식적인 경향이 강함◆고려시대 대표 석탑* 현화사 칠층석탑기둥 돌 위에 세 단의 받침을 가진 넓고 편평한 두꺼운 갑석을 놓았다. 기단 부를 이렇게 처리한 것 ... 합니다. 높고 위대한 전륜성왕의 위대함을 상징하고 있다.3.시대별 석탑의 구조와 특징1)백제●미륵사지 석탑1.2층부터 탑신이 얕아지고 옥개석은 초층과 같은 수법으로 표현.2.각 부분이 작 ... 대표 석탑◆원각사지 10층 석탑탑신부는 층층이 아름다운 기와집을 모각하여 기둥·난간·공포(? ?包), 지붕의 기와 골까지 섬세한 수법이다. 옥신(屋身)에는 수많은 부처 ·보살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