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16종의 내용은 다음과 같다. 《퇴계선생문집내집》은 51권 31책으로 권1∼5는 시(詩), 권6은 교(敎)·소(疏), 권7은 차(箚)·경연강의(經筵講義)·계의(啓議), 권8 ... 에도 역시 부록이 수록되었다. 《퇴계선생언행통록》은 8권 5책으로, 권1은 언행총록(言行總錄)·실기(實記)·언행통술(言行通述)·선생자명(先生自銘)·유사(遺事), 권2∼5는 유편(類編 ... )이 발단한다. 퇴계의 학설이 이동설(理動說)·이도설(理到說)로 전개되면서 체용론(體用論)이 도입되어 이론적인 미비점이 보강되기도 하지만 이존의식을 기저로 한 이의 능동성에 대한 퇴계