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1장 성격이란 무엇인가?’에서 헤르바르트는 타인의 의지와는 구별되는 자신만의 확고한 그리고 고유한 의지∙결연함을 성격이라 일컫는다. 성격은 객관적 부분과 주관적 부분 ... 다. 교육은 성격의 객관적 부분에서 출발하여야 한다. 성격의 객관적 부분이 잘 형성되어 있을 때 도덕성 또한형성될 수 있으며, 나아가 성격의 주관적 부분이 이것을 다듬는 일을 담당
헤르바르트 ‘일반교육학’『일반교육학』의 저자인 헤르바르트는 독일의 철학자이자 심리학자이자 교육학자이다. 그는 30세에 모든 종류의 교육활동에 일반적이고 공통적인 이론적 토대 ... 교본』, 『심리학 교본』,『학문으로서의 심리학』 등 왕성한 저술활동을 하였다.일반교육학은 헤르바르트의 교육사상이 잘 나타나 있는 책으로, “교육적 수업”이론이 어떠하여야 하 ... 가 될 수 있는 교육론을 제시한 일반교육학을 발표했고, 이로써 서구에서는 최초로 교육학을 근대적 의미의 학문으로 정립한 사람으로 인정되고 있다. 그는 『일반교육학』 이외에도 『철학입문
을 교육 하는가” 라는 교육목적의 탐구(探究)로부터 시작(始作)되어야 한다고 했다. 즉, 일반교육학에는 헤르바르트교육학의 시작이라고 보면 될 것이다.이번 독후감(讀後感)을 위해서 ... 헤르바르트의 일반(一般)교육학(敎育學)의 원(原)제목(題目)은 교육목적(目的)으로부터 연역(演繹)된 일반교육학이다. 헤르바르트에 의하면 교육의 문제(問題)는 무엇보다도 “왜 인간 ... 학과 심리학에 기초(基礎)를 둔 교육학을 조직화(組織化)하였다. 일반교육학의 서문(序文)에서 보면 ‘사람이 자신(自身)의 내부(內部)에 가장 밀접(密接)하게 결합(結合)된 거대(巨大